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Jam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2초

차량간 Ad hoc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잼 정보의 전달 방법 (Dissemination of Traffic-Jam Information in inter-vehicle ad-hoc networks)

  • 장형준;박귀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9년도 정보 및 제어 심포지움 논문집
    • /
    • pp.293-295
    • /
    • 2009
  • In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ITS), data dissemination based on inter-vehicle communication is effective for acquiring real-time traffic-jam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traffic jam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vehicular ad-hoc networks. In our proposed method, vehicles already trapped in a Traffic-Jam elect leaders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from upstream and downstream respectively. Then each leader generates traffic data which contains their position, velocity and leader counter respectively, and disseminate the information. {{br}}The implementation of our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by means of simulation, and we also present simulation result

  • PDF

다양한 연속 교통류 구현을 위한 확률파장전파모형의 개발 (A Study on Stochastic Wave Propagation Model to Generate Various Uninterrupted Traffic Flows)

  • 장현호;백승걸;박재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7-158
    • /
    • 2004
  • SWP(Stochastic Wave Propagation: 확률파장전파) 모형은 Cellular Automata(CA) 이론을 기반으로한 간략한 차량모형을 이용하여 개별차량의 확률적 형태와 혼잡의 전파를 모사하고, 통계물리학을 기반으로 교통류를 거시적으로 해석한다. SWP모형은 이산적 시공간 구조와 정수형 자료를 이용한 프로그램 지향적 모형구조를 가지며 연산수행속도가 빨라 대규모 가로망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비현실적인 충돌회피과정으로 인한 자연발생적 혼잡(Spontaneous jam)의 형성 때문에 미시적으로는 혼잡내에서 잠금현상(Lockup)이 발생하여 혼잡내 차량의 저속을 설명할 수 없고, 거시적으로는 혼잡의 밀도와 전파속도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현실적인 차량의 정지과정을 보다 현실적으로 모사하기 위한 정지조작규칙(SMR: Stopping Maneuver Rule)과 혼잡내에서 차량의 낮은 가속을 설명하기 위한 저가속규칙(LAR: Low Acceleration Rule)을 기존의 SWP모형인 NaSch모형에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미시적으로 보다 현실적인 차량의 정지과정을 모사하면서 혼잡내에서 잠금현상을 방지하고, 거시적으로 혼잡의 밀도와 전파속도를 설명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게 연속 교통류를 구현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입항선박의 제원과 해역면적에 의한 광양항의 혼잡도 분석연구 (An analysis of traffic jam at Gwangyang bay through sea area and vessel dimensions.)

  • 조길환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5-358
    • /
    • 2007
  • This paper is aimed that preparing to make good plan for great city ports, like Gwangyang port which is growing rapidly in Asia as a hub port. But I am worrying about the capacity of Gwangyang bay area to serve very great mission for the future, continuously. I hope that we are able to make good circumstances for our great ports. In this Gwangyang bay, we can realize that we may have some solutions for the traffic jam, because of the finite bay area. So I analyzed the rate of traffic jam that was derived from so many great ships to come and use the Gwangyang bay area. As a result, in recent year, 2005, 2006, ratio was growing rapidly, so we need so we need good works for this region.

  • PDF

A FUZZY-BASED APPROACH FOR TRAFFIC JAM DETECTION

  • Abd El-Tawaba, Ayman Hussein;Abd El Fattah, Tarek;Mahmood, Mahmood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257-263
    • /
    • 2021
  • Though many have studied choosing one of the alternative ways to reach a destination, the factors such as average road speed, distance, and number of traffic signals, traffic congestion, safety, and services still presents an indisputable challenge. This paper proposes two approaches: Appropriate membership function and ambiguous rule-based approach. It aims to tackle the route choice problem faced by almost all drivers in any city. It indirectly helps in tackling the problem of traffic congestion. The proposed approach considers the preference of each driver which is determined in a flexible way like a human and stored in the driver profile. These preferences relate to the criteria for evaluating each candidate route, considering the average speed, distance, safety, and services available. An illustrative case study demonstrates the added value of the proposed approach compared to some other approaches.

