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erable Embryo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2초

한우에 있어서 PEG에 용해시킨 Folltropin-V의 1회 피하주사에 의한 다배란 유기 (Superovulation in Korea Cattle with a Single Subcutaneous Injection of Folltropin-V Dissolved in Polyethyleneglycol)

  • 임석기;우제석;전기준;장선식;강수원;윤상기;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7-212
    • /
    • 1998
  • 본 연구는 한우에 있어서 다배란처리에 의한 체내 정상수정란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PEG에 용해한 FSH의 1회 피하주사 방법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1일 2회 4일간 근육 주사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회 근육주사 방법과 비교하여 1회 피하주사 방법이 황체수, 총 회수란수 및 이식가능 수정란수에 있어서 현저히 증가 (P〈0.05)하였다. 따라서 한우에 있어서 PEG에 용해시킨 Folltropin-V의 1회 피하주사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 PDF

Ovarian Response to Different Dose Levels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in Different Genotypes of Bangladeshi Cattle

  • Ali, M.S.;Khandoker, M.A.M.Y.;Afroz, M.A.;Bhuiyan, A.K.F.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호
    • /
    • pp.52-58
    • /
    • 2012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the Department of Animal Breeding and Genetics, Bangladesh Agricultural University (BAU), Mymensingh from June, 2001 to December, 2005 in two different locations (Central Cattle Breeding and Dairy Farm and Bangladesh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in Savar, Dhaka) to observe ovarian response to different doses of FSH in three different genotypes of cattle- indigenous Local, Pabna cattle and Friesian${\times}$Local cross. Five different dose levels used were 200, 240, 280, 320 and 360 mg. Ovarian response as corpus luteum (CL), recovered embryo (RE) and of transferable embryos (TE) count in Local were significant for 320, 280 and 280 mg respectively. In Pabna cattle CL, RE and TE count were found significant for 360, 320 and 320 mg respectively. In Friesian${\times}$Local cross CL, RE and TE count were found significant for 360, 320 and 320 mg respectively. The excellent quality embryos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st yield ($1.80{\pm}0.20$) in the 240 and 280 mg FSH levels in Local genotype. In Pabna cattle, the highest yield ($2.00{\pm}0.32$) was found at FSH level 320 mg. In Friesian${\times}$Local, the highest yield ($2.20{\pm}0.20$) was found at FSH level 280 mg.

유우의 과배란 처리에 있어서 산유량, 분만 후 처리시기 및 계절이 체내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Production, Postparient Days or Seasons on In Vivo Embryo Production by Superovulation in Holstein Cows)

  • 임광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3-37
    • /
    • 2009
  • 본 연구는 고능력 유우 공란우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체내 수정란 생산을 위한 다배란 처리의 결과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다배란 처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공란우의 다배란 처리는 발정 주기 $10{\sim}13$일째 POLLTROPIN-V(Vetrepharm, Canada) 400mg NIH-FSH-P를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감량법에 따라서 주사를 하였다. 호르몬 주사 6, 7회 째 황체 융해 및 발정 유도를 위하여 $PGF_2{\alpha}$(Estron, Czech Republic)를 근육 주사하였으며, 승가 허용 발정을 보인 공란우는 발정으로부터 12h, 24h에 2회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수정란 회수는 발정으로부터 7.5일에 실시하여 전체 회수 수정란 중에서 이식가능 수정란을 구별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생 산량에 따른 회수 수정란 수와 이식 가능 수정란 수는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2. 분만 후 경과 일수에 따른 회수 수정란 수와 이식 가능 수정란 수는 분만 후 $61{\sim}90$일이나 $121{\sim}150$일 사이에 채란을 실시한 경우가 분만 후 $91{\sim}120$일 혹은 151일 이상에서 채란한 경우보다 낮았으나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3. 계절에 따른 회수 수정란 수와 이식 가능 수정란 수는 다른 계절과 비교하여 여름철에 가장 낮았으나 계절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능력 유우 공란우를 다배란 처리 할 때는 유생산량이나 분만 후 경과 일수 혹은 계절에 관계없이 채란을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우 과배란처리시 CIDR 처리와 미처리가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regarding of Heat Detection on Embryo Production in Superovulation of Hanwoo)

