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Craft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19초

중등학교 도자공예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ruction Plan for Education of the Ceramic Art and Crafts in the Middle School)

  • 유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09-514
    • /
    • 2014
  • 한 시대의 삶과 문화를 담고 있는 도자공예는 우리 민족의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중의 하나로써 한국의 미와 문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역사적 관점에서도 도자공예보다 긴 전통을 소유한 문화재는 없으며, 쓰임새도 도자공예처럼 우리 주변에 널리 분포하는 기물(器物)은 없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대부분이 도자공예에 관해 감상 작품만을 예시하는 것에 그치기 때문에 구체적인 지도가 불가능하며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도예기법을 이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행 교과서 전통문화 수용방식의 특징은 전통문화가 교육내용의 중심 부분으로서가 아니라 주변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고, 전통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중등학교 과정에서 도자공예의 중요성을 이해 할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 도자공예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우리 고유의 문화를 이해하고 평면과 입체 표현을 통하여 조형미술을 경험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들은 이런 다양한 이해와 경험을 자신의 삶 속에서 새롭게 표현해보고 생활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도예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한다.

직금·자수에 사용된 금사의 형태와 특징 비교 고찰 (Study on the Form and Character of Gold Thread in Weave with Supplementary Gold Wefts·Embroidery)

  • 심연옥;이선용
    • 복식
    • /
    • 제63권7호
    • /
    • pp.79-93
    • /
    • 2013
  • In the Korean literature, records of systematic gold thread manufacturing such as gold foil(金 箔匠), gold foil bonded with fabrics(付金匠), gold foil bonded with paper materials(金箋紙匠), refining gold(鍊金匠), cutting gold(裁金匠), and making gold thread(絲金匠) can be easily found. We can infer from these literatures that the Korean people used to make gold threads. However, is not existent the gold thread making technique. Thus, a research was done using 67 pieces of gold thread artifacts used in textiles craft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gold thread by studying the artifacts' form classification, gold foil, glue and the base. First, gold thread is divided into flat gold thread and wrapped gold thread. Wrapped gold thread was made in more various methods such as with a paper on the flat gold thread, metal thread and wrapped gold thread with gold foil on top. Compared to the flat gold thread, wrapped gold thread uses a thread that has a thinner and wider. Through this analysis, even making of the base of the gold thread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Secondly, we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ccording to form structure of the gold thread. After analysis of experiment results, we could know that to attach Korean gold thread, glue and the mixture of materials such as Red soil(朱土) was also added. The kinds of the base of gold threads were identified as paper, leather and intestines. Among those materials, for paper, Korea's Dakji, China's Sangpiji(桑皮紙) and Jukji(竹紙) and Japan's Anpiji(雁皮紙) seemed to have all been used, so because of the difference among countries, we can prove that Korea has also produced gold thread. By looking at the research, the base of gold threads and making features hugely vary according to the area.

삼국시대의 유물에 나타난 입사공예기법 비교분석 연구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Inlay Craft Technique of Relic in the Three Kingdom Period)

  • 박지원;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505-513
    • /
    • 2014
  • 현대 금속공예는 대량생산을 목표로 예술성이 결여된 단순한 표현 방법과 한정적 기술만을 사용하여 우리의 전통과 개성이 상실되어가고 있다. 앞으로 현대 금속공예의 발전과 우리 고유의 문화를 계승하기 위해서는 고대부터 전해온 전통공예기법을 고찰해야 할 필요성을 갖는다. 입사공예는 고도의 집중력과 기술력을 필요로 하며 당대 문화와 사상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전통금속공예기법이다. 입사기법이 국내에 처음으로 나타난 시대는 삼국시대로 백제, 가야, 신라에서 찾아볼 수 있다. 나아가 입사공예를 현대금속공예에 활용하였을 때 우리 고유의 예술적인 표현과 역사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전통의 기법을 명확하게 익힐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넓히고 현대공예에 알맞게 수용할 수 있는 실용적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비로소 현대 금속공예의 발전과 우리 고유의 개성을 확고히 자리매김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3D CAD를 이용한 전통금속공예기법 교보재 제작 연구 (A Study on Fabrication of Traditional Metal Craft Techniques Using 3D CAD)