택시 승강장 주변 교통 정체 및 혼잡 감소를 위한 승강장 진입 순번 운용 시스템 (Taxi Stand Approach Sequence Management System to reduce Traffic Jam and Congestion around Taxi Stand)

  • 구본근;이권동;이상태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17-23
    • /
    • 2018
  • 승강장 진입을 위한 택시 대기열은 택시 승강장 주변에 교통 정체를 일으켜 주변을 혼잡하게 만든다. 이러한 정체와 혼잡은 택시 승강장 주변이 아닌 다른 곳에 택시들이 대기하도록 하고 승강장에 진입이 가능한 택시만 택시 승강장에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택시 승강장 진입 순서 제어를 위한 승강장 진입 순번 운영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택시 기사가 선택한 승강장 진입 순번 신청을 수신하면 그 승강장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순번을 할당하며, 그 승강장에 진입할 순서가 되면 택시 단말기를 통해 승강장 진입 순서가 되었음을 공지할 수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택시는 택시 승강장 진입을 위한 대기열에 있지 않고 다른 곳에서 대기를 하며, 승강장 진입 알림을 받은 후 택시 승강장에 접근하면 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택시 승강장 주변에 택시 대기열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어 승강 주변의 교통 정체 및 혼잡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승강장 진입 순번 운용 시스템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설치되어 있는 택시 승강장을 대상으로 하여 구글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국내외 수도권 광역급행열차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The Case study on internal and external Rapid Railroad Operation in Metropolitan Area)

  • 최영진;김윤수;김보성;박정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86-1894
    • /
    • 2009
  • The widening national capital area of Korea has caused a traffic jam problem with increasing commuting hours. In addition, as the economic crisis goes on, the people moving to the outside of a city has increased. So we expect that the expansion of this metropolitan area will do grow and it will cause a more severe traffic jam in the near future. Therefore, We will study about 'Rapid Railroad Operation in Metropolitan Area' to solve this problem and improve rail's competitive power as a reasonable transportation method. The Rapid Railroad can sharply reduce commuting hours. Also, it is more eco-friendly transportation than the others. Through many cases revealed in both domestics and overseas, we will solve the problem of a traffic jam getting senous m metropolitan area. After studying successful cases of overseas, rapid railroad, such as France and Japan, we will study domestic cases of Yongsan$\sim$Dong-inchoen, Guro$\sim$Cheonan and Gaehwa$\sim$Sin-nonhyeon, and comparison will do made among these case. In conclusion, The introduction of Rapid Railroad show the effective plan for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and solve the traffic problem.

  • PDF

Multi-Regime에 의한 돌발상황 시 교통류 분석 (A Study of Traffic Incident Flow Characteristics on Korean Highway Using Multi-Regime)

  • 이선하;강희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43-56
    • /
    • 2005
  • 본 연구는 점유율, 교통량, 속도 등의 실시간 교통자료의 시계열 분석, 교통기초도 상 실측자료의 통계적 모형화와 교통류의 다영역 구분에 의한 교통정체의 전개 양상을 규명하였다. 천안-논산고속도로의 교통사고와 행사로 인한 교통정체 시의 검지기 자료를 바탕으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교통사고와 같이 급격히 도로 콩량이 감소하는 경우 사고 직후 점유율의 변화로부터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었다. 행사와 같은 교통량 증가로 인한 교통정체의 경우 점유율과 평균속도의 변화 폭이 완만하며, 충격파의 형태가 다양하여 단순한 교통지표들의 시계열적 분석에 의한 검지의 신속성과 정확성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측자료의 통계적 모형화에 있어서 안정교통류일 경우 점유율과 교통량 관계는 1차 선형식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속도와 점유율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운전자들의 희망속도에 대한 넓은 폭원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군집형태가 통계적 모형으로 표현되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경우 점유율 6-8$\%$대를 중심으로 속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불안정 교통류 상황의 경우 교통정체의 형성과 해소과정이 각기 하나의 영역 내에서 분석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통계적 모형의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과 불안정 2영역 구분에 의한 교통정체 형성과 해소과정의 해석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다영역 구분에 의한 교통류를 시계열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사고시의 교통류는 바로 정지단계(stopped flow)로 전이되며 점유율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교통류가 stooped flow에서 free flow로 회복될 때 급격히 증가된 점유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교통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교통혼잡시의 교통류는 "impeded free flow" 상황에서 "congested flow" 상황을 거쳐 "jammed flow" 상황으로 전개되는 등 사고에 의한 정체 형성 및 해소과정보다 매우 복잡하며, 동일한 점유율에 대하여 교통상태별로 교통량의 차이가 큰 현상이 명확하게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교통류 분석 시 다영역 구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개별 교통영역에 대한 정량적 구분 및 모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기하였다.

