• 제목/요약/키워드: Transplanting cultivation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29초

경작기 농경배수에 의한 오염물질의 배출 (Discharge of the Pollutants from Rice Paddies during the Period of Cultivation)

  • 안익성;김영철;이동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6-273
    • /
    • 2007
  • In this study, discharge of the pollutants from the rice paddies during cultivation and its pattern were investigated. The pH in the returned and rainfall water from ten different paddies was between 6.9 and 7.4, which is not associated with the cultivation time and farming style of individual paddy. TN and TP concentrations were highest in the beginning of first top dressing (fertilization), which indicates that proper top dressing and returned water management is crucial to reduce their discharge loads. In particular, TN concentration was more or less constant until tillering stage.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runoff of soil-adsorbed nitrogen and compost. Average SS concentration in the returned and rainfall water was 28 mg/L, and organics was predominantly soluble form, and highest COD 25 mg/L during transplanting, lowest 11.3 mg/L and average 11.3 mg/L. Density of TC (total coliform bacteria) was from 1000/100 mL to 114,000/100 mL and FC (fecal coliform) was 5 to 16% of TC density.

벼 복토직파신기술 북한 협동농장 실증시험 연구 (A Field Trial of Bokto Seeding Technology for Rice Cultivation i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박광호;김형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9권1호
    • /
    • pp.91-104
    • /
    • 2007
  • The special project was conducted at the cooperative farm where located at Yakjeon-ri Sukcheon-gun Pyeongannam-do,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is farm was firstly introduced a newly developed technology-"Bokto seeding technology" for rice cultivation from the Republic of Korea. Total acreage of rice paddy field cultivated by this technology was 800ha and the average yield was 7.17t/ha with paddy rice which was higher by 109.2% than that of the transplanting method for rice cultivation. In general rice disease was decreased at the Bokto seeded rice plant compared to the transplanted rice plant and root activity was higher in Bokto seeded rice. Optimum seeding amount was determined at rate of 90kg/ha in Pyeongdo 5(early ripening variety) and 110kg/ha at Pyeongdo 11(medium ripening variety) and Pyeongyang 43(late ripening variety), respectively. A recommended sowing time was within late April for late ripening variety like Pyeongyang 43, May 1-5 for medium ripening variety, and May 5-15 for early ripening variety.

Effect of Cattle-Manure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Crop Yields in Rice-Forage Cropping System

  • Lee, Yejin;Yun, Hong-Bae;Sung, Jwa-Kyung;Ha, Sang-Keun;Song, Yo-Sung;Sonn, Yeon-Kyu;Lee, Deog-B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53-557
    • /
    • 2014
  • The steady increase in livestock industry has greatly required the stable production of food and forage crops. As an alternative, rice-forage cropping system has been attempted in several southern area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whether an application of cattle-manure compost affects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crop productivity in rice-forage cropping system, rice ${\rightarrow}$ summer oat ${\rightarrow}$ rye, in Jangheong county, south Jeolla province from 2013 to 2014. Treatments was composed of control (no compost), CM1 (compost application before rice transplanting), and CM2 (two-times compost application, before rice transplanting and after rice harvest), and inorganic fertilizers (N, P, and K) were equally dressed in all plots. Yields of ri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however, oat production was 1.25-fold higher in CM1 and CM2. Nutrient uptake amounts of rye were higher in CM2 than CM1 and control. Total nitrogen in soil was maintained stable level during crop cultivation.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in all treatments were increased by crop residue. Available P_2O_5$ and exchangeable K were increased by cattle manure application.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e amount of nutrient by forage crop residue should be considered in rice-forage multiple cultivation.

