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Signal

검색결과 994건 처리시간 0.033초

최적 신호주기의 결정을 위한 컴퓨터 시뮤레이션 모델 (A Computer Simulation Model for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Cycle Time of Traffic Signal)

  • 권영식;박영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63-68
    • /
    • 1982
  • We can reduce delays and number of stops in the traffic area by means of optimal design of traffic signal system. A computer simulation model to simulate and predict the traffic signal system of Jong-Ro 4-th street was developed for determination of optimal cycle time. This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in relation to Jong-Ro 4-th street, but this model can be applied for other places with small modification.

  • PDF

해석적 방법을 이용한 능동식 트램 우선신호의 신호시간 및 교차로 대기시간 산정 모형 (Signal Timing and Intersection Waiting Time Calculation Model using Analytical Method for Active Tram Signal Priority)

  • 정영제;정준하;주두환;이호원;허낙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10-4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트램의 능동식 우선신호를 위해 해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신호시간 및 트램의 교차로 대기시간을 산정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모형을 통해 상류부 검지기에서 트램이 검지된 시간을 기준으로 능동형 우선 신호 기법 중 Early Green 및 Green Extension을 위한 신호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모형은 트램 통행의 관점에서 트램의 교차로 지체를 의미하는 트램의 교차로 대기시간을 산정할 수 있다. 우선신호의 구동환경에서 비우선 현시의 잔여녹색시간에서 우선현시의 추가녹색시간을 제공하게 되며, 트램은 비우선현시의 최소녹색시간 동안 교차로에서 대기하게된다. 본 모형에서는 우선신호의 신호시간 및 트램의 교차로 대기시간을 해석적 방법으로 모형화하였다. 독립교차로를 대상으로 하는 사례분석에서는 120초의 주기길이에 비우선현시의 여유녹색시간을 44초에서 10초까지 적용하여 트램의 평균 교차로 대기시간이 12.7초에서 29.4초까지 산정됨을 확인하였다.

신호위반 단속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Enforcement on Traffic Signal Violation - Focused on Daegu City -)

  • 김기혁;정윤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6D호
    • /
    • pp.553-560
    • /
    • 2010
  • 본 연구는 신호위반 단속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신호위반 단속건수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모형을 개발하여 예측된 모형을 통해 신호위반 단속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규칙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교통사고의 위험을 항시 내포하고 있는 교통법규 위반행위가 빈번한 지역에 대한 무인다기능단속시스템의 설치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퍼지AHP를 이용한 교통신호제어기의 교통대안확정방법 (A Method of Conclusion of Traffic Control Signal Proposal using Fuzzy Analytic Hierachy Process)

  • 진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592-1598
    • /
    • 2008
  • 기존의 교통신호기의 방법은 고정신호제어기이다. 즉, 교통대안을 한 가지씩 채택하여 24시간 내내 이미 결정한 교통신호대안에 의존하여 주기 싸이클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교통신호 운영자가 교통대안을 잘못 입력하여 설정하게 되면 교차로내에서 잘못된 교통대안으로 인해 교통지체가 빈번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교통대안은 눈으로 보아 설정하는 것이 아니고 유력한 교통대안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영향력 있는 교통대안을 설정하는 것이 교통신호제어에 유효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신호제어기를 사용하여 제어기에 맞는 교통대안을 찾는 방법을 퍼지계층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찾는 방법을 모색하고 기존제어기와 비교 검토한다.

녹색신호 점멸주기와 횡단보행거리가 보행자에게 미치는 영향분석 (A Study on Flickering Cycle of Green Signal and walking distance for the Pedestrian)

  • 이상도;손주희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3-278
    • /
    • 2002
  • Modern society is an interaction between many different environments. It is important to the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especially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One of the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is the traffic system, especially the traffic signals which give priority to pedestrian and traffic flow. Traffic signals for the pedestrian on the crosswalk contribute to a safe road environment for the pedestrian, while the traffic signals for the pedestrian running for the flickering of the green signal causes psychological stres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walking velocity was influenced by the flickering of the green signal or not.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walking distance had an effect on the walking velocity of the elderly pedestrian or not. It was proved that the flickering of the green signal and the walking distance influenced the walking velocity and subjective sensitivenes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 PDF

회전교차로의 접근로 신호최적화를 통한 도입효과 분석 (Measurement of Effectiveness of Signal Optimized Roundabout)

