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uch panel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초

Large-size LCD with touch-sensing capability

  • Zhu, X.L.;Sit, Cass K.M.;Ma, Mark W.;Feng, Y.J.;Ng, K.W.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519-1522
    • /
    • 2009
  • We describe a 32" liquid-crystal display (LCD) with multi-touch sensing capability by integrating IR detector arrays onto the LED backlight plate. A transparent light guide is placed in front of the display screen, with IR LEDs disposed at its edges and emitting IR light into the light guide, the light is trapped by total internal reflection within the light guide to be as touch-sensing light. A physical contact with the acrylic plate surface will stimulate some trapped light to be escaped from the light guide and pass through LCD panel to be detected by the IR detectors. The touch-sensing LCD with this configuration can locate simultaneous multiple touche points on the touchable surface.

  • PDF

동시구동 및 순차센싱을 이용한 대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용 고속 센싱 기법 (A Fast Sensing Method using Concurrent Driving and Sequential Sensing for Large Capacitance Touch Screens)

  • 모하메드 모하메드 가말 아흐메드;김형원;조태원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4호
    • /
    • pp.62-70
    • /
    • 2015
  • 최근 스마트폰의 발달과 더불어 대형 TV, 의료용 장비 및 전자 칠판에도 터치스크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스크린 사이즈가 증가 할수록 고해상도를 위하여 훨씬 더 많은 채널이 추가 되면서 한 프레임을 스캔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되어 터치감지 지연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드라이빙 및 센싱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differential 드라이빙 방법으로 2 단계로 수행되어진다. 먼저 고속 센싱 프로세스를 통해 터치가 발생된 센싱 라인들을 우선 대략적으로 도출해 낸 후 정확한 터치 위치 스캔을 위해서 터치된 라인에서만 감지가 수행되어 진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터치 패널의 frame refresh rate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제안된 구조는 FPGA와 개발된 AFE board로 구현되었으며, 23인치 상용 터치패널을 사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이 기법은 기존 대비 frame scan rate를 8.4배 향상시킨다.

광원을 내장한 펜의 출력광과 광 도파로의 광 결합을 이용하는 터치 패널 장치의 내부 광 결합 구조 설계 (Design of Internal Coupling Structure for Touch Panel Devices Using Optical Coupling of a Pen-Shaped Light Source with Optical Waveguides)

  • 박대서;김대종;오범환;박세근;이일항;이승걸
    • 한국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8-13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광원을 내장하고 있는 포인팅 펜(pointing pen)의 출력광과 광 도파로 배열 사이의 광 결합을 이용하여 펜의 접촉여부와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광학식 터치 패널 장치를 제안한다. 펜의 출력광과 광 도파로 배열 간의 광 결합을 최대화하고, 동시에 특정 광 도파로로 결합된 광속이 적은 손실로 전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광 도파로의 교차점 마다 부가적인 피라미드 구조를 삽입하였다. 광 도파로 단면의 크기가 $50{\times}50{\mu}m^2$인 경우 광선 추적법을 통해 결정된 피라미드의 최적 구조는 밑변의 폭, 높이, 경사각이 각각 $50{\mu}m$, $22.5{\mu}m$, $42^{\circ}$이었다. 이때 광 결합 효율은 97.8%이었으며, 전파손실은 평균적으로 0.3 dB/mm이었다. 그리고 펜의 기울어짐에 대한 허용 각도는 ${\pm}12^{\circ}$임을 확인하였다.

최근 터치스크린 Readout 시스템의 연구 경향 (Recent Research Trends in Touchscreen Readout Systems)

  • 이준민;함주원;장우석;이하민;구상모;오종민;고승훈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6권5호
    • /
    • pp.423-432
    • /
    • 2023
  •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mobile devices featuring multi-touch operation, extens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ouch screen panel (TSP) Readout ICs (ROICs) that should possess low power consumption, compact chip size, and immunity to external noise.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capacitive touch sensors and their readout circuits, and it introduces research trends in various circuit designs that are robust against external noise sources. The recent state-of-the-art TSP ROICs have primarily focused on minimizing the impact of parasitic capacitance (Cp) caused by thin panel thickness. The large Cp can be effectively compensated using an area-efficient current compensator and Current Conveyor (CC), while a display noise reduction scheme utilizing a noise-antenna (NA) electrode significantly improves the signal-to-noise ratio (SNR). Based on these achievements, it is expected that future TSP ROICs will be capable of stable operation with thinner and flexible Touch Screen Panels (TSPs).

