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ollutant management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31초

비용 효율적 강우유출수 처리를 위한 LID시설의 여재 평가 (Cost-effective assessment of filter media for treating stormwater runoff in LID facilities)

  • 이소영;최지연;홍정선;최혜선;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4-200
    • /
    • 2016
  • 도시화는 불투수면의 증가를 야기 시켜 물순환 왜곡, 도시열섬효과, 비점오염물질 유출 등의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이러한 환경적 영향을 저감하기 위하여 도시지역과 같은 개발 사업에서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이 중요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LID 기술의 주요 기작은 토양, 여재, 미생물과 식물 상호간의 수문학적 및 환경학적 기능이 포함되며, 이 중에서 여재는 LID 시설에서의 토양 내 투수율과 저류율 확보에 있어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LID 시설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제올라이트(Zeolite), 우드칩(Woodchip), 바텀애쉬(Bottom ash), 바이오세라믹(Bioceramic) 등의 여재를 단층 또는 복층으로 구성하여 강우유출수내 오염물질 저감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여재는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과 중금속을 60% 이상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재층을 복층구조로 배치할 경우에 여재 입자간의 다양한 크기의 공극과 여재 내의 미세공극(micro-pores)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에 입자상물질 및 중금속 저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입수 내의 효과적인 중금속의 저감을 위해서는 중금속의 입자 및 용존성 함량비율에 따른 여재의 선정과 배치가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도로변 및 LID 시설 내 식생종류별 식물체 내 건물률 및 영양염류 함량 변화 (Change of dry matter and nutrients contents in plant bodies of LID and roadside)

  • 이유경;최혜선;전민수;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5-43
    • /
    • 2021
  • 도시지역의 강우유출수를 관리하기 위하여 자연기반해법의 LID 및 그린인프라 적용이 늘고 있다. 식물이 LID 시설에 적용되는 이유는 광합성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높이고, 시설 내부 오염물질 축적을 줄여 유지관리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LID 시설 내부에서 작용하는 식물의 오염물질 흡입능력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식재 선정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변, LID 시설 및 조경공간에 식재되어있는 식물의 건물률 및 영양물질 함량을 비교하여 오염물질 제거기작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대상인 7종의 초본류, 관목류 및 교목류의 월별 건물률은 60~90% 범위를 보였다. 초본류 몸체 내 TN 함량은 여름철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관목류와 교목류는 초봄과 늦여름에 높은 TN 함량을 보였다. 패랭이를 제외한 LID 시설에 식재된 모든 식물에서 높은 TP 함량을 보였다. 이는 LID의 식물이 인 제거에 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식물별 영양염류 함량은 유입수 농도에 영향을 끼치는 도시환경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LID 적용 시 식생 선정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도권 도심 대기질 개선을 위한 환경지역의 운영전략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of Environmental Zone for Improving Air Qual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최기주;이규진;안성채;신강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D호
    • /
    • pp.693-702
    • /
    • 2009
  • 수도권 지역의 대기오염 배출량은 대부분 교통 부문에서 유발되고 있고, 특히 수도권 지역 미세먼지(PM10) 배출량의 52%와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의 59%는 노후 대형경유차에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후 대형경유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정책인 환경지역 (노후 대형경유차의 수도권 진입 억제 및 대기오염물질 저감장치 장착)운영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경지역 운영전략은 대상지역과 대상차량에 따라 6개 시나리오로 구성되었으며, 각 시나리오는 교통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환경지역 운영 전략에 대한 평가 결과, 7년 경과된 노후 경유차의 DPF장착과 1998년식 이전 노후 경유차의 조기폐차 시행방안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저공해화 대상차량을 수도권 내 운행차량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등록차량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GIS기반의 하천수질관리시스템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IS-based Stream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 최연웅;성동권;전형섭;조기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289-299
    • /
    • 2002
  •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그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련 기관이 요구하는 정보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수요 또한 급증하고 있다. 오염총량제 실시를 앞두고 환경 관련 정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관리체계가 필요하게 되었고, 특히, 도형자료에 의하여 관련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분석할 수 있는 GIS의 개발과 적용이 세계각국을 비롯한 국내의 정부기관, 개인기업체, 관련학술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하천수질분야의 적용성이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행정구역별, 유역별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 수질 예측 모델로서 국내 많은 지역에서 적용된바 있는 QUAL2E 모델을 GIS에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모델을 구동시키며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오염부하량 산정으로부터 모의 결과를 시각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합하였다. 특히 GIS에 수질모델을 연계시킴으로써 기존연구에서는 미진했던 수질예측이 가능한 하천수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그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G-7 과제에 대한 소개 : 수질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 (INTRODUCTION OF THE G-7 PROJECT: Integrated System of Water Quality Management)

