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Market in Korea

검색결과 802건 처리시간 0.038초

전통의료서비스 시장의 현황파악을 위한 조사연구;전국 한방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for the Present Status of Traditional Medical Service Market)

  • 장은수;유현주;김효정;이시우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43-149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present status and future of traditional medical service market, focusing on the Korean medical center. Methods: We chose the subject with simple random sampling and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 and internet with questionnaire. Total 319 people helped us. Results: 1.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number of the Korean medical centers which was operating traditional medical service was 9,910. And the number of people in the business of traditional medical service was estimated by total 46,577 in 2005. 2. Average sales of Korean medical center in 2003 was 24.8 million won. increased by 25.6million won in 2004, 28.3million won in 2005. 3. At the end of 2005, the scale of traditional medical service market was estimated by 2 trillion 7,676 hundred million won. Conclusions : Korean traditional medical service industry has been developed and will be developing by 2.8 times in 2015.

  • PDF

소비자의 전통시장에 대한 인식수준이 재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목포지역 소비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Level of Traditional Market Users on Return Intention)

  • 김판진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5호
    • /
    • pp.77-85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lead consumers to visit traditional markets and buy market goods. Thus, the current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return intention a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level of factors on loyalty and how it influenced consumers' visits to traditional markets in 125 adult adolescents and women living in Mok-po area.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obtained. The statistical data of the questionnaire were verified by SPSS. Results - In this study, consumers' perception level of eight loyalty factors can be perceived by the traditional Korean market. The empirical analy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selecting five representative variables influencing intention to return to traditional markets, Mok-po area consumers were affected by the intention to revisi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recognition level among these variables. Second,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product price, quality of access (accessibility) among the factors that consumers perceive as important factors in visiting traditional markets were heightened. Third, Mokpo residents are aware of the main important factors of visiting the market such as receiving a friendly atmosphere (image) about traditional market, market environment (hygiene and cleanliness), connection with the local economy, and customer service such as kindness, refund and return. These loyalty factors did not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revisit. In other words, image, environment, regional economic linkage, and these factor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Conclusions -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loyalty among the key factors that play a major role in visiting traditional markets should be identified and developed as loyalty facto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of traditional market users, and operate a system that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manages and evaluates them. In order to do this, the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regularly conduct loyalty and satisfaction surveys on visa recognition levels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dramatic improvement measures.

도시 및 농촌 관광명소 전통시장의 성공 요인: 서울 광장시장과 장흥 토요시장을 사례로 (Success Factors for Developing Urban and Rural Traditional Marketplace as a Tourist Attraction: The Case of Seoul Gwangjang Market and Jangheung Toyo(Saturday) Market)

  • 이재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66-384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의 도시 및 농촌 전통시장 중에서 최근에 관광명소로 발전한 서울 광장시장과 장흥 토요시장을 사례로 각각의 성공 요인을 규명해 보았다. 두 시장은 입지환경, 시장 주기, 시장 개설 관리주체 측면에서 광장시장은 서울 도심에 입지한 사설 상설시장이라면 장흥 토요시장은 전라남도 농어촌에 입지한 공설 정기시장이다. 그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전통시장은 각 성공 요인의 우선순위와 구체적인 내용에서 다소 다른 점이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같은 5개 요인의 복합적 결과로 관광명소로 성공하였다. 즉, 관광명소의 인근 입지, 주력상품의 보유, 주력상품의 가격 경쟁력, 자치단체나 공공기관의 역할, 시장의 대중매체 홍보 등의 공통적 요인이 그것이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도시나 농촌 전통시장의 관광시장 또는 관광명소 발전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 PDF

이용자 위치 분석을 통한 전통시장 상권분석 (Commercial Impact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User's Position-information Analysis)

  • 이상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42-448
    • /
    • 2012
  •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개선안이 연구되기 위해서는 먼저 전통시장의 현황을 정확히 분석하는 방안이 중요하다. 이러한 전통시장의 상권을 분석하기 위해 이용자위치분석방법을 통해 전통시장의 상권분석을 연구하였다. 사례지역으로서 평택의 전통시장은 최근 다양한 개발 및 계획들이 모색되고 있어, 전통시장의 변화를 많이 보여줄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곳으로 평가되어 선정하게 되었다. 이용자위치를 이용하여 설문을 진행한 결과 평택의 전통시장은 경쟁력이 있는 전통시장으로 판단되며, 현재의 상권범위를 확대하여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또한 자동차 접근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족단위의 쇼핑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Measurement and Analysis of Odors Generated in Traditional Markets

  • KIM, Su-Hye;CHO, Dong-Myung;KWON, Lee-Seung;JUNG, Min-Jae
    • 웰빙융합연구
    • /
    • 제4권4호
    • /
    • pp.35-41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odors generated in traditional markets and to suggest appropriate application technologies to solve the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lex malodors, TVOC, and hydrogen sulfide were measured three times at each point in Wonju-city, Gangwon-do using direct-reading odor measuring equipment in Joong-ang Traditional Market's Korean beef Alley, Sundae Alley, and Joong-ang Citizens Traditional Market. Therefore, the average value was compared with the emission standard and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lex malodors exceeded the emission standards at all points, and hydrogen sulfide exceeded the emission standards at all except for one point. Conclusions: The odor generated in the traditional market has various causes and low concentration, so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odor by using an appropriate technology.