EMI Noise Suppression Effectiveness of Magnetic Composite Sheet Suitable for EL Touch Pannel

  • 변인호;우서휘;이성의;이경섭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7-187
    • /
    • 2010
  • 현대의 전기전자 기술의 발전속도가 급격히 빨라짐에 따라서 디지털 전자기기는 많은 데이터와 빠른 전송속도가 요구되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고주파 노이즈 신호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디지털 전자기기 중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에서 구동전압 인가 시 발생하는 근역장 방사노이즈가 문제가 되고 있고, 정전용량방식 (Capacitive Overlay)Touch Pannel에서 터치 시 오작동을 일으키는 EL 면광원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방해)가 본 연구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이다. EL 면광원의 구동전압이 증가함에 따라서 Touch Panel에 인가되는 근역장 방사노이즈의 세기를 측정하였고 근역장 방사노이즈를 감쇄할 수 있는 Flexible한 자성복합시트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EL Display Pannel에 Flexible한 자성 복합시트를 채용하여 Flexible Display 장비의 근역장 방사노이즈 감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인라인 스퍼터링에 의한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용 ITO 기판 제조공정 최적화 기술 (Process Optimization of ITO Film on PC Substrate Deposited by In-line Sputtering Method for a Resistive-type Touch Panel)

  • 안민형;조의식;권상직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40-44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인라인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여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에 적용이 가능한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기판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플라스틱 기판으로 고분자 기판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 PC) 기판을 사용하였으며 면저항 $500{\pm}50\;{\Omega}$/□, 면저항 균일도 10 % 이내, 투과율 87 %(at550nm)이상, 두께 $120{\sim}250\;{\AA}$의 조건을 만족하는 ITO 기판의 공정 최적화를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스퍼터링 공정은 초기 진공도 $1{\times}10^{-6}\;torr$ 일 때 상온에서 DC 전압을 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산소/알곤 가스의 비율, 인가 전압, 공정 압력, 기판의 이송 속도를 변수로 하여 요구되는 ITO 박막의 특성에 가장 최적화된 공정 조건을 형성하였다. 인라인 방식의 스퍼터 장비에서 최적화된 공정 조건은 실제 생산 라인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현재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ITO 기판 제조기술의 국산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고장진단 기능을 갖는 선박 횡동요 감요 장치 용 제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for Anti-Rolling Tank of Ships with Fault Detection Capability)

  • 원문철;류상현;최광식;정윤호;류재문;지용진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4-71
    • /
    • 2010
  • This paper summarizes the development of an ART control system panel with a touch screen and sensors to measure the roll and roll rate of ships. The control system hardware consists of two micro-processors, analog and digital I/O circuits, various relay circuits, etc. Sensor fusion and moving cross algorithms are implemented to accurately estimate the roll angle and roll period. In addition, the control system adopts a fault detection algorithm to inform users of ART system faults. A touch screen in the control panel can display the ART system states and faults.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ystem was verified on real sea trials.

터치패널과 LCD 모듈 접착면 분리용 장비 개발 (Development of Device for the Separation between Touch Panel and LCD Module)

  • 왕문평;박경석;신동원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1-37
    • /
    • 2015
  • Recently, mobile phones have become necessary tools for everyday life. In this study, a device that can serve as a separation between a touch panel and an LCD module in a mobile phone was devised for mass repair processes at a smaill business. We used a wire cutting method to separate the bonding plate area between the modules. The device is composed of DC motors and stepping motors that can deliver a precise cutting motion. The motor control system is connected by individual control modules to a CAN network. The developed device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at high temperature conditions.

30인치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패널 개발 (Development of 30inch window-unified Touch Screen Panel)

  • 서우형;박래만;김경현;신재헌;홍찬화;송창우;양지웅;권혁인;정우석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2-243
    • /
    • 2014
  • 본 연구는 윈도우 커버 뒷면에 2층 구조의 전극으로 각 전극들의 상호 정전용량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을 개발하였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은 필름을 사용하는 저항막 방식에 비해 내구성이 좋아 작은 손상에도 동작에 지장이 없다. 또한, 터치의 정확도가 높고,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다중 포인트가 가능하다. 윈도우 일체형 TSP는 박막증착을 통해 X축,Y축 방향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였고 전극 교차부는 포토리소그래피공정을 통해 절연막 형성 및 Bridge, Bezel 전극을 형성하여 TSP를 제조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