  • 김계현;김의홍;이홍근;이인선;류중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43-152
    • /
    • 1993
  • 수질개선을 위한 장기연구 사업(G-7 Project)이 환경처 주관으로 시작되었다. 이 연구사업의 하나인 수질 정보 시스템 개발은 2개의 국립연구소와 대학, 그리고 관련 회사들의 합작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연구는 통합적 수질관리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ISWQM : Integrated System of Water Quality Management)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ISWQM은 4개의 주된 구성요소 - GIS 데이타베이스, 두개의 인공지능 기법을 바탕으로 한 도심지 오염 부하량 산정을 위한 모델들, 그리고 GIS 데이타베이스와 모델이 연계를 위한 컴퓨터 S/W - 들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ISWQM은 주로 장기적 수질 관련 정책입안을 위한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개발이 시작되었다. GIS는 이러한 수질 관리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서 필요시 되는 모든 입력 자료의 공간 데이타베이스 구성에 사용되었으며,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한 위의 4개의 구성요소들을 연계시켜 효율적 SI(System Integration)을 이룩하는데 사용되었다.

  • PDF

새만금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에서의 목표설정 및 달성도 평가방법론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anagement Targets and Evaluation of Target Achievement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n Saemangeum Watershed)

  • 김은정;박배경;김용석;류덕희;정광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480-49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물질 배출 및 유역 특성과 달성 가능성을 고려한 비점관리지역 관리목표 설정 및 목표달성도 평가에 부하지속곡선과 유역모델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최근 비점오염관리지역으로 선정된 새만금 유역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비점오염원 배출특성을 고려하여 유량지속곡선의 5~40% 범위를 관리유량 구간으로 설정하였으며, 부하지속곡선 방법을 이용하여 TP를 관리항목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2012년에 대하여 보정된 HSPF 모델과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하여 우선관리유역별 저감 시나리오에 따라 관리목표를 설정하였다. 전주A20에 LID적용, 도로청소, CSOs 및 미처리배제수 처리 50%를 가정하고, 만경C03, 동진A14, 고부A14에 비료 30% 감소, 축산계 배출부하량 50% 감소를 가정한 경우 만경대교, 동진대교, 전주천 말단, 군포교의 목표수질은 각각 TP 0.38, 0.18, 0.64, 0.16 mg/L로 산정 되었다. 현재 유달부하량이 일정비율(10%)로 줄어드는 상황을 가정한 관리목표는 만경대교, 동진대교, 전주천 말단, 군포교에서 각각 TP 0.35, 0.17, 0.60, 0.15 mg/L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비점오염관리지역에 대한 관리대책, 시행계획 수립 및 이행평가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경지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부하특성 - 전Kjeldahl 질소 및 전인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ing into Streams from Flooded Paddies -On The Special Reference to Total Kjeldahl Nitorgen and Total phosphorous-)

  • 홍성구;권순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93-102
    • /
    • 1989
  • With an objectiv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and the prediction of eutrophication in lentic water Systems, total amount of Kjeldahl nitrogen(T-N) and phosphorous(T-P) from irrigated water and drained water from flooded paddie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rice growing period of 1988. A 29.3 ha paddies near Jungnam-myun, HwaSung-gun, Gyungi Province, Korea was instrumented for measuring runoff and sampling irrigated water and drained water from padd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draw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1.During 115 days of investigation, T-N load for paddies was 362.6kg and T-P 63.44kg.These would be converted to 12.4kg T-N/ha and 2.17kg T-P/ha, respectively. 2.The T-N and T-P loadings in different perio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25% of T-N loading was drained soon after fertilization period and 60% was drained during the rainy season from July 5 to July 24. 3.Annual loadings from paddies could be calculated to 30kg T-N/ha/year and 52kg T-P/ha/year considering non-measurement periods. 4.After the rainy season, the nutrient loads from drained water showed much less than those from irrigated water, and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paddies would act as a stabilization pond. 5.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nutrients at 0.9km downstream from investigated paddies were 2.02(T-N) mg/l and 0.52(T-P) mg/I, which were 1.82(T-N) mg/l and 0.056(T-P)mg/l lower than those of drained water from paddies.