  • PDF

주차유도시스템 설치에 따른 교통유발부담금 경감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Traffic Induced Contributions through Installing a Parking Guidance System)

  • 최양원;조현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235-241
    • /
    • 2014
  • 도심지내 대규모 교통유발시설로 인한 인구 및 차량 집중화로 주차, 혼잡 등의 교통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적인 교통수요관리 외에 교통유발의 원인이 되는 건물 소유주에게 자발적인 교통수요제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러한 맥락으로 이미 '90년부터 정책적으로 교통유발부담금제도를 운영하여 교통유발시설에 대해서 부담금을 징수 해왔고, 건물 소유주의 참여 유도를 위해 교통량감축 프로그램을 이행할 시 교통유발부담금을 감면해주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부담금 감면 혜택의 약화 등으로 참여 유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하는 주차수요관리의 일환인 주차유도시스템은 실제 설치 시 최대 20%까지 부담금을 감면해 주지만 해당연도 1회에 불과하여 약 10년 정도의 효용가치가 있음에도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 분석 기법을 활용한 결과, 주차유도시스템 내구연한을 10년 정도 가정해 볼 때, 사회적 할인율을 감안하면, 현재 기준 약 3,662,390,000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고, 순현재가치(NPV)는 2,160,440,000원와 비용-편익비(B/C Ratio)는 2.44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차유도시스템을 실제로 설치하여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설치전후를 비교한 사례를 제시하고 효과를 분석하여 교통유발부담금 경감을 위한 주차유도시스템의 활용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차량 추적 시스템을 위한 적응적 배경 영상 생성 (Adaptive Background Generation for Vehicle Tracking System)

  • 장승호;정정훈;신정호;박주용;백준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3-416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n adaptive background image generation method based on the frame difference for traffic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method is limited when there are more vehicles due to traffic Jam. To improve on this, we use frame differencing to separate vehicles from background in frame differencing, we adopt selective approach by using part of the image not considered as vehicle fer extraction of background.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background more efficiently than conventional methods even in the presence of heavy traffic.

  • PDF

Real-Time Stochastic Optimum Control of Traffic Signals

  • Lee, Hee-Hyol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1권1호
    • /
    • pp.30-44
    • /
    • 2013
  • Traffic congestion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with the recent exponential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In urban areas, almost all traffic congestion occurs at intersections. One of the ways to solve this problem is road expansion, but it is difficult to realize in urban areas because of the high cost and long construction period. In such cases, traffic signal control is a reasonable method for reducing traffic jams. In an actual situation, the traffic flow changes randomly and its randomness makes the control of traffic signals difficult. A prediction of traffic jams is, therefore, necessary and effective for reducing traffic jams. In addition, an autonomous distributed (stand-alone) point control of each traffic light individually is better than the wide and/or line control of traffic lights from the perspective of real-time control. This paper describes a stochastic optimum control of crossroads and multi-way traffic signals. First, a stochastic model of traffic flows and traffic jams is constructed by using a Bayesian network. Secondly,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s of the traffic flows are estimated by using a cellular automaton, and then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s of traffic jams are predicted. Thirdly, optimum traffic signals of crossroads and multi-way intersection are searched by using a modifie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 to realize real-time traffic control. Finally,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real-time stochastic optimum control of traffic sig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