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Accidents

검색결과 1,775건 처리시간 0.03초

신뢰도 기준에 근거한 도로설계 대안에 대한 교통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Highway Design Alternatives Based on Reliability Criterion for Traffic Safety)

  • 오흥운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86-196
    • /
    • 2010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raffic accidents occur under combined functional contributions of drivers, vehicles and road facilities, and that evaluation of safety levels for a specific road section or point is generally much complicated. Additionally, most of traffic accidents occur randomly implicating it is necessary to be evaluated in terms of probability theory. Thus, the evaluation model which reflects various characteristics and probabilistic distributions of traffic accidents has been necessary. The present paper provides a reliability based model with variables of probabilistic operating speeds and design speeds together which have been individually explaining associated characteristics in traffic accidents. Consequently, the model made it possible for speed management and road improvement projects to be evaluated in a common index. Application studies were performed in three cases. Through the studies, couples of facts were identified that the model successfully considered the probabilistic operating speeds and design speeds together and that then, the model evaluated road safety alternatives relatively which are complicatedly characterized and differently located.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시내버스 운전자의 운전태도 변화에 근거한 교통사고 저감대책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on the Decrease of the Traffic Accidents Based on the Attitude Changes of Intra-City Bus Driver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Semi-Public Management System of Intra-City Bus)

  • 최재원;정헌영;장석용;고상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33-42
    • /
    • 2011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시내버스 교통사고 발생 유형 및 시내버스 운전자의 운전태도 변화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교통사고 저감대책을 고찰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전 후와 시행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교통사고는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전 후 시내버스 운전자의 교통법규 위반과 교통사고 감소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는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 위반 감소와 고용 안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PROXSCAL 분석 결과에 따른 교통사고 저감대책을 마련, 제시할 수 있었다.

임신 중 교통사고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Traffic Accidents during Pregnancy)

  • 김남훈;황덕상;이진무;이창훈;장준복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3-85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icacy and safety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traffic accidents during pregnancy. Methods: We investigated the studie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traffic accidents during pregnancy via searching through PUBMED, the Cochrane Library, CNKI, and domestic search engines and a total of 6 studies were selected. Results: The major complaints of traffic accidents during pregnancy were low back pain, neck pain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there were vaginal bleeding and pruritus vulvae in the complaints. All of the studies were given acupuncture treatment for symptom relief, and chuna, herbal acupuncture and cupping were administered. Herbal medicine was also performed, and the most prescribed herbal medicine was Antaeeum-gamibang. All cases reported as traffic accidents during pregnancy showed a reduction in symptoms, normal pregnancy maintenance and delivery, and no miscarriage were reported. Conclusions: Korean Medicine treatment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option for traffic accidents during pregnancy. Further systematic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basis for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traffic accidents during pregnancy.

초보운전자의 운전확신수준이 위험운전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을 이용한 연구 (The Effects of Driving Confidence Level on Dangerous Driving Behaviors in the Novice Drivers: A Path Analysis Study)

  • 이순열;이순철;박선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3호
    • /
    • pp.111-125
    • /
    • 2007
  • 초보운전자들은 교통사고 다발 집단 중 하나이며, 운전경험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이들의 운전확신수준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운전자들과 다르다. 본 연구는 초보운전자의 운전확신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초보운전자들의 운전확신수준과 과속운전, 음주운전, 가해교통사고의 관계를 밝혀내고 운전확신수준이 가해교통사고에 이르는 경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2명의 초보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확신수준질문지와 운전경험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운전확신수준의 상황둔감성, 불안전운전, 주의집중소홀, 운전자신감 모두 초보운전자의 과속운전과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상황둔감성은 과속운전뿐만 아니라 음주운전과 가해교통사고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모형 분석결과, 운전확신수준은 초보운전자들의 과속운전을 22% 설명하고 있었으며, 음주운전과 가해교통사고를 각각 12%, 2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둔감성이 초보운전자들의 위험한 운전행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전자신감이 과속운전을 통해 가해교통사고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 PDF

교통사고심각도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곡선부가 포함된 국도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Traffic Accident Severity - Case Study : Arterial Included Curve Section -)

  • 박재홍;윤덕근;성정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4-89
    • /
    • 2013
  • The main causes of traffic accidents can be classified by 3 factors - human error, vehicle deficiency and road environmental problem and most accidents occurs not only 1 factor but combination of 2 or 3-factors. Among these factors, road environmental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due to influence the behavior of cars and road users and road environmental factor affects 30% of total accidents approximately. The 5 years traffic accidents data analyzed to verify the accidents severity on Korea National Highways. In order to analyze the severity, Ordered Probit Model was used. As a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model the number of lane, neighbor road environments, sight distance, vertical grade, lane width, shoulder width and traffic volume were used and as a dependent variables the minor injuries, serious injuries and fatalities were used. Research results shows that sight distance and lane width a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for the traffic accident severity and lesser sight distance and lane width shows greater traffic accident severity.

119 구급대 구급차 교통사고 현황 분석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119 emergency)

  • 이정호;신동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4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th the occurrence status of emergency vehicles traffic accidents and contents of the experience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in fire statio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51 EMTs in fire stations in 6 cities provinces from February 9, 2017 to February 27, 2017. Results: Of 451 EMTs, 207 (45.9%) had traffic accidents experience. Regarding environment-related features, results indicated hour (12~18 hours), place (national highway), traffic flow (smooth), weather (clear), season (winter), and day (Friday). Regarding correlation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mbulance traffic accidents pursuant to general features of accident-experienced drivers as a human fact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ruitment, driving careers of regular cars, driving careers of fire engines, and clas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re-fighting careers. Accident experience in the group with careers over 6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higher than in the other groups. Conclusion: Efforts to expand fire engine drivi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119 emergency vehicles are required.

