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wel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7초

간격 차이(90° 굴곡 간격-신전 간격)와 슬관절 전 치환술 1년 후의 무릎 기능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Knee Function at 1 Year Postoperation and Gap Difference (90° Flexion Gap-Extension Gap) in Total Knee Replacement)

  • 조명래;도정석;김경태;최원기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54-260
    • /
    • 2019
  • 목적: 슬관절 전 치환술 시, 90° 굴곡과 신전 시의 간격(gap) 차이와 술 후 1년째의 슬관절 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시행된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전치환술의 연속된 82예를 대상으로 시행된 전향적 연구이다. 간격 측정은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였으며, 슬개골을 towel clip을 이용하여 정복한 이후 간격을 측정하였다. 신전 시의 내측과 외측 간격의 평균과 90° 굴곡 시의 내측과 외측 간격의 평균값을 구한 이후 간격 차이(90° 굴곡 시의 간격-신전 간격)를 계산하였다. 간격 차이<0 mm, 0 mm≤간격 차이<2 mm, 2 mm≤간격 차이를 각각 1군, 2군, 3군으로 나누었다. 술 후 1년째, Knee Society score (KSS)와 함께 무릎의 최대 굴곡 각도를 측정한 이후, 각 군 간의 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간격 차이의 값에 따라 나눈 군의 수는 1군이 37예, 2군이 29예, 3군이 16예였다. 술 후 1년째의 KSS knee는 평균 81.21±8.31, KSS function은 71.34±9.84, 그리고 무릎의 최대 굴곡 각도는 126.48°±7.28°였다. 간격 차이에 따른 1년 후의 KSS의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ann-Whitney test를 이용한 두 군 간의 비교에서 2 mm≤간격 차이를 보이는 3군이 1군과 2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최대 무릎 굴곡 각도를 보였다. 결론: 슬관절 전 치환술 시, 90° 굴곡 시의 간격이 신전 시의 간격보다 2 mm 이상 큰 경우에서 다른 군에 비하여 술 후 1년째의 최대 무릎 굴곡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얼음주머니의 국소적 적용에 따른 피부체온 및 주관적 불편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kin Temperature and Discomfort According to the Local Application of Ice Bag.)

  • 김금순;방경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7-49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oral temperature, skin temperature, and subjective discomfor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ime of ice bag on thigh, head, and abdomen.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suggest nursing principles about ice bag application by exploring the recovery time of skin temperature after the removal of ice bag.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8{\times}3$ factorial design with one sample repeated measure. Here, the application time of ice bag(criteria, 5min, 10min, 20min, 30min, 40min, 50min, 60min) and the application site of ice bag(thigh, head, abdomen) were independent variables. The subjects were 10 university woman students, and data collection was made from July, 1 to August 30, 1992. Rubber ice bag halfly filled with ice was covered with towel and applied on thigh, head and abdomen in other three days. Before applying the ice bag, oral temperature and skin temperature were checked for criteria. After ice bag was applied, skin temperature, oral temperature and VAS score were checked at first 5 minutes elapsed, and every 10 minutes until 60 minutes. After that, ice bag was removed, and oral temperature and skin temperature were also measured every ten minutes until 60 minutes. In this study, skin temperature and core temperature were measured by thermistor probe, and subjective discomfort was measured by 200mm VAS (Visual Analogue Scale). Some of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in temperature among the three application sites of ice bag as time go by. It was most decreased to $15.87^{\circ}C$ in thigh, and $19.47^{\circ}C$ in abdomen at 50 minutes after the application of ice bag, whereas $26.1^{\circ}C$ at 40 minutes in head. Before the application of ice bag, skin tempera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ree sites, so that they were compared after the criteria was covariated. In other words,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decrease of skin temperature in thigh and abdomen than head, after ice bag was applied for 20 minutes and mor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e temperature among the three application sites of ice bag during the time of application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discomfort (VAS) among the three application sites of ice bag. 4. After the removal of ice bag, the recovery of skin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ree sites during first 30 minutes. In head, skin temperature came up to criteria at 30 minutes after the removal of ice bag, but it was not recovered In thigh and abdomen even 60 minutes elapsed. 5. After the removal of ice ba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temperature among the three application sites of ice bag. 6.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kin temperature and VAS score only in thigh.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head in more suitable site for the application of ice bag if it is used for the relief of fever or pain. When we apply ice bag on thigh or abdomen for the relief of pain, careful attention is required.

