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xicity Test

검색결과 1,570건 처리시간 0.032초

풋감 주정 추출물의 유전독성 연구 (Genotoxicity Study of Immature Green Persimmon Extract)

  • 함영민;윤선아;현호봉;고보람;정용환;오대주;윤원종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67-573
    • /
    • 2020
  • 감은 중국, 한국, 일본, 브라질, 터키, 이탈리아 등을 포함하는 온대지역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일부 아시아권 소비자들에게는 건강에 유익한 기능성 원료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감에 포함된 풍부한 파이토케미컬들은 감을 섭취함으로써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의 미숙과인 풋감추출물(DKA)의 유전독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미생물복귀돌연변이시험, 염색체이상시험, 포유류 소핵발생시험을 수행하여 풋감추출물(DKA)의 유전독성을 평가하였다. 미생물복귀돌연변이시험에서 DKA는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 와 Escherichia coli WP2uvrA에서 S9 대사활성계의 존재에 상관없이 돌연변이 유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은 풋감추출물(DKA)처리군에서 소핵을 가진 다염성 적혈구와 전체적혈구 중 다염성 적혈구의 비율의 증가는 볼 수 없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에서 모든 세포주의 처리시간 및 S9 대사활성계 존재유무에 상관없이 염색체이상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풋감추출물(DKA)은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기능성 식품 원료로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인도네시아 식물 3종(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from 3 Types Indonesia Plants (Hibiscus Petals, Moringa Oleifera Gymnosperm, and Nipa Fruticans Wurmb))

  • 최지혜;황진우;이성규;허수학;강현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2-47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네시아 원료 중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차용)을 열수로 추출하여 항산화 능을 비교하여 어떠한 시료가 효능이 높은지 조사하고, 또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나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해서도 연구하는 것이었다. 방법: 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 추출물을 열수 추출하여 polyphenol, flavonoid의 함유량 및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와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 radical의 소거 능력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을 검사하였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시료들의 독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해죽순 열수 추출물의 polyphenol 함유량은 109 ㎍/mg으로 히비스커스 꽃잎(13 ㎍/mg)과 모링가 겉씨(19 ㎍/mg)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flavonoid 함유량은 다른 모링가와 히비스커스보다 높게 나타났다. ABTS와 DPPH radical 소거능 또한 해죽순이 높았으며, 상기시료들의 세포독성 실험결과는 비슷하였다. 결론: 위의 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의 열수 추출한 결과물이 항산화 작용이 높고 독성이 거의 없어서 화장품 물질이나 자연유적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Effects of L-glutamine supplementation on degradation rate and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 Suh, Jung-Keun;Nejad, Jalil Ghassemi;Lee, Yoon-Seok;Kong, Hong-Sik;Lee, Jae-Sung;Lee, Hong-Gu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3호
    • /
    • pp.422-433
    • /
    • 2022
  • Objective: Two follow-up studies (exp. 1 and 2)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glutamine (L-Gln) supplementation on degradation and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Methods: First, rumen liquor from three cannulated cows was used to test L-Gln (50 mM) degradation rate and ammonia-N production at 6, 12, 24, 36, and 48 h after incubation (exp. 1). Second, rumen liquor from two cannulated steers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five levels of L-Gln including 0% (control), 0.5%, 1%, 2%, and 3% at 0, 3, 6, 12, 24, 36, and 48 h after incubation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gas production, and degradability of nutrients (exp. 2). Results: In exp. 1, L-Gln degradation rate and ammonia-N concentrations increased over time (p<0.001). In exp. 2, pH was reduced significantly as incubation time elapsed (p<0.001). Total gas production tended to increase in all groups as incubation time increased. Acetate and propionate tended to increase by increasing glutamine (Gln) levels, whereas levels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s) were the highest in 0.5% and 3% Gln groups (p<0.001). The branched-chain VFA showed both linear and quadratic effects showing the lowest values in the 1% Gln group particularly after 6 h incubation (p<0.001). L-Gln increased crude protein degradability (p<0.001), showing the highest degradability in the 0.5% Gln group regardless of incubation time (p<0.05). Degradability of acid detergent fib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showed a similar pattern showing the highest values in 0.5% Gln group (p<0.10). Conclusion: Although L-Gln showed no toxicity when it was supplemented at high dosages (2% to 3% of DM), 0.5% L-Gln demonstrated the positive effects on main factors including VFAs production in-vitro. The results of this study need to be verified in further in-vivo study.

