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xicity Test

검색결과 1,573건 처리시간 0.032초

동맥경화증이 유발된 $ApoE^{(-/-)}$ mouse에서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과 Aspirin의 병용투여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Hyeolbuchukeo-tang and Aspirin on Atherosclerosis in the $ApoE^{(-/-)}$ Mouse)

  • 이범준;윤승연;박현우;박지혁;조인영;이정숙;류재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4-174
    • /
    • 2011
  • Objective: The antiplatelet agent aspirin has been widely used for treating atherosclerosis in western medicine, and its efficacy has been proven in cardiac and extracardiac vascular diseases. On the other hand, Hyeolbuchukeo-tang has been widely used for treating blood stasis syndrome in traditional medicine.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Hyeolbuchukeo-tang could have a synergic effect along with aspirin. Methods & Materials: Male $ApoE^{(-/-)}$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a non-treated group(Control group), an aspirin-treated group(AP group), and an aspirin with Hyeolbuchukeo-tang-treated group(APH group). The control group was fed only an atherogenic diet, the AP group an atherogenic diet plus Aspirin 5 mg/kg, and the APH group an atherogenic diet plus Aspirin 5 mg/kg with Hyeolbuchukeo-tang 100 mg/kg. We investigated plasma lipid with liver function test, and performed the histological investigation of liver and abdominal aorta. Results: 1. We investigated photomicrographic changes of liver and abdominal aorta tissue. They showed that histological injury of aorta and lipid accumulations of the liver were lower in the AP and APH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2. In the APH group, plasma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and AP groups. 3.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among the control, AP and APH groups.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a combined treatment of Hyeolbuchukeo-tang and aspirin has a somewhat synergic effect in terms of inhibiting vessel injury and decreasing lipid deposits on liver cells without liver toxicity.

고본양정방 투여가 TCDD 유도 랫드의 항산화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obonyangjeonbang Administration on Antioxidative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induced Rats.)

  • 양동현;오지혜;박운규;조충식;황석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31-23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TCDD로 인해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GYB의 내분비 기능 및 항산화 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2017년도에,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GYB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35마리의 수컷 SD랫드를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vehicle 및 saline을 투여하였으며, TCDD 단독투여그룹은 TCDD(2 ㎍/kg, weeks) 및 생리식염수를 복강 내 투여하였으며, 시험 군은 6주 동안 GYB (75, 150, 300 mg/kg)를 3가지 농도로 나누어 경구로 투여하였다. 체중은 NC 그룹의 랫드와 비교하였을 때 TCDD 노출 후 6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그러나 TCDD에 의한 체중 감소는 GYB 300 mg/kg 투여에 의해 현저하게 보호되었다(p<0.01). TCDD로 유도된 랫드의 간은 세포질의 공포 변성이 나타났으며, 간의 동양 혈관과 중량의 증가를 나타냈다. MDA, SOD를 측정한 결과, TCDD 투여에 의하여 두 항목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GYB 투여에 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고, SOD 결과에서 GYB 300군에서 NC군 대비 유의성이 관찰(p<0.05) 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GYB가 랫드에서 TCDD 유도 간 독성에 대해 보호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오적산가미방(五積散加味方) 추출물이 $CCl_4$ 중독 Rat의 간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jeoksangamibang Extract on the Recovery of Liver Function in $CCl_4$-exposed Rats)

  • 이수연;박원형;차윤엽;이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5-53
    • /
    • 2013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jeoksangamibang ($W\check{u}j\bar{i}s\check{a}nji\bar{a}w\grave{e}if\bar{a}ng$) extract on recovery of liver function in carbontetrachloride ($CCl_4$)-exposed rat. Methods Male rats weighing $230{\pm}7.21g$ fed experimental diet for 1 week and 28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Each of 7 rats was de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 We fed a control group of rats a basal diet and administered normal saline (100 mg/kg, 1 time/1 day) for 3 weeks. And we fed each experimental group of rats basal diet and administered an extract of Ojeoksangamibang extracts (100 mg/kg, 200 mg/kg, 300 mg/kg, 1 time/1 day) for 3 weeks. We measured lipid of plasma and liver, concentr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beta}$, IL-6 and IL-10).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ith significance level at p<0.05. Results Plasma a-fetoprotein (AFP)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Ojeoksangamibang extract-treated groups. However, plasma albumin concentr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reatment groups. Activity of plasma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in the Ojeoksangamibang extract-treated groups, increased addition amount of Ojeoksangamibang extracts tended to decline. Alkaline phosphatase (ALP),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gamma}$-glutamyl transferase (${\gamma}$-GT) activitie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Ojeoksangamibang extract-treated groups, increased addition amount of Ojeoksangamibang extracts tended to decline. Concentration of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showed a lower value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liver $IL-1{\beta}$, IL-6 and $TNF-{\alpha}$ concentration were decreased, and IL-10 was increased in Ojeoksangamibang extract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Plasma $IL-1{\beta}$, IL-6 and $TNF-{\alpha}$ concentration were decreased, and IL-10 was increased in Ojeoksangamibang extract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Ojeoksangamibang may alleviate liver inflammatory reaction induced by liver toxicity.

