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Hanok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8초

수직 하중에 따른 목재 짜맞춤 접합부의 강성도 평가 (Evaluation of Stiffness Ratio of Wooden Mortise and Tenon Joint on Vertical Loading)

  • 박천영;이전제;김광철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0-297
    • /
    • 2012
  • Recently, interest in wooden construction have been growing by increasing needs and demands for eco-friendly and traditional wooden building(Hanok). Especially, Hanok has the technical development in manufacturing the mortise-tenon joint without fasteners(precut), so it could be called to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But the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the structure were not regulated and had the difficulty to consider the variation of wooden member and to conduct the difficulty in the structural analysis and the design of the joint. In this study, the stiffness ratio of wooden mortise and tenon joint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vertical loading, lintel and loading speed. The joint was distinguished in semi-rigid joint regardless of their factors. The stiffness ratio was 0.40 in vertical loading, 0.50 without vertical loading and 0.44 in horizontal loading with high speed.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to the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with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program.

  • PDF

전주 한옥마을 음식문화에 대한 소비자 요구도 및 만족도 분석 : Push-Pull factor theory를 적용하여 (Analysis of consumers' needs and satisfaction related to food culture in Jeonju Hanok Village: Application of the Push-Pull factor theory)

  • 나희라;박은주;양수진;차연수;이민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2호
    • /
    • pp.192-200
    • /
    • 2017
  • 최근 음식상품 특화 필요 지역인 전주 한옥마을의 방문객이 증가함에 따라 전주 향토 음식의 상품 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주 한옥마을 내 방문객의 음식 구매 현황과 방문 동기,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내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설문조사지를 이용하여 전주시 방문 경험이 있는 한국 성인 5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중 총 580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그 결과, 전주 한옥마을 방문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자 (n = 508)의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 구매경험은 '있다 (96.4%)'가 '없다 (3.6%)'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 음식 유형은 '전통 한식 (26.5%)', '외국 음식 (25.8%)', '한국 식재료를 포함한 외국 음식 (16.8%)' 순으로 나타나 전주 한옥마을 내에서 다양한 음식 상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 구매 만족도 (3.35점)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만족 이유는 '음식이 맛있어서 (59.6%)',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어서 (29.8%)' 순으로, 불만족 이유는 '음식의 가격이 비싸서 (48.1%)', '음식이 맛없어서 (19.5%)'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방문객의 방문 동기를 추진 요인과 유인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추진 요인으로 '지역음식추구', '경험추구', '휴식추구', '친목추구'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유인 요인으로 '전통문화', '시설편리', '체험활동', '음식경험' 요인이 도출되었다. 추진-유인 요인 간의 상호연관성 분석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유인 요인인 '음식경험' 요인이 추진 요인인 '지역음식추구', '휴식추구', '친목추구' 요인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진-유인 요인과 방문 만족도간의 영향 관계 분석 결과, 모든 추진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인 요인은 '음식경험', '전통문화' 요인만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주 한옥마을 방문객의 음식 구매 만족도, 만족-불만족 이유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문화 형성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 요인이 방문객의 내재적 방문동기 (추진 요인)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전주 한옥마을의 음식 요인 관련 연구의 중요성을 시사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음식 문화 포지셔닝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전주 한옥마을의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서울 북촌(北村)의 역사경관보전정책 변천에 따른 건축물 변화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Building appearanc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nservation policies and urban fabric in Bukchon of Seoul, since 1980's)

  • 송인호;김영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3호
    • /
    • pp.99-118
    • /
    • 2006
  • We have focused on the building appear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nservation policy and urban fabric in Bukchon, Seoul. The Urban Hanok, urban traditional housing type, had been evolved in modern contort from 1920's to 1960's, that is to say, many buildings(Urban Hanok) in Bukchon area has built up with a lot and road at the same time. But the change of conservation policy has an effect on the urban fabric and building(wooden structure, RC and brick building). Thus many types of building in Bukchon has undergone a various ch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a change factor of Bukchon buildings. Thu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policy and urban fabric. We reached the result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architecture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several policies(an aesthetic area, an altitude area for sky line restriction and so on) brought into building deformation and eventually the historic scenery of Bukchon has been spoiled. Second, the change of policy had an effect on the change of roads and lots. Buildings on a widen road and a united lot was built newly. But new buildings built up with a concrete or brick structure was not in harmony with the historic scenery of Bukchon area. Third, a development method of a large lot with lack prudence(disregarded a scale and size of lot) did damage to Urban hanok and urban fabric. With the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ship of buildings, a urban fabric and a policy in Bukchon, we can define the identity and correspond with the urgent request for a the conservation of historic urban scenery In addition we can suggest the policy and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reservation and rehabilitation for Bukchon, Seoul.

