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ansit Time

Search Result 71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시계열 및 회귀분석을 활용한 휘발유가격의 광역권별·수단별 대중교통수요 영향력 비교분석 (An Impact of Gas Prices on Transit Demand Using a Time-series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 이광섭;엄진기;문대섭;양근율;이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26
    • /
    • 2014
  • 국내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교통부문에서도 에너지 절감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휘발유가격과 교통수요와의 관계는 국내외적으로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나 국내 선행연구는 승용차 및 수도권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휘발유가격이 대중교통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월별 자료를 활용하여 대중교통 수단별(버스, 도시철도) 및 광역권별(수도권, 부산, 대전, 대구, 광주)로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시계열모형과 다중회귀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회귀모형의 계수를 활용하여 유가에 대한 대중교통 수요의 탄력성을 비교하였다. 유가에 대한 수요탄력성이 버스보다 도시철도가 높게 나타났고, 대중교통체계가 잘 갖춰진 수도권보다 승용차 의존적인 지방 광역권이 유가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Hybrid Monte Carlo 시뮬레이션에 의한 고속 InAlGaAs/InGaAs HBT의 구조 설계 (Design of high speed InAlGaAs/InGaAs HBT structure by Hybrid Monte Carlo Simulation)

  • 황성범;김용규;송정근;홍창희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3호
    • /
    • pp.66-74
    • /
    • 1999
  • HMC(Hybrid Monte Carlo)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InAlGaAs/InGaAs HBT의 비평형 고속전송을 해석하였고, 전송시간 및 차단주파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미터-베이터 이종접합과 콜렉터 구조를 최적 설계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에미터 조성경사영역에서 Al 몰비를 xf=1.0에서 xf=0.5로 변화시킬 경우 베이스 전송시간이τb=0.21ps로 가장 짧았다. 콜렉터 전송시간을 단축시킬 목적으로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에 n\sup +\형 (콜렉터-Ⅰ), I형(콜렉터-Ⅱ), p형(콜렉터-Ⅲ), 콜렉터를 삽입하여 베이스-콜렉터 공간전하영역의 전계분포를 전자의 비평형고속전송을 유지하도록 설계하였다. 콜렉터-Ⅲ 구조에서는 전자의 음이온화된 억셉터가 콜렉터의 전계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자가 Γ 밸리에서 먼 거리까지 전송을 가능하게 하여 가장 짧은 콜렉터 전송시간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가장 짧은 전송시간 τec는 Al 몰비가 xf=0.5인 에미터 구조와 콜렉터-Ⅲ에서 0.87psec이었고, 차단주파수 ft=183GHz를 나타내었다.

  • PDF

대중교통카드를 이용한 환승요인분석 (Factor Analysis for Transit Transfer using Public Traffic Card Data)

  • 이다은;오주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0-63
    • /
    • 2017
  • 환승은 타고 있던 교통수단에서 다른 교통수단으로 갈아타는 것을 의미한다. 환승은 통행의 불편을 겪지만, 효율적인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환승횟수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제공하고, 대중교통의 편의를 제공함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대중교통카드 자료는 평택시 평일 61,986건, 주말 69,100건이며, 수집된 교통자료카드를 이용하여 패턴분석 및 환승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Trip Chain 분석 결과, 주말에 주 통행이 통근 및 통행이 아닌 쇼핑, 여가 등의 목적으로 환승 횟수가 많아지며, 통행거리는 10km이상 증가하며 통행시간도 약 9.9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tructural Equation Model의 결과, Factor 1릉 총 통행시간, 총 통행거리, Factor 2는 승 하차 인원수, Factor 3는 환승시간, 대기시간, Factor 4는 버스연계노선 수, 운행대수로 환승통행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근.통학자의 지하철 연계교통수단 선택행태분석 (Mode Choice Behavior Analysis of Commuter Feeder Passengers to Subway System)

  • 정헌영;김정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9-82
    • /
    • 2000
  • 교통체계가 지하철 중심의 대중교통체계로 변화되면서 지하철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적절한 연계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고조되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타 목적통행에 비해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면서 비교적 안정적인 행태를 보이는 지하철 이용 통근 통학자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연계교통수단인 시내버스, 마을버스, 택시 이용시 통행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계교통수단 선택행태에 대한 다항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구축결과 연계교통수단선택시 큰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는 차외시간(OVTT), 차내시간(IVTT), 요금(T-FARE, S-FARE, B-FARE), 소득(INCOME), 성별(SEX), 연령(AGE)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계교통수단의 이용은 환승을 위한 단거리 통행이기 때문에 차외시간이 차내시간보다 수단선택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비용관련 변수들은 통행시간 변수들에 비해 연계수단선택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금인하로 인한 수요증가 정책보다는 적정수준으로 요금을 인상하여 이로 인한 수입 등을 이용하여 교통시설의 확충 등 서비스 개선에 의한 대중교통의 통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통행시간가치는 타의시간의 시간가치가 차내시간의 시간가치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아침 통근 ·통학시 요금보다는 시간을 중요하게 인식하여 택시의 시간가치가 시내버스, 마을버스의 시간가치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 PDF

