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Safety Facilities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35초

The Introductory Concept of Maritime Safety Audit as a tool for Identifying Potential Hazards

  • Cho, Ik-Soon;Kim, In-Chul;Lee, Yun-Sok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699-704
    • /
    • 2010
  • Recently, the navigation risk is increasing significantly with growing of vessels' volume and propelling marine facilities, water bridges and port development etc. As a result,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enacted a new law called MSA(Maritime Safety Audit) as a comprehensive maritime traffic safety management scheme in order to ensure safety improvements from the early planning stage to post managing of the development which affect the maritime traffic environment. MSA as a tool for improving maritime traffic safety is a formal safety diagnosis assessment in the existing or future ship's fairway by an independent audit institute. It examines the potential hazards of maritime traffic safety about the port development, if necessary, and is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safety measures. The primary purpose of MSA is to identify potential risk elements affecting safe navigation. This paper is aimed to introduce the backgrounds, the necessity and efficiency of MSA and also to describe some technical standards and diagnostic procedures.

자율주행 자동차 대응 교통안전시설의 정보 제공을 위한 한국형 통합 메시지 셋 설계 방안 연구 (Development of a Korean-version Integrated Message Set to Provide Information on Traffic Safety Facilities for Autonomous Vehicles )

  • 고은정;장혁준;한음;장기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84-298
    • /
    • 2022
  • 자율주행 자동차의 원활한 주행을 위해서는 도로상에 설치된 교통안전시설에 대한 정보 취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율주행 자동차에게 교통안전시설에 대한 표준화 된 정보를 제공하려는 방안으로 한국형 통합 메시지 셋 설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주행을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정보에 따라 필요한 교통안전시설을 4가지 기준(법적 근거,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정보 제공 유무, 중복된 정보 제공 유무, 기준 및 설치 형태의 모호성)에 따라 구분하였다. 주행 시 제공되는 정보의 중요도(12대 중과실, 행동 변화)에 따라 정보 전달의 우선순위를 구분하고, 전달 정보의 분류 코드 형태를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SAE J2735 준용을 위한 교통안전시설의 정보 위치와 전달 방안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 도로 주행에 앞서, 일반 운전자 기준으로 설치된 교통안전시설이 자율주행 자동차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도로의 운영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자율주행차량의 도로환경 인식기술 지원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 방안 (The recognition prioritization of road environment for supporting autonomous vehicle)

  • 박재홍;윤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95-601
    • /
    • 2018
  • 운전자가 차량 조작에 개입하지 않고, 차량 스스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자율주행차량 시대에서는 자율주행차량이 도로환경을 정확히 인식함으로써, 자율주행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다. 그러나, 도로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는 도로안전시설, 교통관리시설, 횡단구성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각각을 구성하고 있는 종류, 형태 및 규격은 다양하다. 따라서, 도로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시설물 중에서 우선적으로 취득해야 하는 도로시설물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설문 및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기법을 이용하여 도로시설물 인식에 대한 우선선위를 결정하였다. AHP 분석을 위해 항목을 2계층으로 구분했으며, 1계층은 도로안전시설, 교통관리시설, 횡단구성, 2계층은 시선유도시설을 포함한 26개의 항목을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1계층에서는 도로안전시설, 교통관리시설, 횡단구성 중 교통관리시설이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계층에서는 방호울타리(도로안전시설), 교통신호기(교통관리시설), 중앙분리대(횡단구성)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AHP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도출된 고정환경을 추출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도로시설물에 대한 우선순위 선정 결과는 자율주행차량을 위한 인식기술 지원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델파이 조사에 의한 교통안전시설 관련업무체계 개선방안 (A study on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operation using a delphi technique)

  • 손의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3-65
    • /
    • 1999
  • 본 연구는 도로상에 설치, 유지·관리되는 교통안전시설 관련업무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함에 그 목적이 있다. 현재 교통안전시설 관련업무는 예산과 대다수 인력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되나, 업무의 주관은 중앙행정기관인 경찰이 수행하는 이원화된 체계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델파이기법을 이용하여 교통안전시설 관련 업무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결과는 설문대상자 전체 또는 이해관계그룹별로 분석하였으며,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지각도상에 표현하여 분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할 때, 교통안전시설 관련업무체계는 일원화되어야 하는 바, 구체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내에 전문기관이 설립, 운영되는 것이 최적대안으로 제시되었으며, 교통경찰을 지방경찰화하는 것이 차선대안으로 제시되었다.

  • PDF

보행자 보호구역의 교통안전시설물 효과분석: 가변형속도제한표지와 비콘 중심으로 (Analysis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Pedestrian Protection Area: Focusing on Variable Speed Limit Signs and Beacons)

  • 김중효;하동익;박민철;송원철;하태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21-133
    • /
    • 2017
  • 1990년대 중반 이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등 학교 주변 안전과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어린이 통학 시의 주요 이동경로가 이루어지는 통학로까지는 확대되지 못해 사고예방 효과가 크지 않았다. 또한 자동차 급증으로 첨두시간대의 간선도로 교통이 이면도로로 우회함에 따라 어린이들의 주요 생활공간인 학교 권역까지 침범하는 등 어린이 안전과 환경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 교통사고 특성을 파악하고 서울시 여의도 중고등학교 및 경기도 운중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보행자 보호구역(어린이보호구역 포함)에 가변형속도제한표지 및 비콘을 설치하여 해당시설이 차량의 통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변형속도제한표지는 약 8.3km/h의 통행속도 감속효과가 나타났으며 비콘의 경우 미미하나마 오히려 0.8km/h의 통행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도출되었다. 또한 설치전후의 신호위반 차량대수를 조사한 결과 승용차, 버스, 화물차의 신호위반율이 약 3% 감소하였다.

