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HP-based Decision Model for Safety Improvement Projects for Hazardous Section of Urban Roadways

AHP 의사결정 기법을 통한 도시부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의 교통사고 저감대책 선호도 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엄정안 (영산대학교 교통공학과) ;
  • 이시복 (영산대학교 교통공학과) ;
  • 임창식 (도로교통공단 부산지부)
  • Received : 2011.10.26
  • Accepted : 2011.12.21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afety improvement project was analyzed, and a decision making model for traffic accident reduction measures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overall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nd casualties were reduced, especially reduced the number of unauthorized crossing and centerline encroachments was remarkable. Second, the priorities of traffic accident reduction measures. through hazards roadway section improvement projects were determined. As, higher level evaluation items of AHP hierachy structure include civil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The civil facilities has 6 lower level evaluation item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has 4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raffic experts prefer civil facilities more than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the top 2 items of the each data (or index) took over 50%. In addition, one of the last evaluation contents through the verification, the top 3 items of civil facilities took 55.38%.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projects for hazards roadway reduced traffic accidents and casualties as well as saving the cost. So these results should be available for basic information for the countermeasure about reducing the traffic accidents by local governments.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을 통하여 도로 개선효과를 알아보고, AHP 기법을 이용하여 교통사고 저감 대책 의사결정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교통사고 건수 및 사상자 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앙분리대 설치로 인한 무단횡단 및 중앙선 침범사고가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에 따른 교통사고 저감대책을 위한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자료조사 및 분석방법은 교통전문가 설문 및 AHP기법을 활용하였다. AHP 계층구조의 대분류 평가항목으로는 토목시설공 지표와 교통시설공 지표로 제시하였다. 소분류 평가항목으로는 토목시설공 지표에 6가지, 교통시설공 지표에는 4가지 항목으로 각각 구성되었다. 본 연구 결과, 교통전문가들은 교통시설공 지표보다 토목시설공 지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표별 상위 2개 항목이 전체의 50%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검증을 통한 최종평가항목 중 토목시설공 지표의 상위 3개 항목이 전체 55.3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에 따른 공사는 교통사고 및 사상자를 크게 감소하여 비용면에서도 큰 효과를 나타냈다. 이런 점을 감안 할 때 지자체에서는 교통사고 저감대책 시기초 자료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선(2010) AHP를 이용한 철도역세권개발사업의 역사편의시설 중요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 김정현(2003) 잠재적 교통사고 위험구간 선정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3D호, pp. 291-297.
  3. 김진경(2008) 교통사고 건당 EPDO를 이용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교통물류학과.
  4. 도로교통공단(2008, 2009, 2010) 교통사고통계분석(시계열분석 자료).
  5. 도로교통공단(2010) 교통사고 잦은 구간 선정 및 효과분석 기법 연구.
  6. 박민호(2005) 지방도 위험도로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2D호 pp. 247-255.
  7. 박병정(2011) 한국형 보행환경 평가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교통연구, 제18권 제3호.
  8. 안장원, 차철, 권석현, 서성한(2004) 철도 노선 계획시 VE 평가를 위한 AHP 기법의 활용,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52권 제12호, 통권 제296호 pp. 38-43.
  9. 임창식(2009) 대형교통사고심각도 모형에 의한 주행 안전성 및 투자효과 분석,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대학원.
  10. 장안상(2002) 위험도로 개선사업에 따른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공학과 토목공학 전공.
  11. 정재필(2005) 교통사고다발지점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주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12. 한상진, 김근정(2007) 도로종류별 교통사고 추세분석 및 시계열 분석 모형개발, 한국도로학회지, 한국도로학회, 제9권 제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