Development of drought Tolerant Temperate Rice Variety by Pyramiding QTLs, Pup1 and DTY4.1

  • Jae-Hyuk Han;Na-Hyun Shin;Ian Paul Navea;Jin-Woo Lee;IL-Ryong Choi;Joong Hyoun Ch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6-206
    • /
    • 2022
  • Sustainable agriculture is a potential strategy to enable agricultural cultivation systems to feed the growing population under climate change. Sustainable agriculture consists of environment-friendly farming methods that allow the production of crops with minimal harm to the ecosystem. Early establishment in rice might be helpful to adopt sustainable agriculture with less inputs, such as water and phosphorus fertilizer. Two QTLs conferring tolerance to abiotic stress and low nutrition condition, DTY4.1 and Pup1, respectively, are effective for good establishment in the early growth stage under low water and phosphorus fertilizer application. We developed 'Sechanmi' and 'MSI 1-DTY' harboring Pup1 and DTY4.1 into MS11, a japonica rice variety adaptable to tropical regions, using Marker-Assisted Backcrossing (MABC). MS 11-PD lines were developed to meet the demand for less water and P fertilizer application throughout the growth stage of rice. In the F5 generation, water-saving or rainfed cultivation was performed in different P (phosphorus) content. Irrigation was applied only when severe drought was observed one month after transplant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between the parents and MS11-PD lines in low P conditions. However, MS11-PD lines had more tillers in P-supplied conditions compared to that of the parents 40 and 50 days after transplanting. Under the same amount of P, MS11-PD lines might have higher phosphorus uptake capacity than the parents, increasing the number of tillers and showing better early establishment. The better vegetative growth stage is one of the factors that can potentially increase production by way of higher number of panicles. Through this breeding strategy, it is possible to attain sustainable agriculture by applying less P and water to address the need of a growing population.

  • PDF

Comparison of Methane Emissions by Rice Ecotype in Paddy Soil

  • Tae Hee Kim;Jisu Choi;Seo Young Oh;Seong Hwan Oh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5-145
    • /
    • 2022
  • South Korea greenhouse gas emissions have increased year by year, resulting in a total emission of 727.6 million tons of CO2 eq in 2018, a 2.5% increase compared to 2017. Among them, the agricultural sector emitted 21.2 million tons of CO2 eq., accounting for 2.9% of the total. Among the greenhouse gases emitted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a particularly problematic is methane gas emitted from rice paddies. Methane is one of the important greenhouse gases with a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that is about 21 times higher than that of carbon dioxide due to its high infrared absorption capacity despite its relatively short remaining atmospheric period. Since the pattern of methane gene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rice variety and ecological type, research related to this is necessary for accurate emission calculation and development of reduction technology. Accordingly,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greenhouse gas emission according to rice varieties and ecology types. As for the rice eco-type cultivar, early maturing cultivar (Haedamssal) and medium-late rice cultivar (Saeilmi) were used. Haedamssal was transplanted on May 25 and June 25, and Saeilmi was transplanted on June 10 and June 25. The amount of methane generated according to the growing da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planting period was earlier. The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was that Haedamssal showed higher methane production than Saeilmi. The total CH4 flux in the saeilmi was 18.7 kg·h-1(Jun 10 transplanting), 12.4 kg·h-1(Jun 25 transplanting) during rice cultivation. Lower methane emission was observed in Saeilmi than in Haedam rice. In addition, the earlier the planting period, the higher the methane emission.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first year of research, and it is planned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 between double cropping and single cropping using wheat cultivation after harvest for each ecological type.

  • PDF

벼 어린모(유묘) 기계이앙 재배연구 II. 육묘온도, 육묘일수 및 배유양분잔존량이 이앙후 조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Machine Transplanting Cultivation with Infant Seedling in Rice Plant II. Effects of Raising Temperature, Duration and Nutritional Residue in Endosperm on Seedling Growth after Transplanting.)

  • 양원하;윤용대;송문태;이문희;임무상;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34-439
    • /
    • 1989
  • 벼 어린모의 육묘온도별 최소 육묘일수를 구명하고 육묘온도, 육교일수 및 배유제거유무에 따른 이앙후 초기생육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어린모 육묘시 육묘오도에 따른 최소 육묘일수를 맷트형성정도를 기준으로 보면 20/12$^{\circ}C$ 서/ 야)에서는 10일, 25/18$^{\circ}C$에서는 8일, 30/2$0^{\circ}C$에서는 6일어었다. 2. 벼 어린모 육묘시 유교온도에 따른 최소 육묘일수의 묘생육을 보면 초자은 8~12cm, 엽수(불완전엽 제외)는 1.5~1.7엽, 지상부 건물중은 개체당 6.9~7.5mg, 배유양분잔존율은 32~36%이었다. 3. 벼 어린모 육묘시 육묘온도에 따른 최소 육묘일수의 적산온도는 육묘온도에 따라 다소 다르나 150~17$0^{\circ}C$의 범위이었다.