  • PDF

도시형한옥의 실내 환경에 대한 주거 만족도 분석 (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Indoor Environment of Urban Traditional House in Gyeongju)

  • 최무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99-10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ir degree of housing satisfaction in Gyeongju, focused on indoor environment of urban traditional houses. Mostly built during time period from 1930's to 1980's in Seoak-dong, Bomun-dong, Namsan-dong, Sajeong-dong, and Hwangnam-dong, Gyeongju' Hanok reveals the evolutionary development to fit into the urban settlement. Urban traditional house has important meaning as a type of residence maintaining tradition of Korean residential culture, and it is the study's first goal to derive developable elem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raditional house focusing on such a feature. Residents in 5 districts in Gyeongju were classified an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them. 187 pap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data for general trend of satisfaction was seek for after its average and standard variation were calculated.

한옥 건축공정 자동화를 위한 지능형 설계모듈의 구현 (Intelligent Architectural Design Module for Process Automation of Hanok Constructions)

  • 안은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156-1164
    • /
    • 2012
  • 한옥은 단순히 전통건축의 의미를 넘어서 우리 선조들의 삶에 대한 양식과 인식을 담고 있는 지금도 살아 숨 쉬는 문화유산이다. 최근 한옥이 자연친화적 건축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한옥의 전통적 방식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건축과정에 효율을 꾀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건축정보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설계 지원도구를 개발하여 한옥의 설계에서 검증, 생산 공정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통건축의 통시대적 고찰과 한옥의 목구조 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전통건축 설계에 필요한 부재들에 대한 효율적 설계 방식을 제시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특성이 비슷한 부재들을 모아서 하나의 템플릿으로 설계하고 다양한 형태의 유사부재들을 속성 값에 따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도록 객체지향 방식의 표현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객체지향 방식의 부재를 표현함에 있어서 연결 부재간의 상관관계를 부재와 부재간의 관련 파라미터들 사이의 결합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설계의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은 서양건축 설계 위주의 CAD프로그램에 플러그 인 형태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식의 한옥설계는 물론 한옥 건축문화를 현대적 생활공간에 쉽게 접목할 있도록 고안되었다.

보급형 신한옥 개발을 위한 건설 생산성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for Modernized Korean Housing (Hanok))

  • 김민;김예솔;이윤섭;정영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07-114
    • /
    • 2013
  • 근래에 들어 한옥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한옥에 살고자 하는 선호도가 증가하는 등 한옥에 대한 관심이 급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한옥에 대한 제도를 개선하고 예산을 반영하는 등, 한옥관련 사업을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공사비는 한옥의 대중화 및 지속적 발전에 장애요인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정부에서는 '한옥기술개발'의 R&D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논문은 '한옥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실제 지어진 전통한옥과 신한옥의 생산성을 토대로 효율적인 공사비 저감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 한옥공사의 15개 대공종 중 주요공종을 선정하였다. 전통한옥과 신한옥 공사 중 주요공종에서의 생산성을 분석하여 재료와 공법의 변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한 주요공종 모두에서 생산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산성의 향상이 공사비 저감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하였다. 주요공종 중 지붕/홈통의 공종은 주로 재료의 변화, 목공사와 마감공사는 공법의 변화, 기초공사와 창호는 재료와 공법 모두의 변화로 인하여 공사비 저감을 이루었다.

도시 내 역사문화미관지구 경관조망지점 분석에 관한 연구 - 북촌한옥마을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Study of Landscape View Point on Urban Histo-Cultural Area - Focused on Bukchon Hanok Village -)

  • 최유;손승우;이강현;임승빈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80-86
    • /
    • 2012
  • 본 논문은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북촌한옥마을의 경관조망지점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서울시에서 지정한 북촌 8경의 각 지점을 선정하는 과정은 시각적인 감상요소를 중심으로 주관적 기준에 의해 선정되었으며, 우수한 경관조망지점을 선정하기 위한 객관적 틀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및 현장조사를 통해 조망점을 선정하고, 선호도 조사 및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경관조망지점 선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주요 조망점 선정기준은 전통한옥경관, 역사문화재경관, 골목길경관, 도시건축물경관, 자연산림경관 등으로 도출되었고, 선호도와 장소적 특성 조사 결과로 북촌 8경 이외의 우수경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호도와 장소적 특성 간의 상관계수는 0.846으로,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도시 역사문화지구 내 조망점 선정을 위한 구체적 기준 및 국내 다양한 전통적 가치가 있는 지역의 경관우수지역을 찾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한옥 유니트형 노인복지시설 모델 제시 (Model Development of Unit-care Welfare Facility for a Traditional Korean House Using Computer Graphics)