장수버섯 자실체의 열탕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약리적 효과 (Pharmacological Effects of Proteoglycans Extracted from Fruiting Bodies of Fomitella fraxinea)

  • 윤상홍;임재현;김양섭;김창한;조준형;황영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11-518
    • /
    • 1998
  • 국내에 자생하는 장수버섯(Fomitella fraxinea)의 자실체에서 분리한 수용성 다당체의 약리적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수버섯 자실체에서 추출한 수용성 다당체는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1종의 중성다당체(FF-NP)와 2종의 산성다당체(FF-AP1, FF-AP2)로 분리되었다. 3종의 다당체중 FF-AP1이 $20\;{\mu}g/ml$ 농도에서도 약리적으로 유효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었다. Clonogenic assay에 의한 9종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각 다당체의 저해효과검정에서, FF-AP1은 $500\;{\mu}g/ml$ 농도에서 인체 위암 세포주(Snu-1)에 대해 86%, FF-AP2는 동농도에서 인체 후두암(Hep-2)과 구피암(KB)에 대해 각각 71%와 77%의 생존억제율을 보여주었다. 장수버섯 자실체로부터 열수 추출한 조다당체에 대한 mouse의 급성독성 검정시험결과에서 반수치사량이 5000 mg/kg 이상이었으며, 육안이나 조직학적 관점에서 어떠한 이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 PDF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한국산 물벼룩의 최적 사육수 선발 (Selection of Optimal Culture Media for Developing Standard Ecological Toxicity Test Methods using Korean Freshwater Cladocera)

  • 김병석;박연기;박경훈;김진경;신진섭;김진화;윤성명;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9-19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한국 담수산 물벼룩을 대상으로 농약의 생태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 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환경에서의 대표성, 실내사육가능성 및 독성시험에 적합한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발된 4종의 한국산 물벼룩(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과 국제표준종인 Daphnia magna를 대상으로 실내사육에 적합한 최적 사육수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국내산 물벼룩은 사육수의 경도가 $80{\sim}100$ mg $L^{-1}(CaCO_3)$인 hard water와 $40{\sim}48$ mg $L^{-1}(CaCO_3)$인 soft water 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보였으나, 우리나라 강물의 경도가 $60.2{\sim}127.2$ mg $L^{-1}(CaCO_3)$의 범위에 있는 점과 칼슘부족이 동물성플랑크톤 갑각류의 종 번식과 군집구조에 중대한 결정요소인 점을 감안하여 우리나라 물벼룩의 실내사육을 위한 최적 사육수로 경도가 $80{\sim}100$ mg $L^{-1}(CaCO_3)$인 hard water를 추천하고자 한다.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한국산 물벼룩의 최적사육온도 구명 (Optimal temperature conditions of Korean freshwater Cladoceran for development of standard toxicity test methods)

  • 김병석;박연기;박경훈;신진섭;김진화;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1-230
    • /
    • 2005
  • 국내에 서식하는 주요 물벼룩에 대한 독성시험기준 마련의 필요성에 따라 국내환경에서의 대표성, 실내사육가능성 및 독성시험에 적합한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발된 4종의 한국산물벼룩(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과 Daphnia magna를 대상으로 사육온도(16, 20, 24, $28^{\circ}C$)에 따른 번식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한 5종 물벼룩 모두 온도가 높을수록 탈피횟수, 새끼출산수 및 내적자연증가율이 증가하고 성체가 되는데 걸리는 기간과 생존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높은 온도조건에서 높은 내적자연증가율을 보여줌에도 불구하고 고온에서의 높은 모체사망율을 고려한다면 대부분은 $20^{\circ}C$ 내외가 가장 적절한 사육온도임을 알 수 있었다. 다만 D. obtusa의 경우에는 $16^{\circ}C$에서 더 높은 모체생존율을 보여주었으며 내적자연증가율도 $20^{\circ}C$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어 $16^{\circ}C$ 내외가 더 적절한 온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파프리카 잎 중 Chlorfenapyr의 잔류량 변화와 점박이응애에 대한 잔효 생물 활성 (Persistence of Chlorfenapyr in Paprika Leaf and Its Residual Biological Activity to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 조규성;이소정;이동열;김영진;김경열;정부근;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7-322
    • /
    • 2011
  • 파프리카 잎에서 chlorfenapyr의 잔류기간 및 응애에 대한 약효 지속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chlorfenapyr를 기준량, 배량으로 살포하여 농약 잔류량 및 점박이응애의 사충율을 조사하였다. 기준량과 배량처리 모두 chlorfenapyr의 잎에서 반감기는 8일이였으며, 초기 잔류 농도는 기준량처리 시 22.22 ${\mu}g\;g^{-1}$이었고 배량 처리 시에는 37.75 ${\mu}g\;g^{-1}$으로 29일째 분석 시 1.56 ${\mu}g\;g^{-1}$, 배량은 3.62 ${\mu}g\;g^{-1}$로 나타났다. 열매에 대한 반감기는 5일로 잎에서 보다 짧았으며 잔류량은 MRL 수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점박이응애를 접종하여 24시간, 48시간 후 사충율을 조사한 결과 24시간 처리구의 방제효과는 7일까지 지속되었다. 48시간 처리구는 농약 처리 후 15일 경과한 잎에서도 방제 효과가 지속되었다. 이 결과로 작물체내에서 농약의 잔류량과 방제효과는 해충이 섭취하여 치사하는 농도에 도달하는 점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암제 DA-125의 랫트에 있어서 태자독성효과 (Embryotoxic effects of DA-125, a new anthracycline anticancer agent, in rats)

