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5초

Cultural Archetype Contents for the Traditional Wedding

  • Ahn, In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37-49
    • /
    • 2012
  • This research aims to perform a contextual study of the wedding customs, wedding procedures, and wedding costumes included in Korean traditional wedding culture, making use of cultural contents which form cultural archetypes. The range of wedding customs studied are set limits from the Joseon dynasty to ancient times, and, for wedding procedures and costumes, to the Chosun dynasty, when a wedding ceremony became the norm. Only wedding ceremonies performed among ordinary classes are included as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dding ceremonies and costumes for court are excluded. The cultural archetypes developed within these boundaries suggest prior cultural content, developed beforehand. The research methods are focused on document records inquiry and genre paintings during the Joseon era, using museum resources as visual materials.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Firstly, wedding customs and procedures observed among folk materials are presented in chronological order. Secondly, the brides' and grooms' wedding costumes are also presented chronologically, differentiated by class-characteristics.

한국전통복식 문화정보의 블로그 활용에 관한 연구 (Blog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as Culture Information Contents)

  • 황미선;이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7-109
    • /
    • 2012
  • Recently, it is concentrated world interest to Korea sensational (Hanryu) exited for not only sports but korean drama, K-pop in public culture. And G20 summit meeting and Winter Olympic open city selection. It is why practical information needs of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 and Korean culture, history and architecture and easy way to gain information. Korea has strong power for internet and nuke personal media mini home page, and cafe, blog. Blog is useful for spread information and has efficiency of speedy exchange information. In this study making blog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al information for not only Korean but foreigner. For method find blog has possibility of cultural information spreading tool, in literature and investigate usefulness and contents of naver blog having Korean traditional costume. In this study, it is helpful to open and construction personal blog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and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 PDF

문화콘텐츠개발을 위한 한국 전통신발의 2D데이터베이스 구축(1) (Construction of Two-Dimensional Database of Korean Traditional Shoe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1))

  • 박혜령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96-811
    • /
    • 2010
  • Research materials of Korean traditional shoes have so far been mainly literary explanations or plane pictures expressed on the basis of the explanations and photographs of incomplete forms of relics excavated and it makes us have difficulty in observing them visually and producing products with them by design application. This project is to establish database of literal data of Korean traditional shoes and visual data using 3D in order to make the foundation of developing culture industry contents using Korean traditional shoes. According to the initial research plan. first. it analyzed and arranged the Korean traditional shoes into period. sex and function as the research goals of the first year. categorized the form. composition. materials. patterns. and colors of traditional shoes and then database of the materials was performed with text. Second. visual image materials including forms. composition. materials. patterns. and colors of traditional shoes were established as database with scanner. digital camera and computer 2D. Results of such a database will be able to be used as important materials which can be the foundation of culture industry contents development of traditional shoes and be the materials for developing digital culture contents of traditional shoes and teach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디지털콘텐츠 제작을 위한 전통문화원형의 캐릭터 분류 : 관음보살(觀音菩薩) 및 동자(童子)를 중심으로 (Classification of Characters out of their Original Cultural Forms to Create Digital Contents : Focusing on Avalokitesvara (觀音菩薩) and Buddhist child (童子))

  • 이영숙;신승윤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7호
    • /
    • pp.153-176
    • /
    • 2012
  • 디지털 콘텐츠 산업이 융합하고 있는 시점에서 다양한 전통문화 소재의 발굴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는 오랜 역사 속에서 전통 신앙과 맞물려 풍부한 소재를 보유하게 되었다. 전통문화의 큰 축으로써 우리나라의 역사와 함께 자리 해 온 불교미술에 접근하여 새로운 문화 콘텐츠의 소재를 발굴하고 DB 분류하고자 한다. 이는 불교문화콘텐츠를 통해 향후 전통 문화에 근거한 미래 브랜드를 구현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통 문화적 관점에서 문화원형을 활용하였다. 불교 미술에 등장한 관음보살과 동자의 상징을 통한 의미를 연구하여 캐릭터로 제작하기 위한 기반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문화재청에 등록된 국보 및 보물로 등재되어진 불교 존상 중 관음보살과 동자로 범위로 정하고, 관음보살과 동자가 지닌 상징체계를 통해 전통캐릭터를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불교문화 캐릭터는 역할에 의한 분류, 지물에 의한 분류가 가능함을 발견하고 DB 분류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징성을 가진 복잡한 불교문화를 문화원형으로 활용하기 위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불교존상이 가지는 의미를 통해 한국적 전통캐릭터의 디지털콘텐츠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문화콘텐츠로서의 당산숲 인식 증진을 위한 방법론 고찰 -당(堂)과 연계시킨 제주도 저지오름 대안 탐방로 모색을 사례로- (Perspectives of methodology for Heighten Public Awareness of Dangsan Forest as Cultural Contents -Case of Alternative Trail of Jeoji Oreum Connected with Dang in Jeju Island-)

  • 최재웅;김동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24-934
    • /
    • 2013
  • 전통마을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으로서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한라산 자락에 있는 기생화산 오름의 수는 총 368개이고, 제주도 전역에 총 391개의 신당(神堂)이 있는데, 근래에 관광객을 위한 올레길, 도로 개설 등으로 인해 제주 신당이 급속히 훼손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제 문화콘텐츠는 로컬리티(지역성)와 글로벌리티(세계성)를 같이 갖추어야 하며, 우리의 고유한 콘텐츠로서의 글로컬문화콘텐츠 생산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당(堂)과 연계한 제주도 저지오름 탐방로 개선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당숲 구간을 오름 탐방로와 연계하면 실생활에 살아있는 전통문화경관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당과 오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주도 농어촌마을들이 탐방로를 따라 그 테마와 원형이 잘 보전, 관리된다면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곳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 문화콘텐츠 교류와 정책적 접근 방안 (The Cultural Contents Cooperation between South-North Korea and Its Political Assignment)

