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erable Skil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The Activation of Transferable Skill of Advanced S & T (Science & Technology) Manpower with the Global HRD Convergence Research

  • Lim, In-Jong;Lee, Jeong-Hwan;Lee, Chunsu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20
    • /
    • 2019
  • Purposes - This study propose the following 4 methods to establish Global HRD system focusing on transferable skill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The activation of convergence research creates new industries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research methods and expert interviews focused on document analysis. This study also reflects trends through books and materials that cover the latest issues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sults - 4 Things are reflecting the policies of S&T Manpower and securing execution capability, developing competence-based transferable skill model, enhancing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R&D and performance capability, and developing customized HRD program. Conclusions - Transferable skills will contribute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long term by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at can create new industries and secure future growth powe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Practically, it was suggested that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ionals should be able to refer to the HRD program design and HRD program design by suggesting the view of transferable skill and the activation plan reflecting the insight.

노동이동과 인력개발 (Labor Mobility and Skill Development)

  • 이병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28권1호
    • /
    • pp.1-28
    • /
    • 2005
  • 노동이동의 증대가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재배분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능력개발이 요구된다. 우선 노동이동의 효율성을 경력변동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외환위기 이후 실업을 경험하는 노동이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실업을 경유하지 않는 직장이동 시에도 산업과 직업의 변화를 동반한 경력간 이동을 경험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경력변동을 동반한 직장이동은 동일 산업이나 직업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임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경력변동을 동반한 노동이동은 근로자가 보유한 숙련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노동이동의 증대에 따른 인력개발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훈련을 통해 획득하는 숙련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과거 직장에서 받은 훈련에 대해서도 기업이 보상한다는 분석 결과는 기업이 실시하는 훈련이 다른 기업에도 통용가능한 숙련을 형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숙련의 통용가능성은 기업훈련의 과소 투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훈련이 산업간 이동에 미치는 분석 결과를 통해 훈련의 산업특수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은 기업간에 훈련투자 비용과 수익을 공유할 수 있는 산업별 인력개발 체제의 수립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 PDF

우리나라 연안어업생산에 있어서 인적요소의 영향분석 (The Effect of Person-Specific Factors on Coastal Vessel Fishing Catch in Korea)

  • 김기수;강용주
    • 수산경영론집
    • /
    • 제30권2호
    • /
    • pp.79-89
    • /
    • 1999
  • This study is conducted to apply the insight of Johnson and Libecap(1982) to Korea's coastal vessel fishing. According to Johnson and Libecap(1982) the differences in fishing ability are largely attributed to acquired knowledge and innate skills. Since those skills are unlikely to be readily transferable assets, economic rents exist in the fishery, even under open access conditions. Therefore the paper tries to examine whether the acquired information from fishing experience and innate skill could also have an effect on catch variation of coastal vessel fishing in Kyung-Nam province. To do so, the paper is performing the analysis by establishing econometric model. Results show us that the acquired information from fishing experi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tch variation, but the innate skill does not.

  • PDF

A Systematic Review of Evidence for Education and Training Interventions in Microsurgery

  • Ghanem, Ali M.;Hachach-Haram, Nadine;Leung, Clement Chi Ming;Myers, Simon Richard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312-319
    • /
    • 2013
  • Over the past decade, driven by advances in educational theory and pressures for efficiency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here has been a shift in surgical education and training towards enhanced simulation training. Microsurgery is a technical skill with a steep competency learning curve on which the clinical outcome greatly depend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vidence for educational and training interventions of traditional microsurgical skills courses in order to establish the best evidence practice in education and training and curriculum design. A systematic review of MEDLINE, EMBASE, and PubMed databases was performed to identify randomized control trials looking at educational and training interventions that objectively improved microsurgical skill acquisition, and these were critically appraised using the BestBETs group methodology. The databases search yielded 1,148, 1,460, and 2,277 citations respectively. These were then further limited to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rom which abstract reviews reduced the number to 5 relevant randomis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The best evidence supported a laboratory based low fidelity model microsurgical skills curriculum. There was strong evidence that technical skills acquired on low fidelity models transfers to improved performance on higher fidelity human cadaver models and that self directed practice leads to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Although there is significant paucity in the literature to support current microsurgical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ces, simulated training on low fidelity models in microsurger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hat leads to acquisition of transferable skills and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Further research to identify educational interventions associated with accelerated skill acquisition is required.