교통안전시설 설치의 교통사고 발생에 대한 선행성 분석 (Precedence Analysis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nstallation for Traffic Accidents)

  • 주일엽
    • 시큐리티연구
    • /
    • 제55호
    • /
    • pp.31-55
    • /
    • 2018
  • 본 연구는 교통안전표지, 교통신호기기 등 교통안전표지 설치의 교통사고 발생에 대한 선행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계열분석(time series analysis) 중 하나인 교차상관분석(cross-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도출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안전시설 설치건수의 교통사고 발생건수에 대한 선행성은 교통안전표지(전체) 설치건수(시차수 1), 교통안전표지(주의) 설치건수(시차수 7), 교통안전표지(규제) 설치건수(시차수 7), 교통안전표지(지시) 설치건수(시차수 4)가 각각 부(-)의 관계로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선행(先行)한다. 둘째, 교통신호기기 설치건수의 교통사고 발생건수에 대한 선행성은 교통신호기기(보행등) 설치건수(시차수 2)가 부(-)의 관계로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선행(先行)한다. 셋째, 교통안전시설 설치건수 증감률의 교통사고 발생 증감률에 대한 선행성은 교통안전표지(전체) 설치 증감률(시차수 1), 교통안전표지(주의) 설치 증감률(시차수 1), 교통안전표지(지시) 설치 증감률(시차수 1), 교통안전표지(보조) 설치 증감률(시차수 1)이 각각 부(-)의 관계로 교통사고 발생 증감률을 선행(先行)한다. 넷째, 교통신호기기 설치 증감률의 교통사고 발생 증감률에 대한 선행성은 교통신호기기(보행등) 설치 증감률(시차수 0)이 정(+)의 관계로 동행(同行)한다.

국도상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횡단구성 요소 분석 (Analysis of Road Cross Section Component Affecting Traffic Accident Severity on National Highway)

  • 박재홍;윤덕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3-149
    • /
    • 2017
  • According to traffic accidents statistics, the number of fatalities, injuries and the rate of increase of traffic accidents have been decreasing over last 5-years. The fatality rate is 1.9 for total accidents but the fatality rate for single vehicle accidents shows a 7.9, which is 4 times greater than the average for all accidents. Single vehicle accidents, usually occur as a vehicle impacts a fixed objects on the roadside as the vehicle runs-off from the road. However,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considering the accident severity of single vehicle accidents which impact to the fixed objects on the road. The single vehicle accide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road cross section, (since it is the required the minimum width of a road for all run-off-the-road vehicles to recover or come to a safe stop).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road cross section on traffic accidents to find out the severity of single vehicle accident. To analyze the road elements which are related to the accident severity, the Ordered Probit Model was used. As variables, the element of road cross section such as the radius(m), vertical curve(%), cross sectional grade(%), road width(m). number of climbing lane, median, and curb, were used (as was the 3-years of accidents data). This study found out that cross slope(%), road width(m), and the number of climbing lane are related to the severity of accid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expected to improve the road safety and to be used as the base data for further road safety research.

주관적 각성도의 일주기(日週期) 리듬이 교통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ircadian Rhythm in Subjective Alertness on the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 유범희;조두영;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1호
    • /
    • pp.68-75
    • /
    • 1994
  • 저자들은 각성도의 일주기 리듬이 교통사고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교통량을 고려한 시간대별 교통사고 현황과 시간대별 전체사고에 대한 사망사고의 상대적 빈도를 조사하여 주관적 각성도의 일주기 리듬과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일주기 리듬 상 각성도가 가장 떨어지는 시기라 알려져 있는 오전 $3{\sim}4$시 전후 시간대에 교통사고 발생율과 치명적인 사고 발생율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주관적 각성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역상관관계를 보여 주관적 각성도의 일주기 리듬이 교통사고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시사되었다. 교통사고 발생에는 이런 운전자의 생리적 요인 이외에도 운전환경에 해당되는 여러 가지 다른 요인들도 복합적으로 관련되게 마련이므로 본 연구결과만으로 주관적 각성도의 일주기 리듬이 교통사고 발생에 얼마만큼이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하게 평가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교통사고 발생의 원인을 생리적인 현상인 각성도의 일주기 리듬이란 관점에서 조명하여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봤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앞으로 양자간의 좀더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교란변인들을 가능한 최소화시킨 잘 통제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도로교통사고 안전지표의 국제간 비교분석 평가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Traffic Safety Indicators related to Road Traffic Accidents)

  • 김상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429-438
    • /
    • 2019
  • 본 연구는 도로교통사고 발생지표의 국제간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교통사고와 관련된 교통안전 수준을 평가하고 주요 선진국가의 교통안전 지표의 수준을 파악하고 장래 한국의 교통사고 지표의 목표와 방향설정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절차는 첫째, OECD 32개 대상국을 대상으로 인구, 자동차등록대수, 도로연장, 차량주행거리와 교통사고 발생건수, 사망자수, 부상자수를 수집하고 둘째, 교통사고율의 국제비교를 통해 한국의 교통안전 순위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차량주행거리당 교통사고율을 가지고 선진 7개국과 비교함으로써 한국의 교통안전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사고 발생건수, 사망자수, 부상자수뿐만 아니라 교통사고율도 OECD 국가와 비교하여 상위 1~ 5위의 높은 수치를 보여 매우 낮은 교통안전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OECD 주요 선진 7개국과 비교하여 한국의 교통사고율은 2배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한국의 교통사고와 관련된 교통안전도가 매우 떨어지는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국내교통사고 목표치를 유럽 선진국가의 교통사고율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