  • 최산;도은옥;황유위;양유지;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349-355
    • /
    • 2020
  • 제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며 다양한 산업들의 기술들이 융·복합 되거나 클라우딩 컴퓨팅, 모바일, 빅테이터 등의 기술로 인해 인류의 삶이 물질적이나 정신적으로 크게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기술과 이에 맞는 새로운 직업의 탄생은 전통금속공예기술에 대한 교육과 직업에 있어 대중의 외면을 가져오고 있다. 이런 변화에 있어 공예교육 또한 현 시대에 맞는 교육방식을 찾고 연구하며, 교육 현장에 적용해 대중의 관심과 부흥을 일으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소재 혹은 기술이 도입된 타 산업의 교육현장 사례를 조사하고 전통금속공예기법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3D프린팅 기술의 다양한 사례와 특징을 조사하고 시간과 공간, 자원의 제약이 많은 공예기법 교육에 활용하여 전통금속공예기법 교육에 새로운 변화를 주고자 한다.

북포(北布)의 내력과 제섬(製纖) 기술의 변천 (Bukpo's History and Transition of the Hemp Fabric Production Technique)

  • 공상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3호
    • /
    • pp.44-63
    • /
    • 2017
  • 베 한필이 작은 대통이나 여인들의 식기인 바리 안에 들어간다 하여 '통포', '발내포' 등으로 불리기도 한 '북포'는 조선시대 함경도 육진 지역에서 생산하던 올이 가늘고 고운 삼베이다. 우리나라는 1950년 한국전쟁의 발발로 인해 국토가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이에 북한 지역의 생활 관습이나 전통 기술 등, 그 정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그 지역의 삼베 제작 기술 또한 전해지고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북포 제작 공정이 기록된 유일한 문헌인 "오주연문장전산고"를 통해 북포 제작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근대기 문헌 기록과 비교하여 기술의 변천과 그 의의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19세기 함경도 육진 지역의 제섬 방식이 유럽 및 중국 묘족의 제섬 기술과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19세기 중반 이후에서 20세기 이전 사이, 함경도 지역의 제섬 기술에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포 제섬 기술 변천은 기술사적 맥락에서 전통공예기술의 선후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겠다.

Carpet Weaving on the Territory of Kazakhstan as a Reflection of the Traditional Worldview of Nomads

  • Aigul AGELEUOVA
    • Acta Via Serica
    • /
    • 제8권1호
    • /
    • pp.31-54
    • /
    • 2023
  • The article deals with issues related to the tradition of carpet production on the territory of Kazakhstan where, for the most part, tribes engaged in nomadic livestock raising lived. Analyzing the technological component of this traditional craft, the author focuses on the main factor that influenced carpet weaving along with arts and crafts-the nomadic method of production of the Kazakhs. The study of the ideological component that accompanies the process of making various types of carpets allows us to conclude that it has a sacred meaning and subordination to myth, rite, and ritual. At the mythmaking level, the process of making carpets, like any other activity among nomads, personified the process of creating the world, the marriage of Kok-Tengri (Heaven) and Zher-Su (Earth), and the creation of the Cosmos from Chaos. The process of carpet weaving, as well as the process of making felt, symbolized the act of creation, the marriage of Heaven and Earth, and male and female principles. The study of various types of ornaments that Kazakhs and their ancestors used to decorate carpets allows us to conclude that the ornament applied to carpet products was the bearer of the most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mythological worldview of the people. Carpets in their structure reproduced the structure of the Universe, which has a binary, ternary, and quaternary system. The ornament has turned into a kind of coded text, reflecting ideas about the cosmogonic structure of the Universe and an awareness of the harmony of the world. The location of Kazakhstan on the northern routes of the Sogdian Road (Great Silk Road) allowed the spread of various ideas, due to which carpet weaving was influenced by other peoples in technical and stylistic design.