  • PDF

이질풀 추출물로 염색한 면직물의 염색성과 항식중독균성 (Dyeabil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Dyed with Geranium nepalense Extracts)

  • 박윤점;김현주;박용서;조자용;장홍기;허북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9-142
    • /
    • 2006
  • 항 식중독균성 수건 및 행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질풀 추출액 1%로 50-60에서 60분간 염색한 면직물의 염색성과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면직물의 표면색은 무매염, 명반 매염, 수산화칼슘 매염시는 그레이-옐로우로 황색계열을 나타냈으며, 황산구리 매염시는 그레이-브라운, 황산제1철 매염시는 그레이드-그린으로 나타났다. 이질풀 추출액으로 염색한 면직물의 hue 값은 20회 세탁까지는 Y계열을 나타내었으며, 30회와 40회 세탁시는 YR계열을 나타내었다. 이질풀 추출액으로 염색한 면직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대해 무세탁시 모두 99.99%의 항균성을 보였다 세탁 30회 후의 항균성은 52.91%이상을 나타내었다.

ATP bioluminescence Assay를 이용한 대학 급식시설의 위생상태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Hygienic Status of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 박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5-201
    • /
    • 2000
  • 대학 급식 시설의 미생물적 위생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도마, 칼, 식판 그리고 행주에 대하여 ATP bioluminescence와 표준평판 균수를 측정 비교하여 분석,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마, 칼, 식판 그리고 행주에 대한 표준평판 균수의 허용기준으로 1 $\textrm{cm}^2$당 40을 기준으로 하고 ATP bioluminescence는 800 RLU을 허용기준으로 하여 만족 할만한 수준과 시정할 수준으로 구분하여 위생상태를 평가하였을 때 ATP bioluminescence 측정값과 표준평판 균수 측정값은 84.7%의 일치도를 보였다. 2) 사용 전 도마, 칼, 식판, 및 행주의 ATP bioluminescence 측정값과 표준평판 균수 측정값의 일치도는 91.7%, 사용 중 두 값의 일치도는 75%. 그리고 세척ㆍ소독 후의 두값의 일치도는 87.5%로 사용 전의 일치도가 가장 높았고 사용 중의 일치도가 가장 낮았다. 3) ATP bioluminescence 측정과 표준 평판 균수 측정으로 얻어진 결과에서 사용 전 도마, 칼, 식판, 및 행주의 87.5%가 허용기준 이하이고, 사용 중 도마, 칼, 식판, 및 행주의 29.2%만이 허용기준 이하이며, 세척ㆍ소독 후 도마, 칼, 식판, 및 행주의 42.7%가 허용기준 이하로 사용전의 위생상태가 가장 양호하며 사용 중인 경우 위생상태가 가장 불량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4) 사용 전 도마, 칼, 식판, 행주 4종류의 표준평판 균수가 허용기준 이하 검출된 대학 급식 시설은 3곳이며, 사용 중 4종류의 표준평판 균수가 허용기준 이하 검출된 곳은 없었고 세척ㆍ소독 후 4종류의 표준평판 균수가 허용기준 이하 검출된 곳도 없었다. 5) 도마, 칼, 식판, 및 행주의 용도별 분리사용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특히 칼과 도마는 교차오염의 가능성이 크므로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분리 사용이 필요하며 소독방법 및 횟수에서 행주의 소독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마의 소독이 가장 미흡하게 나타나고 있다. 사용 중 도마, 칼, 행주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와 분리 사용이 필요하며 칼, 도마, 행주에 대한 적절한 소독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사려된다. 결론적으로 ATP bioluminescence 측정값은 표준평판균수 측정값과 높은 일치도를 보여 급식 분야의 미생물 품질관리 평가에 ATP bioluminescence 측정의 이용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실제로 HACCP system에 적용하기 위하여 보다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 PDF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실태와 관련요인 (Infection control realities and relevant factors in dental hygienists)

  • 엄숙;김경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79-389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ractice level on dental hygienists'infection prevention by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 of dental hygienists'infection control and analyzing factors of having influence upon thi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ly 18, 2011 to August 26 targeting dental hygienists who work at medical institutions where are located in Daegu, Busan and Ulsan Metropolitan Cities and Gyeongsangnam buk-do. After the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Results : 1. As a result of surveying practice by item in the practice level of infection prevention, the items with high practice level in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were surveyed to be 12 months(89.6%) for health-checkup cycle and to be having experience of vaccination(78.0%) for hepatitis type B. The items with high practice level in the management and practice of washing hands were indicated to be in order of regularly paper towel(87.7%) and hands cleaning after regular medical examination(80.5%). In the item of the practice on wearing and managing individual protection equipment, regularly wearing(93.1%) rubber globes given washing implements was indicated to be high. 2. As a result of analyzing working career, working institution, working region, and practice level of infectious-disease management, the appearance of fulfilling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t medical institution and the experience of education for infection control were indicated to have difference depending on working institution. Regularly health checkup was indicated to have difference depending on respondents' working career and working institution. 3. The whole average in the practice level of infection prevention according to working career, working institution, and working region was indicated to be 2.55 out of 3-point perfection. 4. Wearing latex gloves was indicat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orking institution(p<0.001) and working region(p<0.001). The exchange of latex gloves every patient and the use of paper apr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orking region(p<0.001). 5.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requency of using protection equipment for preventing infection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depending on the appearanc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t medical institution(p<0.001), the appearance of having experience of health checkup(p<0.01), and the appearance of having experience of vaccination for hepatitis type B(p<0.05). Conclusions :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howed that the denture satisfaction of the denture-wearing senior citizens was linked to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denture-wearing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when oral health plans geared toward boosting their denture satisfaction are carried out.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과 척추손상 외래환자들의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 조사 (Need Survey of Home Modification on Outpatient with Stroke and Spinal Cord Injury in Rehabilitation Center)