The Effect of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on Nutrient and Energy Digestibility and Digesta Transit Time in Weanling Piglets

  • Zhang, Liying;Li, Defa;Qiao, Shiyan;Wang, Jituan;Bai, Lu;Wang, Zongyi;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1호
    • /
    • pp.1598-1604
    • /
    • 2001
  • Eight $12.4{\pm}0.6kg$ initial body weight crossbred barrow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on nutrient and energy digestibility, and digesta transit time. Four dietary treatments were utilized in this trial. Treatment one was a corn-soybean meal based diet (SBM) containing raffinose and stachyose at the levels of 0.16% and 0.75%, respectively. Treatment two (control) was a corn-HP300 (soybean concentrate protein) diet. In treatments three and four, 1.1% and 2.2% commercial stachyose was added to the control diet to provide total dietary stachyose at the levels of 1% and 2%, respectively. The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raffinose + stachyose) level in treatment one was slightly lower compared to that in treatment three. Three collection periods were run with two pigs for each treatment/period. There was a 4 d adjustment period followed by a 3 d collection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itrogen retention (86.79%) of pigs fed treatment two diet was higher than that of pigs fed treatment one by 5.2% (p<0.05). The nitrogen retention of treatment three was intermediate 83.09%. The apparent fecal digestibility of all amino acids in treatment two was numerically highest, followed by treatments three and fou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p>0.05). The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crude protein (CP), and crude fiber (CF) digestibility numerically decreased as the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level increased,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Chromium content in feces (from the inclusion of 0.3% chromic oxide in the diets) differed among treatments (p<0.05) at 15 h, 18 h, and 21 h after eating. This showed that the digesta transit time wa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reatments. Treatment four was the shortest, followed by treatment three, SBM and control.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the absence of antinutritional factors and soybean antigen protein, inclusion of 1% and 2% stachyose in corn-HP300 die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igestibility of DM, OM, CP, CF and amino acids. When the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 level in diet one and diet three were adjusted to be almost the same, antinutritional factors such as trypsin inhibitor and soybean antigen protein could decrease the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rate of diet. High levels of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shortened the digesta transit time in the intestinal tract. This trial suggested that the total level of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 (stachyose+raffinose) in the weanling piglet diet is better not to exceed 1% when common soybean meal is used as main protein source.

식이섬유의 섭취가 만성 기능성 변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ber Supplements on Functional Constipation)

  • 김지영;김오연;유현지;김태일;김원호;윤영달;이종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1호
    • /
    • pp.35-43
    • /
    • 2006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with snack type on functional constipation. We conducted a double blind case-control study with 3 groups; placebo, low dose group (LD: insoluble fiber 7 g/d + soluble fiber 1.2 g/d) and high dose group (HD: insoluble fiber 14 g/d + soluble fiber 2.4 g/d) , which were randomly assigned out of subjec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defined by modified Rome II criteria. We measured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evaluated the bowel movement frequency, stool type, straining, sense of complete evacuation, abdominal discomfort/pain, abdominal inflation, relief and colon transit time before, during the supplementation. Both LD and HD groups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raining, sense of complete evacuation and satisfactory relief compared with placebo group (p < 0.05). When subdivide by baseline colon transit time (less than 24 hrs/ 24 hrs or more and less than 72 hrs / 72 hrs or more), only HD group had significantly improvement; colon transit time recovered near by 24 hrs in subjects of 'less than 24 hrs' (from $7.57{\pm}1.40$ hrs to $25.2{\pm}3.91$ hrs, p < 0.01) and reduced in those of '24hr or more and less than 72 hr' (from $47.0{\pm}3.36$ hrs to $31.3{\pm}4.31$ hrs, p < 0.01) and '72 hr or more' (from $106.7{\pm}10.7$ hrs to $85.0{\pm}13.1$ hrs, P < 0.05) subjects. Particularly, positive effect of fiber supplementation on straining and sense of complete evacuation in test groups seemed to be greater in subjects of '24 hrs or less' and '24 hrs or more and less' than 72 hrs' than those of '72 hrs or more'. In conclusion, subjec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particularly those having colon transit time less than 72 hrs can significantly improve, at least in part, symptom related to constipation by fiber supplementation of snack type without serious side effects.