감귤원에서 초생관리와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조합처리가 귤응애와 천적의 발생양상에 미치는 단기효과 (Effects of Ground Vegetation and Pyrethroid Spray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Panonychus citri (Acari: Tetranychidae) and Natural Enemies in Citrus Orchard: A Short-term Effect)

  • 현승용;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55-26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감귤원에서 초생재배 유무(초생재배 W, 제초제 살포 NW)와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유무(살포 P, 무살포 NP)에 따른 귤응애의 개체군 동태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두 가지 기본적인 가설로 1) 초생재배는 천적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천적의 정착을 높이므로 귤응애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2) 합성피레스로이드계는 천적을 제거하여 귤응애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가정하였다. 관측된 천적 개체군(주로 이리응애류와 마름응애류)의 발생은 가정에 근거한 기대치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2011년의 경우 NW+NP 처리구와 W+NP 처리구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2012년 실험에서는 기대치와 관측치가 거의 일치하였다. 전체적으로 약제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서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시 천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잡초효과는 엇갈리는 결과를 보였는데, 봄-유래 여름 개체군 대비 가을 개체군의 증가 등을 고려할 때 초생재배를 하는 경우 천적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다만,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구에서 귤응애가 감소하는 비이상적인 결과는 귤응애의 합성피레스로이드계에 대한 강한 기피성을 전제로 해석할 수 있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신청자들의 노출등급 분류 및 폐질환 발생 영향요인 분석 (Affecting Factors of Lung Disease and Classification of Exposure Rating of Applicants for Injuries from Humidifier Disinfectants)

  • 민기홍;신정현;조은경;정다영;류지윤;김동준;우재민;배성호;신지훈;이슬아;최윤형;양원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24-330
    • /
    • 2022
  • Background: Lung injuries due to exposure to humidifier disinfectants (HDs) were reported in 2011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e government's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and toxicity test study, it was found that HDs caused health damage such as lung diseas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HD exposure ratings and analyze the affecting factors that could identify the relationship with lung disease. Methods: Exposure assessment for HDs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during face-to-face interviews with the applicants. Ratings of high exposure (Class 1) and low exposure (Class 2) were cross-tabulated with clinical ratings (acceptable and unaccept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etting the clinical rating of lung diseas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socio-demographic and exposure characteristics ob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 concentration in air of 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MG) was 71.96±107.47 ㎍/m3, and the exposure concentration was 15.21±23.28 ㎍/m3 . The exposure rating was overestimated with 97.1% of affected subjects having high exposure using margin of exposure (MOE), but only 9.9% matching the clinical class. In the overestimated group, it could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exposure time was long and the subjects had already recovered from damage symptoms.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en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Conclusions: A new exposure rating could be calculated based on the MOE, and factors affecting lung disease could be estimated through comparative evaluation with the clinical rating.

해양생태계 보호 기반의 해양 미세플라스틱 위해성평가 전략 (Governance Strategy for Marine Microplastic Risk Assessment based on Ecosystem Protection)

  • 정지현;심원준;김문구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7-92
    • /
    • 2023
  •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환경 내 어디에나 존재하며 크기, 모양 또는 유형의 표준화된 입자가 아니다. 따라서 독성자료를 바탕으로 해수, 퇴적물 등 해양환경의 다차원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관리하는 위험평가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환경 미세플라스틱의 특징과 영향을 조사하였고, 해양환경 미세플라스틱의 분포와 생물영향에 따른 위해도 평가 프레임워크(초안)를 제안하고 있다. 환경 미세플라스틱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독성 데이터는 독특한 형태와 유형에 집중되어 있으며, 실험실 노출 생물과 관리해야 하는 생물 종도 다르다. 실제적으로, 지금까지의 수집된 연구결과는 위해성평가에 활용하기에 독성 데이터 품질에 있어 불확실성이 높기도 하며, 전통적인 위해성평가 프레임워크를 적용하는 데 있어 고려할 부분이 많이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 미세플라스틱 관리에 대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점차 강화되고 있고, 해양환경의 미세플라스틱 오염도가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해양환경의 미세 플라스틱 특성에 기초한 위해성평가 기법 구축에 대한 추가 연구가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부가한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Interfacial Properties of Propylene Oxide Adducted Sodium Laureth Sulfate Anionic Surfactant)