우리나라 재래공업 산지의 사회적 분업 - 담양죽제품과 여주 도자기 산지를 사례로 - (Social division of labor in the traditional industry district - foursed on Damyang bamboo ware industry of Damyang and Yeoju pottery industry of Yeoju, South Korea)

  • 박양춘;이철우;박순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9-295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담양 죽제품과 여주 도자기 산지를 사례로 재래공업 존립의 중요한 요소인 산지내 사회적 분업의 실태, 특성 그리고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산지내 사회적 분 업은 주로 원자재조달과 제품생산, 제품생산과 제품판매간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생산공정상 의 사회적 분업 및 제품생산 부문과 그 관련시설, 기계제작 부문간의 사회전 분업은 부분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성격에 있어서는 담양 죽제품산지는 산지완결형의 그리고 여주 도자기 산지는 미산지완결형의 특성이 강하다. 그리고 사회적 분업체계를 구성하는 기업들 은 독자성을 가진 수평적 분업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수요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 한 신제품의 개발과 판로개척을 선도할 수 있는 기업이 밭달하지 못하고 있다. 산지존립에 있어서의 사회적 분업의 의의로는 생산공정의 세분화와 업종분화를 통해서 노동력 부족을 극복함과 동시에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고 소자본의 신규참여를 용이하게 하고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부담을 분산하며 다방면에 걸친 축적된 노-하우를 활용한 업종과 제품의 전환을 통하여 제품의 다양화와 제품수명주기가 연장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PDF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이후 제2세대 미국 가구디자이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merican Contemporary Art Furniture - Focusing on the Second Generation Since the 1980's -)

  • 최병훈;정명택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4
    • /
    • 2013
  • Since the 1980s the development of American art furniture was embodied its concept by second-generation furniture artists affected and educated from the first generation that has implanted art furniture fundamental values. Besides, embracing inevitably needs of the new era going with the social change rather than dwell on the nature of mere handicraft era, it has evolved with economic revival in the United States, the attention and increased consumption of the public, and ongoing government-sponsored. And more recently, the American contemporary Art Furniture faces another change in the non-boundary phenomena between art and design. American art furniture since the 1980s are summarized as three major trends: Art furniture embellished with traditional hand-craft, Art furniture featured the individualistic avant-guard characteristic, Art furniture eroded the distinction between art and design. By analyzing focusing on the furniture artists and their works in contemporary art furniture deployment aspects since th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method to measure the forward direction, internationally competitive, creativity, and artistic value of the domestic art furniture.

  • PDF

대한민국 명장(名匠)의 작품 성향에 관한 연구 III - 나전칠기 명장 임충휴 - (A Study of Master Craftsman Republic of Korea III - Lacquer ware masters Lim Chung Hyu -)

  • 김정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3-382
    • /
    • 2015
  • In this study, select the Republic of Korea mother-of-pearl lacquerware Lim chung hyu coach, I tried to find out the until the background and coach of his growth. And it was done looking for the element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through the tendency of his work after the coach has been. Lim chung hyu coach is, unlike other mother-of-pearl lacquer craftsman, confirmed the affection and passion to his mother-of-pearl lacquerware as seen through the work to manufacture in his unique way. Through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production processes and trends of his works of Lim chung hyu coach it increase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The work of Lim chung hyu coach was studied analysis confirmed the superiority of the mother-of-pearl lacquer crafts that are completed through a number of steps. Through the work trend of the traditional while it adheres to craft system in pursuit of modernization together the Republic of Korea lacquerware masters Lim chung hyu coach, has described a vision for the potential of the development of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to pursue him.

전통 문화상품에 나타난 문양 분석 - 서울 지역과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Motifs on Traditional Cultural Goods in Seoul and Kwang-Ju)

  • 최승연;이미숙;신윤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1-11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fs on cultural goods in In-Sa-Dong Street, Seoul, with those in Art Street, City Hall, Kwang-ju. For this study, 607 cultural goods were collected from the two cities: 265 in Seoul and 342 in Kwang-ju. Total cultural goods were classified by accessories, decoration pieces, stationery and ceramics and were studied by repetition patterns, motifs types, representative techniques, and representative typ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repetition patterns of motifs, there were 219 simple repetition patterns in Seoul, and 289 in Kwang-ju, and 46 compound repetition patterns in Seoul, and 53 in Kwang-ju. The ratio of simple repetition pattern was higher than that of compound repetition pattern in both cities. Second, for motif types, floral, animal, letter, and graphic motifs were used far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motif types. Third, for representative techniques, embroidery was far more frequently used than any other representative techniques. Metallic crafts, chil-bo and paper techniques were also favored. Fourth, for representative types, realistic types were more common than abstract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