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uch

검색결과 1,938건 처리시간 0.036초

Highly Sensitive and Transparent Touch Sensor by a Double Structure of Single Layer Graphene

  • Kim, Youngjun;Jung, Hyojin;Jin, Hyungki;Chun, Sungwoo;Park, Wanju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8.2-228.2
    • /
    • 2014
  • Characteristics of high Fermi velocity,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transparency offer tremendous advantages for using graphene as a promising transparent conducting material [1] in electronic devices. Although graphene is a prospective candidate for touch sensor with strong mechanical properties [2] and flexibility, only few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ensor as a device form. In this study, we suggest ultra-highly sensitive and transparent graphene touch sensor fabricated by single layer graphenes. One of the graphene layers is formed in the top panel as a disconnected graphene beam transferred on PDMS, and the other of the graphene layer is formed with line-patterning on the bottom panel of triple structure PET/PI/SiO2. The touch sensor shows characteristics of flexible. Its transmittance is approximately 75% where transmittance of the top panel and the bottom panel are 86.3% and 87%, respectively, at 550 nm wavelength. Sheet resistance of each graphene layer is estimated as low as $971{\Omega}/sq$.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ductance change rate (${\Delta}C/C0$) is $8{\times}105$ which depicts ultra-high sensitivity. Moreover, reliability characteristic confirms consistent behavior up to a 100-cycle test.

  • PDF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캐패스티브 터치 페이퍼 (Inkjet-Printed Capacitive Touch Paper)

  • 윤태화;이삭;임성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5호
    • /
    • pp.799-805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캐패시티브 터치 패드가 제안되었다. 이 터치 패드는 피부의 전기적 임피던스를 인한 유효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탐지함으로써 터치됨을 감지한다. 종이를 기판으로 이용함으로써 값 싸고, 유연하며, 쉽게 쓰고 버릴 수 있는 터치 패드가 구현되었다. 또한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쉽고, 빠르고, 친환경적으로 제작이 되었다. 터치 하지 않았을 때, 측정된 캐패시턴스는 163~182pF 범위의 값을 가지며, 터치 하였을 때 218~272pF의 값을 가진다. 각 상태의 캐패스턴스 차이는 손가락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큼을 확인하였다.

Charge pump 기반 정전 센싱 회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드라이버의 혼성모드 회로 분석 (Mixed-Mode Simulations of Touch Screen Panel Driver with Capacitive Sensor using Modified Charge Pump Circuit)

  • 여협구;정승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75-87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charge pump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한 터치스크린 패널 드라이버를 소개한다. 터치 패널 드라이버는 크게 터치를 감지하는 아날로그 센싱 부분과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제안된 터치스크린 드라이버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혼성 모드로 회로를 구성하고 Cadence Spectre를 이용하여 그 동작을 검증하였다. 디지털 회로 부분은 Verilog-A 모델링하여 아날로그 부분과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하여, 그 동작을 검증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시뮬레이션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ADC가 없는 간단한 구조의 디지털 신호 변환으로 터치 패널 드라이버의 안정적인 동작을 확인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Swiping Orientation on Preference and Willingness to Pay: The Interaction Between Touch Interface and Need-For-Touch

  • Ren, Han;Kang, Hyunmin;Ryu, Soohyun;Han, Kwanghee
    • 감성과학
    • /
    • 제20권4호
    • /
    • pp.65-78
    • /
    • 2017
  •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individual trait such as Need-For-Touch level (NFT; high vs. low) and swiping orientation (vertical vs. horizontal) on product evaluation and preference when using touch-screen interface like a smart phone and a tablet. Swip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interaction techniques for changing pages or searching some aligned pictures on touch-screen interface and it can be used in vertical and horizontal orientations. The experiment reveal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wiping orientation and NFT on preference, however the interaction on change-in-price of given products was only marginally significant. To be specific, high NFT participants reported higher preference for horizontal-swipe than vertical-swipe products, but such difference did not occur with low NFT participants. The current study illustrates the influence of swiping orientation and NFT on product preference and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of design principles especially for online shopping websites.

터치 입력방식 디자인 평가를 위한 페이퍼 프로토타이핑 기법 적용 (Application of Paper-prototyping Method for Touch Interface Design Evaluation)

  • 신경진;이태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888-894
    • /
    • 2009
  • 최근 직접적인 접촉에 기반 한 터치스크린은 MP3, 휴대폰, DMB, PDA, 네이게이션 등 디지털 미디어 기기 인터페이스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는 터치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속도, 피드백, 정확성 등의 새로운 디자인 이슈를 발생시켰고, 사용자 평가 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모색하게 되었다. 사용자 평가 기법 중 하나인 페이퍼 프로토타이핑 기법은 터치 인터페이스 평가를 위한 효과적인 기법이지만 터치 인터페이스 평가 시 발생된 디자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터치 인터페이스 평가를 위한 페이퍼 프로토타이핑 기법 적용 과정에서 발생한 이슈를 구체화 시키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출시된 디지털 미디어 기기에 적용된 터치 인터페이스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제품에 서 주로 적용하고 있는 인터페이스에 기반을 두어 착안한 '터치 휠'입력방식을 제시하였다. '터치 휠'입력방식은 MP3의 메뉴를 원형 형태로 배열하고, 배열된 메뉴리스트를 돌리는 방식을 이용하여 노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용자 평가는 MP3 사용자, 24명을 대상으로 총 4차에 걸쳐 진행하였고, 각 평가 과정에서 페이퍼 프로토타입의 실험 재료, 제작 방법, 평가 진행 등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터치 인터페이스 평가를 위한 페이퍼 프로토타입은 피실험자에게 직접 조작의 경험을 유도하여 능동적인 조작을 이끌어 내도록 제시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피실험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효과적인 평가를 이끌어 내어 초기 인터페이스 디자인 안에서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아동의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 of a Physical Touch Play Program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윤정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821-83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신체접촉놀이를 중재로 한 선행 연구들을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국내 주요 DB를 이용하여 논문 검색을 하였으며 1,544편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최종 7편의 논문을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였으며 7편의 논문에서 제시된 20개의 중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출처는 KERIS, KISS, DBpia, SciencON을 통해서 2022년 8월까지 출판된 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이 되는 주요어는 아동, 유아, 신체접촉, 신체접촉놀이, 신체접촉활동,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 등이다. 분석은 랜덤효과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신체접촉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크기는 Hedges' g=6.20(95% CI: 3.74-8.66)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전체 이질성이 I2=95.4% (Q=417.30, p<.001)로 나타나 총 중재횟수와 중재기간을 조절변수로 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중재횟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중재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의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국내 연구결과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효과 크기를 객관적으로 제시하여 향후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근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열간 압연 공정에서의 플라잉 터치 기법 연구

