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Indoor Environment of Urban Traditional House in Gyeongju

도시형한옥의 실내 환경에 대한 주거 만족도 분석

  • Published : 2011.08.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ir degree of housing satisfaction in Gyeongju, focused on indoor environment of urban traditional houses. Mostly built during time period from 1930's to 1980's in Seoak-dong, Bomun-dong, Namsan-dong, Sajeong-dong, and Hwangnam-dong, Gyeongju' Hanok reveals the evolutionary development to fit into the urban settlement. Urban traditional house has important meaning as a type of residence maintaining tradition of Korean residential culture, and it is the study's first goal to derive developable elem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raditional house focusing on such a feature. Residents in 5 districts in Gyeongju were classified an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them. 187 pap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data for general trend of satisfaction was seek for after its average and standard variation were calculated.

Keywords

References

  1. 고권수, 아파트의 환경특성이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대학원 박사논문, 2008, p.12 재인용
  2. 경주시, 2020 경주도시기본계획, 경주:경주시, 2004
  3. 김용범, 한국 도시주거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주거사상에 관한 연구, 한양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2, p20
  4. 김지민, 지속가능한 한옥 평면형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3, 2006.3
  5. 대통령자문 건설기술.건축선진화위원회, 2007지자체의 한옥발전 워크샵 자료집, 서울:국정홍보처, 2007
  6. 송인호, 도시형 전통주거의 평면유형에 관한 연구-가회동 개량한옥지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1, 1988
  7. 염재선.허재완, 아파트 주거환경 종합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1989
  8. 이성용, 마창진 광역도시권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경상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6, p22
  9. 이완건, 서울의 역사성 표현을 위한 근대건축 보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논문, 2005
  10. 이종석, 경주지역 주거건축의 건축계획적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논문, 2008, p.31
  11. 이주택, 주거환경 만족도 요인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동국대 대학원 박사논문, 1994, p31
  12. 조인숙, 서울 북촌의 보존과 개발의 갈등, 건축 51. 5, 2007
  13. 황태수, 주거환경이 주거선택기준, 가치, 만족,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원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6, p53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