  • PDF

재배환경에 따른 유색미의 기능성물질 및 항산화활성 변이 (Vari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and Antioxidant Activity as Affected by Cultivation Environment in Pigmented Rice Varieties)

  • 오성환;최경진;김상열;서우덕;한상익;조준현;송유천;남민희;이충근;우선희;이철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53-166
    • /
    • 2015
  • 본 연구는 유색미 품종들의 적정 재배시기와 지역에 따른 색소발현 및 항산화 활성 변이를 분석하여 고품질의 유색미를 생산할 수 있는 적정 재배관리기술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양, 봉화, 상주, 의성 4지역에서 이앙시기를 5월 20일, 6월 5일, 6월 20일 3시기에 걸쳐서 흑미 3품종과 적미 2품종을 재배한 결과 출수 후 30일간의 평균기온 $19.0^{\circ}C$ 이상에서 평균기온이 $1^{\circ}C$ 증가할 때마다 흑미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약 9.9%, 적미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약 9%씩 감소하였다. 2. 유색미의 기능성물질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출수 후 30일간 적정등숙온도는 흑미의 경우 조생종은 $22{\sim}23^{\circ}C$, 중만생종은 $21{\sim}22^{\circ}C$의 범위였으며, 적미도 $21{\sim}22^{\circ}C$범위였다. 3. 전국 지역별 30년간의 기상자료를 토대로 적정출수기를 추정한 결과 제천지역은 조생종이 8월 11일에서 8월 17일, 중만생종은 8월 25일경이며 보은지역은 조생종이 8월 15일에서 8월 19일, 중만생종은 8월 20일에서 8월 27일에 해당되었다. 영주지역은 조생종이 8월 15일에서 8월 21일, 중만생종은 8월 24일 경이었고, 충주지역은 조생종이 8월 17일에서 8월 23일, 중만생종은 8월 22일에서 8월 29일에 해당되었다. 대구지역은 조생종이 8월 27일에서 9월 2일, 중만생종은 9월 3일에서 9월 6일경으로 주요 재배적지는 제천, 보은, 문경, 영주 등이었다. 4. 적정파종기 추정결과 제천지역은 조생종이 5월 18일에서 5월 26일, 중만생종이 4월 11일 경이었으며, 보은지역은 조생종이 5월 23일에서 5월 28일, 중만생종이 4월 9일에서 4월 26일, 문경지역은 조생종이 5월 24일에서 6월 1일, 중만생종이 4월 21일에서 5월 4일, 영주지역은 조생종이 5월 22일에서 5월 30일, 중만생종이 4월 13일에서 4월 27일, 충주지역은 조생종이 5월 31일에서 6월 7일, 중만생종은 5월 4일에서 5월 14일 경으로 추정되었다.

중부 평야지에서 고품질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재식밀도에 따른 수수 변화와 수량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anicle Production and Yielding Traits Influenced by Transplanting Density in Mid-Maturing Quality Rice 'Haiami' in the Mid-Plain Area of Korea)

  • 양운호;강신구;박정화;김숙진;최종서;윤영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93-202
    • /
    • 2017
  • 중부 평야지에서 최고품질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 효과와 그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성 변화의 관계를 분석하고, 완전미 수량에 대한 수량 관련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재배시험 포장에서 2014~2015년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 면적당 경수는 재식거리가 좁고 주당본수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벼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그 차이는 적어졌으나 이러한 경향은 수확기 수수까지 유지되었다. 2. 완전미 수량은 재식거리에 따라 2014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2015년에는 $30{\times}18cm$에서만 감소하였으며, 두 해 모두 주당본수가 적을수록 높았다. 3. 단위 면적당 포기수와 주당본수 증가에 의하여 $m^2$당 수수는 많아졌으나,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가 완전미 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단위 면적당 수수는 수당영화수와만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다른 수량구성요소 및 완전미 수량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재식거리와 주당본수 조절에 의한 완전미 수량의 변화는 완전미 비율과는 관계가 없었고 쌀수량과 직선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쌀수량은 $m^2$당 영화수 증가에 따라 향상되었는데, $m^2$당 영화수는 $m^2$당 수수보다 수당영화수 증가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나 이들 두 요소가 함께 영향을 미쳤다. 6. 결론적으로 중부 평야지에서 하이아미를 보통기 보비 재배하는 경우, 완전미 수량은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로 향상되지 않으며, $m^2$당 수수와 수당영화수의 적절한 조합에 의하여 $m^2$당 영화수를 증가시켜 쌀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평균기온 특성에 따른 통일한국의 지역별 벼 생육기간 분포 (The Growth Duration of Rice Cropping in Unified Korea by Analysis of Daily Mean Air Temperature Characteristics)