  • 최선호;손동수;류일선;조상래;한만희;김현종;최창용;김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1-315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를 공란우로 이용시 효율을 최대화하고, 과도한 호르몬의 투여를 억제하며, 그로 인하여 공란우의 경제수명을 연장하고자 과배란 처리시 차기 발정을 고려하지 않고 과배란을 유도하였을때 공란우의 반응과 수정란의 생산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자연발정을 확인하고 차기발정 5일전에 FSH를 1일 2회 4일 간 투여한 것과 발정을 확인하지 않고 CIDR를 이용하여 동일한 호르몬을 방법으로 과배란을 처리하였을 때, 반응율은 각각 $82.2\%,\;89.7\%$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자연발정을 확인하고 차기 발정 5일전에 FSH를 1일 2회 4일간 투여한 것과 발정을 확인하지 않고 CIDR를 이용하여 동일한 호르몬을 같은 방법으로 과배란을 처리하였을 때, 수정란의 회수율은 각각 7.7개, 10.5개를 회수하였고, 그 중 이식가능 수정란은 각각 3.4개, 3.8개를 나타냈으며, 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로 한우 공란우는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발정주기를 확인하지 않고도 과배란처리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정란의 회수에 있어서도 적절하게 채취할 수 있으므로 한우를 공란우로서 과도한 호르몬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경제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고능력 한우를 이용한 수정란 이식의 활성화에 유용한 방법이며, 농가에도 확산하여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투여 농도가 칡소 수정란의 생산과 이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Dosage on the Production and Pregnancy of Embryos Derived from Korean Brindle Cows)

  • 최수호;박용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115-122
    • /
    • 2014
  • 한우는 털색에 따라 황소, 칡소 또는 흑소로 분류되고, 칡소는 1,700여두만 전국에 사육되고 있어 보존과 증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연구는 아주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칡소의 보존과 대량증식을 위하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 용량이 수정란 생산 및 이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FSH 240 mg과 280 mg을 각각 처리하여 회수수정란, 이식가능한 수정란은 차이가 없었으나, 임신율이 280 mg이 46%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칡소 송아지의 생시체중이 인공수정 방법은 평균 25.6 kg, 수정란이식 방법은 평균 24.8 kg으로 비슷하였다.

우수 한우의 수정란 생산 및 이식 (Embryo Production in Superior Hanwoo Donors and Embryo Transfer)

  • 손동수;한만희;최창용;최선호;조상래;김현종;류일선;최성복;이승수;김영근;김삼기;김상희;신권희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7-156
    • /
    • 2006
  • 본 연구는 MOET 기법에 의해 우수한 한우로부터 다수의 수정란을 회수하여 농가의 소에 이식하므로서 우수한 유전 자원을 확산시키고자 실시하였다. 80두의 우수 한우 공란우를 선발하여, 발정 확인 후 황체기에 성선 자극 호르몬($Folltropin^(R)-V$)을 투여하는 기존의 과배란 처리법과 임의의 발정주기에 CIDR를 삽입하고 성선 자극 호르몬을 투여하는 새로운 과배란 처리법에 의한 수정란 생산 비교와 CIDR 삽입한 한우 공란우에서 성선 자극 호르몬 ($Antorin^(R)R10$)의 투여 용량의 차이 (36 mg vs 28 mg) 에 따른 수정란 생산 성적을 비교하였다. 한편, 우수 공란우로부터 채란된 신선 수정란 또는 동결-융해 수정란을 농가 수란우 226두에 이식하였으며, 이식 결과 수태율에 대한 수정란 상태(신선 vs 동결-융해), 년도, 이식 시술자, 계절, 농가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우 공란우에서 기존의 과배란 처리 방법에 비해서 발정의 확인없이 CIDR를 삽입 후 과배란 처리 방법이 보다 많은 총회수 난자(6.5 vs. 5.8)와 이식 가능 수정란(3.9 vs.3.2)을 회수하였다(p<0.01). CIDR 처리 한우 공란우에서 성선 자극 호르몬($Antorin^(R)R10$) 용량을 36 mg으로 처리시가 28 mg 처리시 보다 많은 이식 가능 수정란(8.3 vs. 5.4)을 회수하였다(p<0.05). 수정란 이식후 수태율은 수정란의 상태(신선 43.9% vs 동결-융해 23.1%) 및 이식 시술자 (53.9 vs. $0{\sim}16.7%$)가 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의 결과는 CIDR를 이용한 과배란 처리 방법은 우수한 한우 수정란의 생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수정란의 농가 수란우에 대한 이식은 동결-융해 수정란의 수태율 증진 및 이식 시술자의 기술이 향상될 때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Reproductive Biotechnologies for Improvement of Buffalo: The Current Status