  • 이정민;박기호;신희동;정우진;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34권3호
    • /
    • pp.264-27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라우릴 알코올에 에틸렌 옥사이드 3 몰과 프로필렌 옥사이드 1 몰을 부가한 후 설페이션을 공정을 거쳐서 ASCO SLES-430을 제조하였으며, 합성한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FT-IR, 1H-NMR 및 13C-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한 ASCO SLES-430의 임게 마이셀 농도, 정적 표면장력, 유화력, 접촉각 등의 계면 물성과 경구 독성 및 피부 자극성 등의 안정성 지표 등을 측정하였으며, SLES 계면활성제 내에 에틸렌 옥사이드가 각각 2 몰 및 3 몰 부가된 ASCO SLES-226 및 ASCO SLES-328 계면활성제들과 비교하였다. 특히, ASCO SLES-430의 기포 생성력과 기포 안정성을 평가하여 기존 세제 제품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ASCO SLES-226과 ASCO SLES-328과 비교함으로써 ASCO SLES-430의 소형 빌트인 세탁기용 세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열수추출 Geranium Maculatum extract (와일드제라늄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염효과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eranium Maculatum extract" Water Extracts)

  • 최인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44-2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DPPH, ABTS, FRAP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항산화 물질 측정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세포실험에서는 B16F10 cell과 RAW 264.7 cell을 사용하여 세포독성 실험과 미백실험, 항염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DPPH에서는 265.8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168.5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와일드제라늄 추출물 1 mg의 환원력과 ascorbic acid 229±9 ㎍의 환원력이 같음을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농도는 32.989±1.610 mg/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11.098±0.261 mg/g이었다. 세포실험에서는 실험 농도 범위에서 80% 이상의 세포가 생존하여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은 낮은 독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백활성 실험에서는 농도에 따라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100 ㎍/mL에서 40.62±2.07%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였다. 항염활성 실험에서도 농도에 따라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100 ㎍/mL에서 27.86±2.82%의 염증 억제능을 보여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뇌혈관질환 환자에 대한 청심연자탕(淸心連子湯), 도담탕(導痰湯),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보신익뇌탕(補腎益腦湯)의 간기능과 신기능 안전성 평가 : 후향적 연구 (Hepatic/Renal Safety Evaluation of Cheongsimyeonja-tang (Qīngxīn Liánzǎo Tāng), Dodam-tang (Táodàn Tāng), Hyeolbuchukso-tang (Xuè Fǔ Zhú Yū Tāng), and Boshiniknai-tang (Bǔ Shèn Yì Nǎo Tāng) for Cerebrovascular Diseases : A Retrospective Study)

  • 김민화;조임학;남이랑;김마리아;구기범;이세연;권정남;이인;홍진우;윤영주;김소연;한창우;박소정;최준용;신현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39-454
    • /
    • 2023
  • Objectives: As Korea transitions into an aging society, the incidence of cerebrovascular disease is expected to increase. Herbal medicine is commonly used in Oriental medicine to treat cerebrovascular disease.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clinical evidence to actively support the safety of herbal medicine in clinical practic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oxicity and safety of four herbal medicines (Cheongsimyeonja-tang, Dodam-tang, Hyeolbuchukso-tang, and Boshiniknai-tang)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Methods: This study us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to analyze patients admitted to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April 1, 2017, to December 31, 2020. Liver and renal function values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discharge were compared. Results: A total of 25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ous variables, such as complete blood count, liver-renal function test, and urine,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four herbal medicines. Additionally, no significant adverse events related to herbal medicine were observed.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safety of the four herbal medicines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who were hospitalized in a single Oriental medicine hospital.

생물전환 기법을 적용한 접시꽃 callus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thaea rosea L. Callus extract by applying biorenovation)

  • 구연수;박태진;김정환;김승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39-45
    • /
    • 2023
  • Biorenovation은 미생물의 생체 촉매 대사를 통해 단일 화합물 또는 천연물을 생물 전환시켜 약리학적 효능을 증진시키고, 세포에 대한 독성을 완화시키는 기술이다. 접시꽃은 예로부터 한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항염증, 항암 등 다양한 생리학적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접시꽃캘러스는 손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발달한 미분화 식물 조직으로, 항산화 및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염증과 같은 다른 활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리노베이션을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ARBR)에 적용하여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생물전환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측정 농도(50, 100, 200 ㎍/mL)에서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었으며, 산화질소 생성 억제에 대한 효능이 기존 추출물에 비해 증진되었다. 또한, 프로스타글란딘 E2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고리형 산소화 효소, 산화질소의 유도 합성효소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RBR이 과도하게 발현된 염증반응을 조절하여 기능성 화장품과 의약품의 소재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