  • 임경민;이유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24-333
    • /
    • 2013
  • 본 연구는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과 척수손상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주거 유형, 장애유형, 일상생활 수행 정도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의 재활병원이나 종합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2012년 1월 2일부터 2월 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술통계와 $x^2$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가 장애 유형에 따라 현관의 계단이나 출입문의 폭, 욕실의 공간이용, 세면대, 양변기, 욕조, 샤워기 걸이와 세면대 높이, 거실과 침실 부엌, 베란다 공간이용 등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주거 유형에 따른 주거환경 개선요구는 출입문의 센서 등, 욕실의 휴지걸이와 콘센트 덮개의 개선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 수행정도에 따라 출입문의 폭과 문턱, 욕실의 휴지걸이와 수건걸이, 미끄럼 방지 바닥재, 샤워기, 부엌의 공간과 식탁, 의자, 베란다의 공간이용과 문턱, 조명 밝기의 개선 요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주거 환경 개선에 대한 요구 정도가 장애유형, 주거 유형, 일상생활 수행 정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평가와 치료적인 접근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식당 설비와 기구의 미생물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s on the Facilities and Utilities of Korean Restaurants)

  • 정동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11-1618
    • /
    • 2005
  • 일반 음식점인 한식당의 시설과 기구의 미생물 오염도를 확인하기 위해 부산지역에서 세곳의 대형한식당을 선정하여 여름기간 중 위생평가를 실시하였다. 총 175개의 Swab 샘플이 식당의 시설과 기구의 표면에서 채취되어 총균수와 대장균군수가 측정되었다. 또한 식당내부의 공기속에 존재하는 총균, 대장균군, 포도상균 그리고 곰팡이와 효모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36개의 공기샘플이 채취되었다. 모든 채취된 샘플은 아이스박스에 담기어 실험실로 이송되어 분석되었다. 실험결과 대부분의 Swab된 표면들이 많은 수의미생물과 대장균군에 의해 오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생물의 오염정도는 샘플이 채취된 장소별로 차이가 있었다. 총균수 측정결과200$cm^{2}$의 단위면적당 검출되지 않는 것에서부터 최고 2.14$\times$$10^{9}$의 수치가 관찰되었고 대장균군인 경우에는 검출되지 않은 것에서부터 최고 8.34$\times$$10^{7}$의 수치가 검출되었다. 한식당의 공기오염도 측정결과 대부분의 측정 지역에서 일반세균, 대장균군, 포도상구균 그리고 곰광이와효모가 검출되었다. 미생물에 의해 심각하게 오염된 부분은 바닥, 트렌치, 물병내부, 플라스틱 소쿠리, 고무장갑, 선반 그리고 포장되지 않은 물수건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장소는 위 생표준작업기준의 관리점으로 지정하여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만 할 것이다. 또한 식중독사고의 발생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육안검사와 더불어 주기적인 미생물 검사가 식당의 오염도가 높은 장소에서 수행되어져야만 할 것이다.

초음파 탐촉자(Probes)의 위생관리 실태와 감염 인식도 조사 및 세균 오염도 측정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State of Sanitary Management and Recognition Degree and Infection Level of Ultrasonographic Probes)