  • 이찬도
    • 통상정보연구
    • /
    • 제9권3호
    • /
    • pp.343-362
    • /
    • 2007
  •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needs to a different strategy for developing synergy effects, suggesting they should be selected for role to the unification Korea. In the this paper, Three policy-strategies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Economic Cooperation Driving Committee of Inter-Korean Digital Cultural Content is necessary the recovering of cultual consubstantiality and the operating of business partnership in the divided peninsular. Secondly, To cultural contents cooperation between South-North Korea. the exchange of learning and information must be activated constantly. as the cultural contents is creative industrial, it needs for imagination and creative of human and understanding of a fine arts, a traditional arts. Thirdly, A policy and system is inevitable to construction of Inter Korean Cooperation Digital Contents. South-North Korea, including a North Korea having a excellent cultural heritage, must jointly recovery for cultural contents. Under social-economic system, a consumers of digital contents pay to the format creator many royalty. Therefore, We must prepare to roll out a series of new creative contents, and have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global market.

  • PDF

지역전통문화자원의 지역 협력을 통한 콘텐츠 창구효과 강화를 위한 연구 -'남도 르네상스' 콘텐츠와 연계 협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Strengthening the Window Effect of Content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of Local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 Focusing on cooperation with 'Namdo Renaissance' content)

  • 정연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4호
    • /
    • pp.101-109
    • /
    • 2017
  • 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은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차별화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 자원이다. 따라서 지역 문화자원을 콘텐츠로 개발하면 경제적 가치 창출과 함께 지역을 상징하는 브랜드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남 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콘텐츠 소재로 활용하고 전남도에서 추진하는 '남도 르네상스' 사업 콘텐츠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전남 시군의 자원 요소와 분석을 통해 지역 간 협업을 위해 콘텐츠 연관성을 갖는 지역으로 7개 권역을 제안한다. 권역별 상징성을 갖는 스토리를 발굴하고 체계화 할 수 있도록 "스토리 사랑방'을 제안한다. 개발된 이야기 자원을 실감미디어 제작 기술과 가상현실 플랫폼 등을 통해 체험형 콘텐츠로 개발하고 관광 콘텐츠로 확장하여 콘텐츠 창구효과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콘텐츠 사업화 기반이 취약한 시군의 콘텐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역 간 협력 거버넌스 확대로 공동 콘텐츠 개발 기회를 높이고 관광 콘텐츠로 활용성을 높여 지역경제 발전과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문화 콘텐츠를 응용한 중국 온라인(MMORPG)게임 디자인 연구 -돈황벽화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Design of Chinese Online Games in the Application of Cultural Content)

  • 유영초;윤영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08-617
    • /
    • 2018
  • 기존 게임기라고 불리던 Microsoft X-box, SONY Playstation, Nintendo 등에서 PC로 게임 시장이 전환되어지고,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의 성능이 고사양화 됨에 따라서 모바일 게임시장의 성장세가 높아지고 있다. 게임시장의 확산은 전 세계적인 추세이고, 게임 소재의 발굴은 게임회사에게 많은 고민을 주고 있다. 애니메이션과 게임의 종주국이라고 불리는 일본은 전통문화 콘텐츠를 이용하여 많은 캐릭터와 게임 스토리 제작에 활용하고 있으며, 후발 주자인 중국 역시 중국의 전통문화를 이용한 게임 콘텐츠 제작 소재 발굴에 노력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중국 온라인 시장에서 롤 플레잉 게임으로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게임으로 당시대의 복식에서 부터 벽화에 나타난 당 시대의 모습을 게임 속에 가상공간으로 재현함으로서 게임사용자들에게 전통문화를 가상체험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문화유산인 돈황 막고굴의 벽화에 나타난 불교경전의 이야기를 소재로 게임화 한 <천녀유혼2>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건축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 연구 (A Study on Use of Advanced Digital Contents of Cultural Archetype in Architecture)

  • 장영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31-38
    • /
    • 2006
  • An architect for Cultural Technology have the most obligation to improve the cultural inheritance into an industrial resources. From an esthetical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put digital contents to a multiplicity of practical usage in the moment of its' digital conversion. These are practical resources out of an only duplication from the original. Developing cultural archetype into the most suitable model for one-source multi-use that is the core of the project. If you want to change an archetype, a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to a creative source, you should develope a reappearance and a practical model harmonized with the image set. In addition,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based on ultimate idea and imagnation in our architectural culture, referred from cultural archetype and digital contents technology was offered by the study.

  • PDF

새로운 복합문화공간 유형으로서 자연융합형 공간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Natural Convergence Space as a New Type of Complex Cultural Space)

  • 이재민;권기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333-1341
    • /
    • 2018
  • Recently, alleys, villages and traditional market spaces have been recreated as complex cultural spaces due to urban renewal or village community policies. However, previous studies only refer to buildings such as museums and libraries in dealing with complex cultural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created complex cultural space as a natural convergence type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concept and type of the newly created complex cultural space. For this study, Busan Bosu-dong Bookstores Alley, Daegu Kim Gwangseok-street, Andong Traditional Market and Andong Shin-sedong Mural Village were selected as research exampl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atural convergence space reflects the locality of the contents constituting the space, and the various values are convergenced. And this type of space is being reborn as an advanced case of urban regeneration and serves as a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in the region. As a next study of this study, we proposed social studies such as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