지체호를 사용하는 시간 전개형 네트워크의 개발 (Development of Time-Expanded Network using Hold-over Arcs)

  • 이달상;김만식;이영해
    • 산업공학
    • /
    • 제4권2호
    • /
    • pp.25-34
    • /
    • 1991
  • The problem of scheduling the passage things with low transit priority to maximize the amonnt that can be sent during given time period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xed schedule for passage things with high transit priority in a track, is treated in this paper. The problem is transformed into the Time Expanded Network without traverse time through the Ford and Fulkerson Model and the Enumeration Algorithm is developed for solutions using TENET GENerator(TENETGEN). Finally,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ared with Dinic's maximal-flow algorithm and examined for the availability of the procedures on the personal computer.

  • PDF

파파베린과 테크니시움을 이용한 음경발기촬영술 (Erection Penogram with Papaverine and 99m Tc-HSA)

  • 최형기;정병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3권2호
    • /
    • pp.181-185
    • /
    • 1986
  • To estimate the penile blood flow changes during artificial with erection intracorporeal papaverine injection, we injected 99 m Technitium-Human Serum Albumin via antecubital vein simultaneously and calculate the radioisotope activity of the penis using computerized Gamma Camera. We classified the results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transit time, erection persistent time and venous index in 67 impotence patients. We defined the arteriogenic impotence with the delayed transit time (more than 600 seconds) in 13 patients and venogenic with the shortened erection persistant time (less than 200 seconds) and decreased venous index (less than 0.8) in 11 patients. The rest of them (43 patients) were regarded as equivocal impotence, probably nonvasculogenic or psychogenic.

  • PDF

대중교통 이용자의 환승교통수단선택 행태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s' Travel Behavior Analysis of Transit Transfer)

  • 이상혁;김재석;김민석;우용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47-157
    • /
    • 2013
  • 본 연구는 개별형태모형 중에서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대구시의 대중교통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환승교통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한 것이다. 다항로짓모형 추정을 위해 사용된 종속변수는 버스${\leftrightarrow}$버스, 버스${\leftrightarrow}$지하철, 지하철${\leftrightarrow}$지하철, 버스${\leftrightarrow}$기타교통수단, 지하철${\leftrightarrow}$기타교통수단의 5가지 유형을 사용하였고, 환승교통 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설명변수로는 성별, 나이, 교통주체, 통행목적, 환승지역, 통행비용, 통행시간의 7가지를 사용하였다. 구축한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주어진 설명변수의 값에 대한 환승확률을 산정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rho}^2$는 0.354로서 적합하게 나타났다. 설명변수(통행시간, 통행비용)값의 변화에 따른 확률변화를 가지고 한계효과를 분석하였다. 통행시간에 따른 환승의 한계효과는 통행시간이 증가하면 할수록 버스${\leftrightarrow}$버스, 버스${\leftrightarrow}$지하철의 이용객들이 지하철${\leftrightarrow}$지하철로 전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행요금에 따른 환승의 한계효과 분석에서는 버스${\leftrightarrow}$버스, 버스${\leftrightarrow}$지하철의 이용요금이 증가함에 따라 버스 및 지하철${\leftrightarrow}$기타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시의 주차 및 대중교통 이용여건이 통행목적별 교통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the Accessibility of Parking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Mode Choice by Trip Purpose in the city of Seoul)

  • 성현곤;신기숙;노정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97-10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통행목적별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를 것이라고 판단하고, 교통수단을 결정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그 요인들의 영향을 찾아보았다. 변수들로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목적지와 거주지에서 대중교통수단 결절점 접근성, 그리고 승용차 이용여건 등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통행자는 통행목적과 상관없이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데에 통행시간을 크게 고려하고 있어서, 통행시간이 길수록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고, 환승을 감수하며, 버스보다는 지하철을 선택한다. 승용차 여부를 선택 시에는 차량이용 여건과 목적지의 주차용이성을 고려하며, 대중교통수단 선택이후에는 대중교통 결절점 접근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목적간 비교에서는 통근통행에서는 목적지에서의 주차와 차량이용 여건이 좋을수록 승용차를, 쇼핑 및 여가통행에서는 주거지에서의 버스 및 지하철의 접근성에 따라서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