  • Purohit, G.N.;Duggal, G.P.;Dadarwal, D.;Kumar, Dinesh;Yadav, R.C.;Vyas,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7호
    • /
    • pp.1071-1086
    • /
    • 2003
  • Reproductive biotechnologies continue to be developed for genetic improvement of both river and swamp buffalo. Although artificial insemination using frozen semen emerged some decades back, there are still considerable limitations. The major problem appears to be the lack of efficient methods for estrus detection and timely insemination. Controlled breeding experiments in the buffalo had been limited and similar to those applied in cattle. Studies on multiple ovulation and embryo transfer are essentially a replica of those in cattle, however with inherent problems such as lower number of primordial follicles on the buffalo ovary, poor fertility and seasonality of reproduction, lower population of antral follicles at all stages of the estrous cycle, poor endocrine status and a high incidence of deep atresia in ovarian follicles, the response in terms of transferable embryo recovery has remained low with 0.51 to 3.0 per donor and pregnancy rates between 15 to 30%. In vitro production of buffalo embryos is a valid alternative to recovery of embryos by superovulation. This aspect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during the past decade, however the proportion of embryos that develops to the blastocyst stage is still around 25-30% and hence the in vitro culture procedures need substantial improvement. Embryo cryopreservation procedures for direct transfer post thaw need to be developed for bubaline embryos. Nuclear transfer and embryo cloning is a technique that has received attention in various species during recent years and can be of immense value in buffaloes as they have a low rate of embryo recoveries by both in vitro and in vivo procedures. Gender pre-selection, genome analysis, gene mapping and gene transfer are a few of the techniques that have been studied to a limited extent during recent years and are likely to be included in future studies on buffaloes. Very recently, reproductive bio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feral buffaloes as well, but the results obtained so far are modest. When fully exploited the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한우의 반복 과배란 및 산차가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tiple Superovulation and Parity on Embryo Production in Hanwoo)

  • 최선호;류일선;손동수;조상래;한만희;김현종;최창용;김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5-190
    • /
    • 2005
  • 본 연구는 소에 있어서 다량의 수정란을 생산하여, 고능력의 유전인자를 조기에 확산할 수 있도록, 한우 공란우의 반복 과배란을 유도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수정란 생산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4회 반복적으로 과배란 처리하였을 때, 수정란 채란이 가능한 공란우는 $85.7\%,\;90.5\%,\;62.5\%,\; 100\%$였으며, 3회 처리시 다소 낮아, 약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2.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4회 반복적으로 과배란 처리하였을 때, 수정란 회수는 각각 9.2개, 9.9개, 7.0개, 10.7개였으며, 이식 가능 수정란은 3.7개, 3.4개, 3.4개, 5.7개였다. 반복과배란 처리에 의한 이식 가능 수정란의 회수 율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한우 공란우의 산차에 따른 수정란의 회수는 미경산우 6.0개였으며, $1\~4$산까지는 각각 8.7개, 11.4개, 9.9개, 7.6개였으며, 이식 가능 수정 란은 2.5개, 3.0개, 5.3개, 3.0개, 3.4개로 나타났으며, 미경산 및 1산차에서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한우 공란우는 경산우 및 미경산 우를 4회 연속 과배란 처리하여 수정란을 채취하여도 적정량의 수정란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산차에 의한 수정란회수율에 있어서도 적정량의 수정란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고능력의 한우 공란우를 알맞은 번식 및 사양관리를 통하여 유전능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어, 수정란 이식 기술의 산업화를 안정적으로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Dosage Based on Body Weight Enhances Ovulatory Responses and Subsequent Embryo Production in Goats