과학 교육에서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the Skill-Based Approach to Scientific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 오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1-1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탐구에 대한 기능 중심의 접근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최근 과학 교육 개혁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학적 실천의 의미를 시험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들을 수집하여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세부 주제에 따라 정리하였다. Science-A Process Approach (SAPA)로 대표되는 기능 중심의 접근에서는 과학 탐구 기능들을 위계적으로 연계하여 제시하고, 이들은 전이성 또는 일반화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였으며, 발견을 통한 과학 학습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입장은 기능의 사용에 이론이 적재되어 있다는 현대 과학 철학의 관점과 상충되었으며, 탐구에서 사용되는 기능들이 내용-특이적 또는 맥락-의존적이라는 사실과 추상적인 과학 이론이나 원리는 귀납적으로 발견될 수 없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 왔다. 이와는 달리 과학적 실천을 강조하는 최근의 입장에서는 과학적 실천을 총체적인 행위로 이해하고, 그것이 전개되는 양상은 내용이나 맥락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며, 과학 수업에서도 학생의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고려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과학 탐구에 관한 일관된 관점을 정립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과학 교육과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우수 한우의 수정란 생산 및 이식 (Embryo Production in Superior Hanwoo Donors and Embryo Transfer)

  • 손동수;한만희;최창용;최선호;조상래;김현종;류일선;최성복;이승수;김영근;김삼기;김상희;신권희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7-156
    • /
    • 2006
  • 본 연구는 MOET 기법에 의해 우수한 한우로부터 다수의 수정란을 회수하여 농가의 소에 이식하므로서 우수한 유전 자원을 확산시키고자 실시하였다. 80두의 우수 한우 공란우를 선발하여, 발정 확인 후 황체기에 성선 자극 호르몬($Folltropin^(R)-V$)을 투여하는 기존의 과배란 처리법과 임의의 발정주기에 CIDR를 삽입하고 성선 자극 호르몬을 투여하는 새로운 과배란 처리법에 의한 수정란 생산 비교와 CIDR 삽입한 한우 공란우에서 성선 자극 호르몬 ($Antorin^(R)R10$)의 투여 용량의 차이 (36 mg vs 28 mg) 에 따른 수정란 생산 성적을 비교하였다. 한편, 우수 공란우로부터 채란된 신선 수정란 또는 동결-융해 수정란을 농가 수란우 226두에 이식하였으며, 이식 결과 수태율에 대한 수정란 상태(신선 vs 동결-융해), 년도, 이식 시술자, 계절, 농가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우 공란우에서 기존의 과배란 처리 방법에 비해서 발정의 확인없이 CIDR를 삽입 후 과배란 처리 방법이 보다 많은 총회수 난자(6.5 vs. 5.8)와 이식 가능 수정란(3.9 vs.3.2)을 회수하였다(p<0.01). CIDR 처리 한우 공란우에서 성선 자극 호르몬($Antorin^(R)R10$) 용량을 36 mg으로 처리시가 28 mg 처리시 보다 많은 이식 가능 수정란(8.3 vs. 5.4)을 회수하였다(p<0.05). 수정란 이식후 수태율은 수정란의 상태(신선 43.9% vs 동결-융해 23.1%) 및 이식 시술자 (53.9 vs. $0{\sim}16.7%$)가 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의 결과는 CIDR를 이용한 과배란 처리 방법은 우수한 한우 수정란의 생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수정란의 농가 수란우에 대한 이식은 동결-융해 수정란의 수태율 증진 및 이식 시술자의 기술이 향상될 때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