  • 김성진;김현희;윤성민;최용준;이민철
    •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24
    • /
    • 2015
  •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품질이 좋으면서 가격이 저렴한 철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철소에서는 압연 시 발생하는 불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Flying Touch 기법은 열간 압연 시 발생하는 스크래치 불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Flying Touch 기법의 특징에 대하여 소개하고 Flying Touch 기법을 적용하여 실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의 설계와 제작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Flying Touch 기법은 아직 연구개발 단계의 방법이지만 제어 이론의 변화와 연구를 통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 PDF

Effect of light touch on body sway during a stable posture with blocked visual information

  • Kim, Jong-Gun;Kim, Jin-Hong;Do, Kwang-Sun;Yim, Jongeu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38-142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light touch with a finger affects balance ability when a posture is maintained in the condition of visual information blockage and to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for developing balance ability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treatment.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7 healthy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 were studying at S University in Seoul. The system was comprised of an equilateral triangular force platform. Subjects were asked to step on the foot position of the force platform (Good Balance, Finland) barefooted for 30 seconds, with eyes closed, hands hanging down loosely, and feet comfortably apart. It was connected to a laptop by using Bluetooth technolog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ree circumstances: 1) no-touch trial, 2) light touch to the back (T7 area), and 3) light touch to the middle finger of the left hand. Each subject was given a 10-minute break between consecutive measurements. The experimental circumstances were performed randomly. Anteroposterior sway (APSV), mediolateral sway velocity (MLSV), and velocity moment (VM) were measured. Results: The APSVs (mm/s) were $9.32{\pm}3.37$ and $5.45{\pm}2.98$; the MLSVs (mm/s), $6.39{\pm}3.35$ and $3.31{\pm}2.48$; and VM ($mm^2/s$), $17.13{\pm}11.75$ and $6.76{\pm}8.31$ in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al circumstances, respectively. APSV, MLSV, and VM valu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the 1) no-touch trial and 2) light touch to the back trail conditions compared with the 3) light touch to the middle finger of the left hand condition (p<0.05).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balance ability for maintaining a body posture was influenced more by light touch to the back (T7) than by light touch with the sensitive fingertip and body sway diminished after visual information was blocked.

동시구동 및 순차센싱을 이용한 대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용 고속 센싱 기법 (A Fast Sensing Method using Concurrent Driving and Sequential Sensing for Large Capacitance Touch Screens)

  • 모하메드 모하메드 가말 아흐메드;김형원;조태원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4호
    • /
    • pp.62-70
    • /
    • 2015
  • 최근 스마트폰의 발달과 더불어 대형 TV, 의료용 장비 및 전자 칠판에도 터치스크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스크린 사이즈가 증가 할수록 고해상도를 위하여 훨씬 더 많은 채널이 추가 되면서 한 프레임을 스캔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되어 터치감지 지연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드라이빙 및 센싱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differential 드라이빙 방법으로 2 단계로 수행되어진다. 먼저 고속 센싱 프로세스를 통해 터치가 발생된 센싱 라인들을 우선 대략적으로 도출해 낸 후 정확한 터치 위치 스캔을 위해서 터치된 라인에서만 감지가 수행되어 진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터치 패널의 frame refresh rate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제안된 구조는 FPGA와 개발된 AFE board로 구현되었으며, 23인치 상용 터치패널을 사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이 기법은 기존 대비 frame scan rate를 8.4배 향상시킨다.

M-ICT시대의 도시 브랜드 사용자의 터치포인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touch points of city brand users based on M-ICT)

  • 요효동;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89-296
    • /
    • 2019
  • M-ICT(모바일 정보통신기술) 시대에 들어서며 '도시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람과 공간의 상호작용'의 새로운 경험이 가능한 도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도시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도시 사용자의 경험은 해당 도시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가운데 사용자의 도시 브랜드 터치포인트에 관한 연구가 특히 중요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브랜드 경험을 향상하고 도시의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 종합 서술과 조사연구 분석으로 크게 두가지이다. 우선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서술하고 문헌 종합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 포인트를 경험하는 특징과 방식을 정의한다. 또한, 도시 브랜드 터치포인트의 다각적 구성 모형을 제시한다. 사용자 조사 연구의 방식으로 디지털 터치포인트와 물리적 터치포인트 가운데 다빈도 터치포인트 구조 특징을 도출한다.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실제 사례와 접목하여 터치 포인트의 최적화 설계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혁신은 사용자 경험이라는 시각에서 도시 브랜드와 사용자 경험의 터치 포인트의 구성 관계를 연구하고 도시 브랜드 터치포인트의 다각적 구성 모형을 도출하는 데 있다. 미래 연구 전망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5G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대가 도래하였다. 도시 브랜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포인트의 형식이 더 풍부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터치 포인트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