전통공연예술산업의 수익 다원화를 위한 해외시장진출 모델연구 (A study on Strategies of Entering the Overseas Market for the Profit Diversification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dustry)

  • 백정일;노수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5-6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공연예술 산업이 무상지원에 의존하는 단일한 수익구조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해외시장진출이 기회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산업가치사슬과 비즈니스모델의 개념을 응용하여 해외시장진출과정을 준비, 추진, 수확, 후속의 4단계로 구분한 분석 틀을 설계하였다. 또한 전통음악분야에서 시장지향적 사고를 갖고 능동적으로 해외시장개척에 나선 사례 3곳을 발굴하여 현 단계 한국 전통공연예술 산업의 해외진출모델을 도식화하였다. 해외시장이 아직은 주요 수익원이 되지는 못하지만 수익 다원화 차원에서 해외진출을 추진하는 전통공연예술종사자라면 본 연구에서 도출한 해외진출모델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한편 정부는 사례연구에서 지적되었듯이 전통공연예술 산업의 해외진출을 담당하는 전문기획자와 유통전문가를 양성하는 제도를 정비하고, 해외진출을 위한 일회성 경비지원 일색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정보제공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전통시장 관련법 개정 방안에 대한 고찰 : 성남 모란시장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Related Law Revision Plan: Focus on Moranjang in Seongnam)

  • 임진;김영기;이민권;김유오;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37-47
    • /
    • 2011
  • 우리나라의 유통산업분야에는 아직도 법적·제도적 보완시책이 부족하며, 특히 전통시장을 비롯한 중소 영세상인들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육성·지원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2004년도에 제정된 전통시장 특별법의 지원대상과 범위는 종전에는 단위시장으로 국한하였으나, 이후 시장 및 상점가, 시장활성화구역, 더 나아가 상권활성화구역을 지정하여 지원할 수 있도록 확대시켜왔다. 그러나 전통시장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기준이 되는 특별법이 전통시장의 개념을 다소 획일적으로 규정함으로 인해 무등록시장에 대한 법률적 개념의 미비함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무등록시장이란 특별법에서 정한 계량화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함에 따라 실제 시장기능 수행여부와 무관하게 법률적인 전통시장에 포함되지 않는 시장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특별법 규정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찾고자 논의를 전개한다. 사례는 모란민속5일장을 중심으로 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즉, 경험적인 측면에서 현실에 직접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논의를 하고자 한다. 따라서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논의 중에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무등록시장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한편,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볼 때 규범적 연구방법론을 견지한다. 유통학 분야에 있어 기존의 연구가 대개는 경험적 분석기법을 많이 활용하지만, 본 연구의 특성상 법적 제도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때 가장 효율적인 논의가 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바로 접목이 가능한 규범적 연구방법론을 택하여 본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 PDF

문화를 이용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부산 남항시장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the Use of Cultural Properties(Focused on Namhang Market in Busan))

  • 김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73-86
    • /
    • 2014
  • 서민들의 삶을 대변하는 전통시장이 오랫동안 소매유통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생활패턴의 변화와 대형 유통 상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경쟁력 저하로 침체를 겪고 있다. 최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데 사회문화적 기능을 갖고 있는 시장의 경쟁력과 문화를 이용한 활성화 필요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부산의 남항시장의 사례를 분석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휴먼웨어, 공동사업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재래시장 시설현대화에 따른 소비자 인식도에 관한 연구 - 목포지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ustomers' Awareness for Modernizing the Facilities of Traditional Market)

  • 김판진;김경조;남궁석;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55-70
    • /
    • 2009
  • 본 연구는 목포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재래시장 시설현대화 이후 재래시장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와 관련한 논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시설 현대화는 분명 대형마트에 빼앗겼던 소비자들을 재래시장으로 재유인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는 것만은 사실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재래시장 활성화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재래시장에 종사하고 있는 상인들의 의식수준의 변화는 매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시설현대화 이후 재래시장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 목포지역 소비자들을 재래시장으로 유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성공적인 재래시장 활성화는 입주상인, 상인조합, 소비자, 관계 행정 당국 등의 강력한 의지와 노력이 있어야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래시장의 활성화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상인들의 안정적인 경제활동의 지속으로 이들 모두에게 이익을 제공하고 만족을 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요인들에 대하여 불만족 감소를 위한 해결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재래시장을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만족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raditional Liquor among China, Japan and Korea

  • Choi, In-Sik;Lee, Sang-Youn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5호
    • /
    • pp.109-117
    • /
    • 2014
  • Purpose - The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y, production methods, market scale, and distribution of the traditional liquors of three countries: South Korean sokokju, Chinese shaoxing-chiew, and Japanese sake. These have similar production methods, being made from rice or cereal, cores of their respective food industr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y of the three liquors, liquor classification in the three countries, and production methods. It examined the scale of the traditional liquor market and these countries' distribution structure. Results - Brand cognition of traditional liquors is affected by a focus on wellbeing and LOHAS (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along with a high quality image, shelf life of draft liquor, traditional liquor identification systems, and high taxes on traditional liquor, and the need for continuous R&D and training of professionals all impacted the industry. Conclusions - These countries play important roles in world trade, seeking economic integration. By forming a free trade agreement (FTA), their traditional liquors, with a proud history, can be jointly branded in the world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