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owth Duration of Rice Cropping in Unified Korea by Analysis of Daily Mean Air Temperature Characteristics

일평균기온 특성에 따른 통일한국의 지역별 벼 생육기간 분포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rice growth duration by analyzing agricultural climatic conditions at different latitudes in unified Korea. The climatic conditions of nine sites from Wunggi (latitude 42N) to Jeju (latitude 31N)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rice growth duration of various cropping patterns was determined by analyzing consecutive days when effective daily mean air temperature was suitable for rice growth from the first seeding date to the last maturing date. The rice growth duration in Wunggi located in North Korea was available 138 days for machine transplanting, 115 days for direct seeding on dry paddy cultivation, and 97 days for direct seeding on a flooded surface with cultivation after seeding. On the other hand, the rice growth duration in Kwangju (latitude 35N) located in South Korea was 195 days for machine transplanting, 180 days for direct seeding on dry paddy cultivation, and 170 days for direct seeding on a flooded surface cultivation after seeding.

기온을 중심으로 한 농업기후 조건을 분석하여 통일한국 벼농사의 가장 기본적인 지역별 벼 생육기간을 조사하여 앞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한 벼 품종육성 및 재배법 기술개발에 기후생태 적응 기초기술을 중장기적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립 하고자, 우리나라 최북단 웅기(42$^{\circ}$N)와 남단 제주(31$^{\circ}$N)까지의 9개 지역을 중심으로 농업기후 조건을 분석하였다. 벼 생육기간은 재배양식별 파종시기부터 출수후 등숙 만한기까지의 생육 가능 유효기온 출현시기와 지속 기간을 조사하여 결정하였으며, 재배양식별 유효기온의 출현 첫시기로는 기계이앙 보온절충못자리의 경우는 일평균기온 1$0^{\circ}C$ 출현시기, 건답직파는 일평균기온 13$^{\circ}C$ 출현시기 그리고 담수직파는 일평균기온 15$^{\circ}C$ 출현시기를 조사하였다. 한편 벼 재배양식에 따라 출수기의 조만은 있을 수 있지만 등숙만한기 결정 유효 기온은 동일하므로 일평균기온 15$^{\circ}C$가 출현하는 마지막 날(출현종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 위도별 북한부터 남한까지의 벼재배양식 별 벼 생육기간(파종기∼등숙만한기)을 보면 북산의 웅기(42$^{\circ}$N, 표고 3m) 지역은 기계이앙의 경우 138일, 건답직파 115일, 담수직파 97일이었으며, 안주(39$^{\circ}$N, 표고 27m)지역은 기계이앙 160일, 건답직파 144일, 담수직파 139일이었다. 한편 남한의 수원(37$^{\circ}$N, 표고 33.6m) 지역은 기계이앙의 경우 180일, 건답직파 166일, 담수직파 152일이었으며, 광주(35$^{\circ}$N, 표고 70.5m) 지역은 기계이앙 195일, 건답직파 180일, 담수직파 170일 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순철, 박성태, 이수관, 정근식, 1991: 남부지역 벼 휴립건답직파 파종 한계기 구명. 농시논 문집(수도편), 33(3), 66-74.
  2. 김상수, 백남현, 석순종, 이선용, 조동삼, 1995: 남부평야지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파종시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40(2), 212-220.
  3. 기상청, 2001: 한국기후표. 기상청, p.632.
  4. 농촌진흥청, 1981: 수도 냉해 실태분석과 종합기술 대책. 농촌진흥청, 1-52.
  5. 西山岩男, 1985: イネの 冷害生理學. 北海道大學圖書出刊會發刊, p.313.
  6. 문승의, 1997: 기상 환경의 이해. 지구문화사, p.162.
  7. 유인수, 최돈향, 윤성호, 1996: 북한의 수도작 농업기후지대 구분.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8(3), 206-215.
  8. 장권열, 허문회, 최종열, 홍기창, 이만상, 최봉호, 1990: 육종학범론. 항문사, p.407.
  9. 중앙기상대, 1987: 북한기후표. 중앙기상대,p.174.
  10. 최돈향, 1996: 농업기후자원 평가에 따른 벼 건답직파 재배의 안전작기 설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농학박사학위논문, p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