해상풍력발전단지의 대체통항로 통항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Vessel Traffic Safety Assessment for Routeing Measures of Offshore Wind Farm)

  • 양형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6-19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정해상풍력단지 설치 해역과 인근수역을 이용하는 선박교통량과 해상교통흐름의 패턴을 분석하고 단지 조성 후 합리적인 대체통항로 지정에 따른 교통량을 예측하였다. 또한 예측된 교통량을 근거하여 통항로별 통항안전성을 평가하고 검토함으로써 선박의 안전운항에 필요한 제반조건 및 대책을 제시하였다. 풍력단지 설치 해역과 인근수역의 해상교통흐름 패턴을 분석한 결과 총 8가지의 교통흐름으로 분류되었고, 연간 교통량은 8,975 척으로 예측되었다. 이를 근거로 단지 조성 후 4가지의 대체 통항로 지정에 따른 교통량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교통량과 SSPA의 동력선충돌모델을 이용하여 통항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충돌 및 침로이탈확률에 관한 국내 안전기준 $10^{-4}$ 이하를 만족하므로 계획된 대체통항로가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Welcome the Challenges and Imaging the Sky Town

  • Cheng, Jiang Huan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71-277
    • /
    • 2017
  • Safety, livability, and efficiency are the three prominent problems of tall buildings, which are also the severe challenges to designers. We proposed the idea of building the sky town to solve these problems, which can be summarized in two sentences, one is tall building multi-storised, and another one is vertical facilities municipal-infrastructurised. The tall building can be horizontally cut into several multi-storey buildings by some large platforms. The platform extends a certain width to block the fire from spreading. Tall buildings are connected together as a group. One of them is a traffic core, which is used for vertical transportation and MEP. It connects to traffic center such as metro, while most of the other tall buildings' cores can be very much released, so as to achieve maximum efficiency of floor usable area and to give good traffic organization. By combining traffic core, platforms, and multi-storey buildings' inner traffic, a transportation network is formed. Finally, we refer to the design of Raffles City Chongqing to make a sketch of sky town.

A Study on Safe School Zone System using LabVIEW

  • Kim, Kyung-Hwa;Shim, Joon-Hwan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5호
    • /
    • pp.20-24
    • /
    • 2010
  • The total number of deaths by traffic accidents is decreasing every year in our country. However, in 2009, children died in traffic accidents at a rate of 2.3 deaths per 100,000 children, which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OECD countries (1.9 deaths per 100,000 children). In particular, traffic accidents are showing rapid increase in school zone during the past 2 years because of problems in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zone. Traffic safety facilities such as road sign, reflector mirror, speed bump have the ultimate limit of vehicle accidents prevention. Thus, in school zone, children safety is still not guaranteed due to illegal parking and the absence of driver's awareness of safety.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children from traffic accidents within school zones, we have realized a safe school zone system, which enables the drivers to better know the intended school zones and creates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unmanned monitoring camera, using LabVIEW.

  • PDF

노인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연구 (A Study on Factors Mfecting Safety Accidents among Elderly People)

  • 이창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5-115
    • /
    • 2004
  • The nation is turning into aging society, and safety accidents among elderly people are on the rise. When death roll caused by safety accidents was investigated, senior citizens who died from safety accidents outnumbered the other age groups who died for the same reason.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as traffic accidents, followed by suicide and a hurt from a fall, and Korea rated first among OECD member nations in death roll by traffic accidents. Aging brings a lot of physical changes to elderly people, and they are often likely to be involved in accidents such as a hurt from a fall due to degenerated sensory organs like hearing and eyesight and deteriorated motor skills. Unsafe social facilities also have them face a lot of accidents, including fracture and death, and such accidents take place even at home that is usually considered safe, or are triggered by things of daily use. As a result of comparing every age group's death roll by safety accidents,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who died from safety accidents was far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age groups who died for the same reason in every accident field. In aging society, a sharp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ensuing safety accidents are expected to pose a serious threat to national economy, and diverse efforts should be put into tacking this problem. For instance, safet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people in general including senior citizens on a regular basis, and more safety facilities should be prepared. Besides, safety equipment should be developed.

  • PDF

AHP 의사결정 기법을 통한 도시부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의 교통사고 저감대책 선호도 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AHP-based Decision Model for Safety Improvement Projects for Hazardous Section of Urban Roadways)

  • 엄정안;이시복;임창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D호
    • /
    • pp.111-1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을 통하여 도로 개선효과를 알아보고, AHP 기법을 이용하여 교통사고 저감 대책 의사결정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교통사고 건수 및 사상자 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앙분리대 설치로 인한 무단횡단 및 중앙선 침범사고가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에 따른 교통사고 저감대책을 위한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자료조사 및 분석방법은 교통전문가 설문 및 AHP기법을 활용하였다. AHP 계층구조의 대분류 평가항목으로는 토목시설공 지표와 교통시설공 지표로 제시하였다. 소분류 평가항목으로는 토목시설공 지표에 6가지, 교통시설공 지표에는 4가지 항목으로 각각 구성되었다. 본 연구 결과, 교통전문가들은 교통시설공 지표보다 토목시설공 지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표별 상위 2개 항목이 전체의 50%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검증을 통한 최종평가항목 중 토목시설공 지표의 상위 3개 항목이 전체 55.3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에 따른 공사는 교통사고 및 사상자를 크게 감소하여 비용면에서도 큰 효과를 나타냈다. 이런 점을 감안 할 때 지자체에서는 교통사고 저감대책 시기초 자료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