  • 엄정은;정희진;배상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91-98
    • /
    • 2015
  • PURPOSES : Although signalized intersections have been considered the best way to control traffic volume in urban areas for several decades, roundabouts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as an alternative way to control traffic volume, especially when traffic is light. Because a roundabout's efficiency depends on the load geometry as well as the traffic volume, design guidelines for roundabouts are recommended only if the incoming traffic volume is very low. It is rare to substitute a roundabout for an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 in urban areas.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benefits from the transformation of an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 into a roundabout in an urban area. When there is a more moderate volume of traffic, roundabouts can be effectively used by optimizing signals located at an approaching roadway. METHODS : The methodologi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 signalized intersection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traff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signalized intersection was transformed into a roundabout using VISSIM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Then, we estimated and analyzed the effects and the performance of the roundabout. In addition, we adjusted a method to improve the benefits of the transformation via the optimization of signals located at an approaching road to control the incoming traffic volume.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signal-optimized roundabout improved delays compared with the signalized intersection during the morning peak hour, non-peak hour, and evening peak hour by 1.78%, 12.45%, and 12.72%, respectively.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of each scenarios, the signal-optimized roundabout had less delay time tha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If optimized signal control algorithms are installed in roundabouts in the future, this will lead to more efficient traffic management.

PGA: An Efficient Adaptive Traffic Signal Timing Optimization Scheme Using Actor-Critic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 Shen, Si;Shen, Guojiang;Shen, Yang;Liu, Duanyang;Yang, Xi;Kong, Xiangji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11호
    • /
    • pp.4268-4289
    • /
    • 2020
  • Advanced traffic signal timing method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reducing road congestion and air pollution. Reinforcement learning is considered as superior approach to build traffic light timing scheme by many recent studies. It fulfills real adaptive control by the means of tak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s state, and adjusting traffic light scheme as action. However, existing works behave inefficient in complex intersections and they are lack of feasibility because most of them adopt traffic light scheme whose phase sequence is flexible. To address these issues, a novel adaptive traffic signal timing scheme is proposed. It's based on actor-critic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and advanced techniques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and generalized advantage estimation are integrated. In particular, a new kind of reward function and a simplified form of state representation are carefully defined, and they facilitate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and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respectively. Meanwhile, a fixed phase sequence signal scheme is derived, and constraint on the variations of successive phase durations is introduced, which enhances its feasibility and robustness in field applications. The proposed scheme is verified through field-data-based experiments in both medium and high traffic density scenarios. Simulation results exhibit remarkable improvement in traffic performance as well as the learning efficiency comparing with the existing reinforcement learning-based methods such as 3DQN and DDQN.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Traffic Signal Controller)

  • 고세진;이재관;박상민;고광용;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3-59
    • /
    • 2019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통신호제어기는 220V의 고전압을 신호등에 일대일로 직접 전달하는 스위치 제어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교통신호제어기와 신호등들을 연결하는 데 상대적으로 많은 케이블이 소요되고, 또한 감전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도로교통공단에서는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에 디지털 통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의 규격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표준규격서를 바탕으로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와 아날로그 교통신호제어기가 혼재되어 있어도 현재 운영 중인 신호제어시스템에서 운영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효율적인 신호교차로 운영방안 연구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Traffic Flow on Intersection)

  • 황인식;김수성;오세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5-5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차로에서 교통류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연구 결과 신호교차로 에서의 교통류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좌회전 진입허가 lane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진입교통신호를 기다리는 차량들이 있는 신호교차로를 선정하여 교통신호현시를 변경함에 따른 신호교차로, 방향 및 신호현시별 교통량(밀도)의 기하학적 구조를 연구하는 것이다. 현 상황과 개선 안 적용시의 방향별 교차로전체의 지체가 비교되었다. 교통분석 패키지인 TSIS(Traffic Software Integrated System)를 사용하여 교차로 교통상황이 분석되었다. 도입가능한 실제 교차로를 조사하여 마산시 석전교차로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비보호로 진입한 방향에서는 지체가 78.6초/대 향상되었으며, 지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향에서는 4초/대의 증가로 큰 영향을 주지않았다. 즉, 교차로 전체의 대기시간이 개선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교차로 교통 흐름 제어 최적화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optimization of traffic flow control at intersections)

  • 이추담;송정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5-24
    • /
    • 2022
  • 현재 교차로에서의 보행자 교통흐름이나 비동력차 교통흐름의 신호제어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다. 교통 흐름 신호 제어의 최적화 방안을 연구하여 보행자, 비동력차, 자동차 등의 전체적인 교통 흐름을 조화롭게 통제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교차로의 정체 상황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교차로의 교통 최적화를 위해 본 논문은 채널화 최적화와 위상 설계의 두 가지 측면에서 출발하며, 교차로에서의 충돌점의 수를 공간적, 시간적 할당으로부터 각각 감소시킨다. 고전적인 신호 타이밍 방법을 이론적 기반으로하고, 교통 여행객의 안전과 시간 적 이익 보장을 목표로 교차로의 채널화 최적화 및 신호 제어 방안을 제안한다. 자동차, 비자동차, 보행자를 객체로 하는 교차로의 채널화 및 위상 설계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교차로의 채널화 최적화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교차로 신호제어의 다목적 최적화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NSGA-I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모델을 해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