  • PDF

국내 복류수 및 강변여과수 취수시설의 오염물질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lutants remov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iverbed filtration and riverbank filtration intake facilities)

  • 정찬우;이선익;신성우;송창현;조부근;최재원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81-288
    • /
    • 202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llutants removal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RBFs(Riverbank filtration, Riverbed filtration) intake facilities installed in Nakdong River and in Hwang River respectively. The capacity of each RBF is 45,000 m3/d for riverbank filtration intake facility and 3,500 m3/d for riverbed filtration intake facility. According to data collected in the riverbank filtration site, removal rate of each pollutant was about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52%, TOC(Total Organic Carbon) 57%, SS(Suspended Solids) 44%, Total coliforms 99% correspondingly. Furthermore, Microcystins(-LR,-YR,-RR) were not found in riverbank filtered water compared to surface water in Nakdong River. DOC(Dissolved Organic Carbon) and Humics which are precursors of disinfection byproduct were also reported to be removed about 59% for DOC, 65% for Humics. Based on data analysis in riverbed filtration site in Hwang River, removal rate of each contaminant reaches to BOD 33.3%, TOC 38.5%, SS 38.9%, DOC 22.2%, UV254 21.2%, Total coliforms 73.8% respectively. Additionally, microplastics were also inspected that there was no obvious removal rate in riverbed filtered water compared to surface water in Hwang River.

우수 침투 시설을 활용한 친환경 도시 개발지구에서의 유출량 및 비점오염 저감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 on Runoff and Water Quality of LID using Infiltration Facilities)

  • 황진용;연규석;김익재;김기성;최중대;전지홍;임경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6호
    • /
    • pp.105-114
    • /
    • 2009
  • With urbanization in many countries, many pervious areas are being converted into impervious areas. These land use changes cause many negative impacts on runoff and water quality in the areas. Especially runoff volume and peak runoff are increasing with urbanization. In addition to the increased runoff, more pollutant transports to the downstream areas. For these reasons, Low Impact Development (LID) are nowadays being introduced in urban planning. For environment-friendly and economical urban development, the LID Integrated Management Practices (IMPs) are applied in various urban development. However, exact effects on runoff and water quality of various LID IMPs are not assessed with proper LID evaluation technique. Thus, the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5.0 model was slightly modified to simulate the effect of infiltration manhole on runoff and water quality. For comparison of runoff and TSS (Total Suspended Solids) from the study area (26.5 ha), three scenarios were mad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unoff volume, peak runoff, and TSS could be reduced with infiltration manholes and pervious pavements to some degree. Although,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the analysis of LID effects on runoff and TSS, similar trends shown in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with site-specific LID IMPs. Thu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various site-specific LID IMPs, such as infiltration facilities, should be applied as much as possible for environment-friendly urban planning.

진위천수계의 오염총량관리에 따른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Improvement Effect According to TMDL in Jinwi River Watershed)

  • 임지혁;공동수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6호
    • /
    • pp.355-360
    • /
    • 2021
  • 국내 물관리정책은 농도 중심의 물관리에서 부하량 관리 중심의 오염총량관리로 전환되면서 수질 및 수생태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오염원의 변화와 유량 변동 등으로 총량제 시행 이후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이 개선되었는지 판단하기 어려워 로그선형모델과 생물지표(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를 활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위천수계의 BOD와 T-P농도는 각각 30%, 35% 저감되어 수질개선 효과를 보였으나, 저서생물지수(BMI) 결과 D등급에서 E등급으로 악화되었다. 진위천수계의 수생태계 건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생태하천을 가꾸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