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Study of Landscape View Point on Urban Histo-Cultural Area - Focused on Bukchon Hanok Village -

도시 내 역사문화미관지구 경관조망지점 분석에 관한 연구 - 북촌한옥마을을 대상으로 -

  • Choi, Yoo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 Seung-Woo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Kang-Hyun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유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손승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이강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 공학부)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selecting Landscape Viewpoint on Bukchon Hanok Village, Jongno-Gu, Seoul. The process on selecting photo spots was focused on visualizing elements, and it was hard to find an objective standard for selecting landscape viewpoint. Therefore, by literature review and site study, this study selects more objective and empirical Landscape View Point on Bukchon. Landscape Viewpoint Standards are Traditional Hanok Landscape, Historical Heritage Landscape, Alley Street Landscape, City Architecture Landscape, and Natural Forest Landscape. By Landscape Preference and Character of Place survey, this study finds out another Landscape Viewpoint and correlation of those variables.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is 0.846, and its correlation is considerably high. Through this result, it could provide a concrete standard for selecting Landscape View Point and a preliminary information for finding Landscape View Point on Histo-Cultural area.

본 논문은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북촌한옥마을의 경관조망지점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서울시에서 지정한 북촌 8경의 각 지점을 선정하는 과정은 시각적인 감상요소를 중심으로 주관적 기준에 의해 선정되었으며, 우수한 경관조망지점을 선정하기 위한 객관적 틀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및 현장조사를 통해 조망점을 선정하고, 선호도 조사 및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경관조망지점 선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주요 조망점 선정기준은 전통한옥경관, 역사문화재경관, 골목길경관, 도시건축물경관, 자연산림경관 등으로 도출되었고, 선호도와 장소적 특성 조사 결과로 북촌 8경 이외의 우수경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호도와 장소적 특성 간의 상관계수는 0.846으로,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도시 역사문화지구 내 조망점 선정을 위한 구체적 기준 및 국내 다양한 전통적 가치가 있는 지역의 경관우수지역을 찾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현(2008).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지용한 경관분석 조망점 선정.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1-16.
  2. 김영욱, 신행우(2004). 서울 북촌의 공간구조 분석을 위한 방법론 연구: 가로형태의 도시맥락적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20(9):201-209.
  3. 김종렬(2006). 조망경관 관리를 위한 건축물 높이 규제 방법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24.
  4. 박민아, 이우종(2004). 조망경관기준설정을 통한 도시경관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pp.479-489.
  5. 박영재,최형석(2011). 역사문화환경 보전 지역의 공간적 범위와 건축물 높이 허용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경관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 pp.64-75.
  6. 방재성, 송병화, 양병이(2008). 조망점의 선정기준과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1):70-79.
  7. 변병설(2000). 경관평가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수탁과제 연구보고서. pp.7-12.
  8. 송인호(2002). 북촌가꾸기 기본계획:연구와 실천. 한국건축역사학회지. 11(2):104-111.
  9. 양병이(2002). 도시내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방안:서울시 우면산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논총 40:149-169.
  10. 오규식(1994). 경관영향평가 기법개발의 과제. 한국조경학회지.22(1): 228-232.
  11. 오섬훈(2002). 북촌의 경계와 흐름. 대한건축학회지. 46(12):31-33.
  12. 이미하, 정재용(2006). 역사미관지구의 가로경관 분석에 관한 연구:북촌 가로변 건축물의 물리적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 발표대회논문집.26(1):241-244.
  13. 이민아(2011). 전문가와 거주자 인식 관점에서 본 한옥의 특성과 적용. 한국생활과학회지. 20(2):487-503.
  14. 이현수(2008). 이현수 교수의 서울사용설명서 2084. 서울:선북디자인․ 디자인이즈. pp.292-339.
  15. 이호식(2005). 사전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조망점 위치결정에 관한 연구:골프장을 사례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2.
  16. 임승빈(1990). 고층건물의 경관영향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2):153-161.
  17.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pp.2-22
  18. 임승빈(2008). 도시경관계획론:경관 계획․형성 기준 연구. 서울:집문당. pp.158-165.
  19. 장철규, 정성관, 김경태(2011). 도시개발사업의 경관평가를 위한 조망점 선정체계 구축 및 적용. 한국조경학회지.39(3):39-50.
  20. 조용준, 이정형, 남승진, 박종철, 정영덕, 홍안희, 장상근, 손승광, 김영석, 김현숙, 강권, 박현홍, 유창균, 이봉수, 이정림 역(2006). 일본의 경관계획. 서울:태림문화사.
  21. 조용호(2008). GIS와 AHP에 기반한 조망점 위치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20.
  22. 채병선, 서종주(1996). 중소도시의 도시공간특성에 따른 경관형성방안에 관한 연구(I). 국토계획. 31(6):123-145.
  23. 채병선,서종주(1998).도시경관 관리를 위한 경관행정 및 제도에 관한 연구:국내․외의 경관관련제도를 중심으로. 도시 및 환경연구. 13(1): 99-113.
  24. 최윤, 조동범(1994). 도시주변 능선녹지를 배경으로 하는 아파트 경관 시각적 영향:물리적 경관변수 및 주시점분석에 의한 다각적 접근. 한국조경학회지. 22(2):81-103.
  25. 건설교통부(2006).도시 이미지 구현을 위한 경관 조성방안.연구보고서.
  26. 대한주택공사(2008). 개발대상지 도시경관 향상을 위한 경관계획체계 수립. 연구보고서.
  27. 서울특별시(2010). 서울특별시 고시 제2010-11호 도시관리계획(북촌 제1종지구단위계획 구역변경 및 계획결정)결정 및 지형도면 고시.
  28. 서울특별시(2012). 서울특별시 도시계획 조례. 서울특별시.
  29. 한국경관협의회(2007). 경관법과 경관계획. 서울:문운당. pp.16-35.
  30. 한국조경학회(2004). 도시경관계획 및 관리. 서울:문운당. pp.152-176.
  31. 환경부(2008). (고시․훈련․예규 등)환경영향평가 관련 규정집 2008.
  32. 북촌한옥마을 홈페이지(http://bukchon.seoul.go.kr)
  33. 서울시청 인터넷 보도자료(http://spp.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