  • 남윤철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3-31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computer graphics applying the traditional Korean house(Hanok) style interior to unit-care space of Welfare Facility and proposes the possibility as interior design and construction materials. In this paper, the proposed computer graphic-based model is a single-story building that provides convenient traffic between rooms. Computer graphic-based model is presented by Auto CAD, 3D program (Sketch-UP v.8), rendering program (Podium v.2) based on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and related work of unit-care welfare facility. Computer graphic-based model that combined unit-care and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each room of living space, wallpaper and flooring Korean paper(Hnaji) is considered and windows, door, furniture of traditional pattern were placed. The living room(Daechung) that is representative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and the corridor (toenmaru) are the elements to save the image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as much as possible. Especially, the corridor (toenmaru) is placed to conveniently use in nursing-care facility and home-care support facility. A public space is placed around the inside court (An-madang), while the living space (unit-care) has a sense of independence by separation. Bathroom and kitchen have a modern design for functionality than aesthetic elements.

설계과정을 통해 본 정원박람회 작가정원의 전통재현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presentation in the Artist's Garden of the Garden Exposition seen through the Design Process)

  • 이송민;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1-110
    • /
    • 2020
  •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에 출품한 작품 중에서 전통을 테마로 설정한 작가정원 14개소의 사례연구로서 문헌 분석과 현장 조사로 진행하였다. 전통재현을 결정하는 설계과정에 주목하고 작품마다 설계목표 수립, 전통재현의 대상 선정, 재현의 방법 결정, 경관구성요소 디자인 단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전통재현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수의 작가정원에서 전통구조물을 재현 대상으로 선정한 양상은 좁은 부지에 적합하고 주제 전달성이 좋다는 장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은 작품명에 마당, 울, 부뚜막, 장독대, 취병과 석가산 등 전통구조물의 명칭을 넣어 설계의도를 직접 전달하였는데, Wall, 한국정원, 수원, 서울 장인처럼 간접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은 주제 전달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선비, 여백, 풍류와 같이 재현 대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도 있었다. 둘째, 한옥마당을 재현하면서 잔디와 석재로 포장한 정원, 수원화성 성곽과 망루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을 분리하고 연계성 없는 용연(龍淵)을 미니어처 형태로 배치한 정원과 낙안읍성을 모티브로 하여 휴게공간에 낮은 장식담장으로 재현한 정원은 전통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반면 전통정원의 입지 선택, 주변 환경과 유기적 배치가 중요함을 보여준 한국정원, 한옥 중정이 가진 여백의 미와 선비가 누렸던 느림의 미학, 달밤 뱃놀이라는 풍류 문화를 재현한 작품들은 전통구조물 모사를 넘어 전통에 대한 이해가 정원문화와 정서로 확산된 양상이다. 셋째, 디자인과 관련하여 실제 크기의 전통구조물을 직설적 방법으로 재구성한 작품이 많았다. 취병으로 정원을 구획하고, 담장안에 부뚜막, 굴뚝, 텃밭 등으로 생활공간을 꾸미고, 경복궁, 소쇄원, 서석지를 대표하는 시설들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였다. 하지만 규모가 큰 수원화성과 낙안읍성을 추상적 방법으로 재현한 작품들로부터 핵심이 되는 디자인 요소의 취사선택, 구조물의 입면 구성, 공간의 스케일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해체적 방법을 선택한 정원 중에는 원형 이미지와 멀어진 한옥 마당과 바자울의 사례가 있는 반면에 정육면체를 구성한 프레임만으로 표현한 여백의 정원과 많은 전통구조물로 달빛 스며든 선비의 사랑방을 재구성한 정원은 긍정적 사례이다. 현대적으로 디자인한 경관구성요소들을 전시한 서울 장인 정원, 직지심체정원, 풍류정원은 작가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 필요하다.

배흘림을 활용한 조명.수납가구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Illuminated Storage Furniture Using Baeheulrim)

  • 채정주;김명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6-292
    • /
    • 2013
  • Space given at home, furniture is an important condition to determine its size. As a method for satisfying outer and functional human needs, ever changing, shaped form has also been developed. Modern people tend to decorate the beautiful living space to the needs of the beauty and space of living. In order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the development of furniture to suit the taste of modern people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add together the design and contemporary design of traditional Korean and use of raw wood can feel the natural and applied to furniture retro design. It is possible to have a motif characteristic of Hanok traditional to suggest a design where you can feel the sensitivity with retro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design change is large and diverse, and in harmony with the living space of modern it is an object that you study the production lighting and storage furniture with the complexity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