  • Rahman, M.R.;Rahman, M.M.;Khadijah, W.E. Wan;Abdullah, R.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9호
    • /
    • pp.1270-1275
    • /
    • 2014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orcine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pFSH) dosage based on body weight (BW) on ovarian responses of crossbred does. Thirty donor do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getting pFSH dosages of 3, 5, and 8 mg pFSH per kg BW, respectively, and were named as pFSH-3, pFSH-5 and pFSH-8, respectively. Estrus was synchronized by inserting a 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 (CIDR) device and a single injection of prostaglandin $F2{\alpha}$ ($PGF2{\alpha}$). The pFSH treatments were administered twice a day through 6 decreasing dosages (25, 25, 15, 15, 10, and 10% of total pFSH amount; decreasing daily). Ovarian responses were evaluated on Day 7 after CIDR removal. After CIDR removal, estrus was observed 3 times in a day and pFSH treatments were initiated at 2 days before the CIDR removal. All does in pFSH-5 and pFSH-8 showed estrus signs while half of the does in pFSH-3 showed estrus signs. No differences (p>0.05) were observed on the corpus luteum and total ovarian stimulation among the treatment groups, while total and transferable embryos were higher (p<0.05) in pFSH-5 (7.00 and 6.71) than pFSH-3 (3.00 and 2.80) and pFSH-8 (2.00 and 1.50), respectively. In conclusion, 5 mg pFSH per kg BW dosage gave a higher number of embryos than 3 and 8 mg pFSH per kg BW dosag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osage of pFSH based on BW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for superovulation in goats.

소의 비외과적 수정란이식에 있어서 수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regnancy Rates Following Non-surgical Embryo Transfer in Cow)

  • 황우석;조충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
    • /
    • 1988
  • An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nterior pituitary gonadtropin on super-ovulation in donors, embryo quality, development stage of embryo, transfer location, corpus luteum quality of recipient, ease of transfer and induced versus natural estrus on pregnancy rat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51 non-surgical transfers of fresh and frozen bovine embryos. 1. The average number of CL, formed in ovaries which were stimulated with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and/or APG, were 11. 1${\pm}$1.21, 12.3${\pm}$1.84, respectively. The numbers of embryos recovered were 8.2${\pm}$1.35, 8.7${\pm}$ 1.39, and the numbers of transferable embryos were 6.4${\pm}$0.98. 6.6${\pm}$1.01. respectively. 2 There was no effect of spontaneous versus prostaglandin-induced estrus of recipients on pregnany rates of either fresh (61.5% vs. 59.5%) or previously frozen(54.5% vs. 58.5%) embryo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pregnancy rates for embryo grade 1(63.6%), grade 2 (45.4%) and grade 3 (30.4%) in fresh group and for grade-1 (60.5%), grade-2 (47.8%) and grade-3 (18.1%) in previously frozen embryos. 4. The recipients transfered with embryo morulae were found to have a lower (p<0.05) pregnancy rates than those transfered with embryos of blastocyst in be th fresh and previously frozen embryos.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ansfer locations in pregnancy rates using both fresh and frozen embryos. 6. Attempts to select recipients for high pregnancy rates on the basis of corpus luteum (CL) quality were performed. CL were classified into 3 quality grades, on the basis of size and prominence. Quality grades 1 and 2 group had higher (p<0.05) pregnancy rates than grade-3 group using both fresh and frozen embryos. 7 Ease of transfer was ranked to a scale of one to three on the basis of increasing difficulty (time required). Transfers ranted as ease score 1 and 2 had significantly higher (P<0.05) pregnancy pregnancy rates (45.8%, 66.6%) than ease score 3 (27.7%, 31.8%) using both fresh and frozen embryos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