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Motifs on Traditional Cultural Goods in Seoul and Kwang-Ju

전통 문화상품에 나타난 문양 분석 - 서울 지역과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

  • Choi, Seung-Youn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Mi-Sook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Youn-Sook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fs on cultural goods in In-Sa-Dong Street, Seoul, with those in Art Street, City Hall, Kwang-ju. For this study, 607 cultural goods were collected from the two cities: 265 in Seoul and 342 in Kwang-ju. Total cultural goods were classified by accessories, decoration pieces, stationery and ceramics and were studied by repetition patterns, motifs types, representative techniques, and representative typ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repetition patterns of motifs, there were 219 simple repetition patterns in Seoul, and 289 in Kwang-ju, and 46 compound repetition patterns in Seoul, and 53 in Kwang-ju. The ratio of simple repetition pattern was higher than that of compound repetition pattern in both cities. Second, for motif types, floral, animal, letter, and graphic motifs were used far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motif types. Third, for representative techniques, embroidery was far more frequently used than any other representative techniques. Metallic crafts, chil-bo and paper techniques were also favored. Fourth, for representative types, realistic types were more common than abstract types.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숙(1982).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직물과 문양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순정, 송경자(1999). 한복지 문양과 색채에 관한 연구-97년도를 중심으로. 복식, 43, 31-40
  3. 권순정, 송경자(2002). 2001년도 한복의 디자인 경향과 문양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2), 128-136
  4. 김금미(1981). 조선조 왕복에 나타난 문양과 색채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수경, 최경순(1999). 1990년대 후반 한국 전통 의상에 사용한 문양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7(5), 812-823
  6. 김창신(1973). 이조시대 기하학적 문양의 조형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순(1975). 조선조 자수 문양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8. 김은주(1981). 복식에 나타난 직물 문양의 고찰. 세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은주(1982). 의복문양의 기호도에 관한 실태연구-한복을 중심으로. 복식, 6, 65-87
  10. 김재숙, 장수경(2000). 한국 전통 문양의 종류, 표현 유형, 구성 형식 및 적용 대상에 따른 감성 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4(2), 214-225
  11. 김종덕(1984). 직포에 나타난 길상 문양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혜경, 정성일(2000). 관광 상품 개발을 위한 Cap 디자인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8), 1209-1219
  13. 김희섭(1981). 한복식에 나타난 색채와 문양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남기선, 한명숙(2004). 성격유형에 따른 복식 문양 이미지평가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2(1), 59-72
  15. 남성희(1977). 조선시대 후기 직물에 나타난 무늬와 색채에 대한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문화관광부(2000). 공예문화상품 제작 유통 실태 조사연구. 문화관광부
  17. 문화관광부(2002). 자료로 보는 문화상품. 문화관광부
  18. 박영희(2004). 남성복에 나타난 문양의 감성 이미지와 선호도. 복식, 54(4), 113-127
  19. 박현택(1999). 문화상품의 디자인 개발과 활성화방안. 국립중앙박물관
  20. 선수산(1978). 조선조 복식 문양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안창현(2003).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장식 문양연구. 복식, 53(4), 131-148
  22. 유지헌, 한명숙(1983). 한복지와 그 문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1(3), 41-58
  23. 윤인성(1990). 조선시대의 직물 문양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양섭(1969). 한국의 직물과 그에 나타난 문양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임영자(1980). 실물로 본 색채와 무늬의 고찰. 복식, 3, 67-84
  26. 임영주(1983). 한국 문양사. 미진사
  27. 임희숙(1986).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문양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장수경(1994). 한국전통 문양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2), 283-295
  29. 장순자(1969). 이조시대 복식에 나타난 문양.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장현주(2004).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구름 문양의 유형과 특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2), 169-176
  31. 정진순(2004). 연꽃 문양을 이용한 직물 디자인 개발 및 문화 상품 제작(2).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421-426
  32. 정혜경, 박영희(2004). 한복에 사용된 장식 문양을 통하여 본전통-현대화 작업에 대한 분석. 복식, 54(1), 11-21
  33. 조규경(1985). 조선조 직물에 나타난 동물 문양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조선대학교 산업 디자인 특성화 사업단(2000). 21세기 전남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전통 문화 상품화 계획. 조선대학교
  35. 진경옥(1997). 한복의 복식미에 대한 인지도 조사 연구. 복식, 31, 101-118
  36. 최영숙(1978). 조선조 복식의 문양연구.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최옥자(1977). 실물로 본 색채와 무늬의 고찰. 복식, 1, 1-21
  38. 최혜정(1989).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문양과 상징성에 관한 고찰. 복식, 13, 51-72
  39. 한국문화정책개발원(1999). 전통공예 문화 상품 판매 및 유통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