  • 최돈향;김보경;신문식;남정권;정진일;김기영;오명규;하기용;고재권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85-190
    • /
    • 2003
  • 기온을 중심으로 한 농업기후 조건을 분석하여 통일한국 벼농사의 가장 기본적인 지역별 벼 생육기간을 조사하여 앞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한 벼 품종육성 및 재배법 기술개발에 기후생태 적응 기초기술을 중장기적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립 하고자, 우리나라 최북단 웅기(42$^{\circ}$N)와 남단 제주(31$^{\circ}$N)까지의 9개 지역을 중심으로 농업기후 조건을 분석하였다. 벼 생육기간은 재배양식별 파종시기부터 출수후 등숙 만한기까지의 생육 가능 유효기온 출현시기와 지속 기간을 조사하여 결정하였으며, 재배양식별 유효기온의 출현 첫시기로는 기계이앙 보온절충못자리의 경우는 일평균기온 1$0^{\circ}C$ 출현시기, 건답직파는 일평균기온 13$^{\circ}C$ 출현시기 그리고 담수직파는 일평균기온 15$^{\circ}C$ 출현시기를 조사하였다. 한편 벼 재배양식에 따라 출수기의 조만은 있을 수 있지만 등숙만한기 결정 유효 기온은 동일하므로 일평균기온 15$^{\circ}C$가 출현하는 마지막 날(출현종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 위도별 북한부터 남한까지의 벼재배양식 별 벼 생육기간(파종기∼등숙만한기)을 보면 북산의 웅기(42$^{\circ}$N, 표고 3m) 지역은 기계이앙의 경우 138일, 건답직파 115일, 담수직파 97일이었으며, 안주(39$^{\circ}$N, 표고 27m)지역은 기계이앙 160일, 건답직파 144일, 담수직파 139일이었다. 한편 남한의 수원(37$^{\circ}$N, 표고 33.6m) 지역은 기계이앙의 경우 180일, 건답직파 166일, 담수직파 152일이었으며, 광주(35$^{\circ}$N, 표고 70.5m) 지역은 기계이앙 195일, 건답직파 180일, 담수직파 170일 이었다.

녹비작물 헤어리베치가 벼 생육 및 관개량 절약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reen Manure Hairy vetch on Rice Growth and Saving of Irrigation Water)

  • 전원태;허승오;성기영;오인석;김민태;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1-186
    • /
    • 2011
  • 녹비작물 헤어리베치를 이용하여 벼 재배 시 물 절약 기술을 개발하고자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 시험포장 신흥통에서 수행하였다. 물관리 처리 내용은 관행시비구와 헤어리베치 투입구 내에 관행물관리구 (주 2~3회)와 주1회관개구를 설치하여 벼 이앙 후 30~38일부터 관개량, 벼 생육,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토양물리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벼 유수형성기와 유숙기의 생육은 2년 모두 헤어리베치 투입구의 주1회 관개구가 관행시비구의 주1회관개구보다 양호하게 경과하였다. 관개량은 관행시비구의 관행물관리구에 비하여 헤어리베치 투입구의 주1회관개구가 2008년은 46.0%, 2009년 61.3%로 절감되었다. 벼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도 2개년 모두 관행시비구의 물관리에 비하여 헤어리베치 투입구의 주1회 관개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헤어리베치 투입구에서 벼 수확 후 토양의 용적밀도가 감소하고 공극률이 증대하였다. 물리성 개선의 지표물질인 glomalin의 함량도 헤어리베치 투입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헤어리베치 투입 후 주 1회만 관개하여도 토양물리성이 개선되고 보수력이 증대되어 벼 수량의 감수 없이 절수 재배가 가능하여 벼 재배 시 물 절약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