  • 김창복;이양섭;이원홍;조정찬;윤향이;이용문;김영근;이경섭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7권3호
    • /
    • pp.51-58
    • /
    • 2004
  • 초음파 검사 후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Gel은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초음파 탐촉자의 위생관리 실태와 위생과 감염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2003년 12월부터 서울지역에 있는 42개의 병원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을 시행하였다. 또한 세 대의 초음파 장치 탐촉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을 배양 증식한 후 탐촉자의 오염된 정도를 알아보았다. 21개 병원만이 탐촉자의 위생관리를 실시하였고, 소독 방법은 주로 알콜솜을 많이 이용하였다. 위생관리 주기는 14개 병원만이 매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촉자에 묻은 Gel제거 방법은 면수건을 많이 이용하였다.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환자의 초음파 검사 시 감염예방관리를 하고 있는 병원은 32개였고 환자 검사 시 탐촉자를 비닐커버나 외과용 장갑, 알콜 소독 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염 인식도 조사에서 초음파 탐촉자 사용법이 비위생적이라는 생각이 78.6%(33개)였고, 탐촉자를 통한 세균이 감염여부에 대해 54.8%(23개)가 감염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탐촉자에서 채취한 시료를 배양한 결과 세균과 진균이 셀 수 없이 너무 많이 오염되어 있었고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초음파 검사 후에는 탐촉자에 묻어있는 Gel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감염이 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제거하여 환자간 교차 감염의 위험요인을 줄이는 것과 감염관리에 대한 의식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여자 대학생의 손 씻기 의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d-washing Awareness and Practice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김종규;김중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8-135
    • /
    • 2009
  •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손 씻기 의식, 실천/이행, 그리고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한 대학교의 여자 대학생들에 대하여 손 씻기 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동 대학교 캠퍼스 내의 화장실에서 손 씻기 실천/이행을 직접 관찰조사를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차이 여부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 여자 대학생들은 설문조사에서 손 씻기 빈도, 손 씻는 제제사용 여부, 손 씻는 부위/범위 및 손 말리는 방법 등에서 전공분야별로 차이를 보였으나 화장실 사용 후 손 씻기에 대한 의식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 화장실 사용 후 손 씻기에 대한 의식(97.4%)과 실천/이행(98.2%)은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설문조사에서 10초 이상 손을 씻는다는 응답(46.4%)에 비하여 관찰조사에서 실제로 10초 이상 씻은 사람은 6.3%에 불과하였다. 관찰조사에서 비누를 사용한 사람은 0.9%로 설문조사의 60.9%에 비하여 아주 저조하였고 손 씻는 부위/범위에 있어 네 부위를 씻은 사람도 0.9%에 불과하였다. 손을 씻은 후 말리는 방법으로는 설문조사와 관찰조사에서 모두 휴지/종이타올을 선호하였다. 손 씻는 시간, 비누 사용여부, 손 씻는 부위/범위 및 손 말리는 방법 등 주요항목에서 관찰조사와 설문조사 사이에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01) 조사대상 여자 대학생들의 경우 손씻기 의식과 그 실천/이행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손 씻기 행동을 대학 캠퍼스 이외의 화장실에서 장기간 관찰해볼 필요가 있다.

한국 폐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orean-styled Pasul)

  • 이정옥;이경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7-55
    • /
    • 1987
  • Pasul (Herein after referred to Korean-styled Pasul) to cover up the secrets, which has originated from Bool-an original mode of clothes is to put around a belt with a kind of towel.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e, it has been handed down the parts of ornamental and symbolic functions, losted its particular and original one. In general, we cannot exactly show when the Pasul has been used as a ritual dress, but, dare to maintain in this thesis, which has been used in Koguryu era. This thesis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ool, which is the first dress of all has its origin in the prehistory, and gradually has developed to a ceremonial dress with the help of man's intelligence. 2. Korean-styled Pasul has continuously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o adding up, from Koguryu era to Yi dynasty). Today, the color of the Pasul is known as a pink one, but I, herein, would like to refer that king Kojong in Yi dynasty had on a yellow-colored Pasul. 3. With becoming to be a form of ceremonial dress, the Bool has become to be complicated in style. For example, in the Koguryu era, the style is in the form of 'U,' and in Koryu era, it is the echelon formation tinting a pink color and weaving a mountain and flare shaped designs, and its dimension, the upper is one ja (a ja means a unit of length, 0.33 M), the lower, two ja, its length three ja. The Bool of Yi dynasty tints a pink color, and weaves a seaweeds, rices, axes and shaped designs. The Pasul which King Kojong in Yi dynasty put in, was a yellow-colored one weaving dragons and fire shaped design. 4. The Pasul is a ceremonial dress used a ritual or court dress. The purposes of wearing it are to distinguish the upper from the lower classes, to make them abide by regulations, and to respect courtesy. Accordingly, the Pasul. as the dress for special occassions does make us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5. The reason that Pasul has been handed down are: 1) richness and fecundity. 2) symbol mark to represent classicalism. 3) to symbolize the authority by putting on it, for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upper from the lower classes along with the class consciousness in society. 6. On the basis of the study, the Pasul transition is to be handed down the function of the ornament and symbol. after losted its original func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