  • 정문구;김종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5-172
    • /
    • 1994
  • DA-125는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암성 항생제로서 아드리아마이신의 유도체이다. Sprague-Dawley 랫트를 이용하여 DA-125의 배아 및 태자독성발현능력을 조사하였다. 교미확인(정충확인일=0일)된 120마리의 랫트를 4개군으로 나눈후 0, 0.1, 0.3 및 1.0mg/kg의 용량으로 임신 7일 부터 임신 17일까지 1일 1회 연속 정맥투여 하였으며 임신 20일째에 제왕절개를 하여 태자를 적출하였다. 1mg/kg 투여군에서는 모동물의 사료섭취량의 감소, 체중감소 및 비장중량의 감소와 배아 흡수율의 증가 및 태자체중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여러가지 종류의 외표, 내부장기 및 골격기형들이 각각 11.9, 41.8 및 14.5%의 빈도로 출현했다. 그중 특이 기형소견으로는 뇌탈출증, 복벽파열, 외측 및 제3뇌실의 확장, 늑골유착 등을 들 수 있다. 0.1 및 0.3mg/kg 투여군에서는 어떠한 배아 및 태자 독성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DA-125는 랫트에 있어서 경미한 모독성 용량에서 배아 및 태자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Gallic Acid와 Linoleic Acid로부터 합성한 Octadeca-9,12-dienyl-3,4,5-trihydroxybenzoate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및 화장품 제형을 통한 생리 기능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Octadeca-9,12-dienyl-3,4,5-trihydroxybenzoate from Gallic and Linoleic Acids and Its Biological Functions in Cream-based Emulsion)

  • 정사무엘;송현파;이나영;장애라;조철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96-700
    • /
    • 2008
  • Gallic acid와 linoleic acid의 합성물인 octadeca-9,12-dienyl-3,4,5-trihydroxybenzoate(GA-LA)의 화장품산업에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전독성학적 안전성을 확인하고 크림 베이스 유화물을 사용하여 전자공여능, FRAP 및 tyrosinase 활성 억제능력과 같은 GA-LA의 생리 기능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전독성학적 안전성이 확인되었고, 산화에 의한 피부의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항산화 능력과 미백과 관련된 tyrosinase 활성 억제 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GA-LA는 식품산업뿐만 아니라 화장품산업에서 유용한 기능성 물질로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저질 개선제의 주입에 의한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ment for Effect of Water Environment by Addition of Improvement Agents on Sediments)

  • 김우항;김도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9-73
    • /
    • 2004
  • 새우양식장의 저질에서 암모니아, 황화수소가스와 같은 독성물질의 용출은 수질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칼럼에 저질을 주입하고 저질 개선제로 활성탄, 제올라이트, 패각 그리고 철 등을 주입하여 저질로부터 용출되는 독성물질을 중심으로 수질에 미치는 영행을 평가하였다. 암모니아 질소($NO_3$)는 제올라이트와 패각을 주입한 곳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제올라이트는 암모늄이온($NH_4^+$)을 이온교환으로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며, 패각은 pH의 상승을 방지하여 안정하게 pH를 유지시켜 암모니아가스($NO_3$)의 농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화수소와 COD는 활성탄을 주입한 곳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으며 황화수소는 패각에서도 부분적으로 제거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인은 활성탄, 패각, 철에서 잘 제거되었다. 새우 양식장에서는 특히, 주간에 플랑크톤의 광합성에서 의해서 pH가 상승하게 되며 이것은 암모니아가스의 농도가 높게 된다. 그러나 패각의 주입은 pH의 상승을 방지하여 암모니아가스의 농도가 높게 된다. 그러나 패각의 주입은 pH의 상승을 방지하여 암모니아가스의 농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