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henolics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3초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Pine Needles in Pinus Species

  • Kang, Yoon-Han;Howard, Luke R.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36-4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enolic acid, proanthocyanidin (PAs), and flavonol glycoside contents, as well a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ine needle extracts from six species of young pine trees. The extracts were prepared from Section Pinus (Diploxylon): P. densiflora, P. sylvestris, P. pinaster and P. pinea, and Section Strobus (Haploxylon): P. koraiensis and P. strobus. Phenolics were extracted from pine needles with 80% acetone to obtain the soluble free fraction, and insoluble residues were digested with 4 M NaOH to obtain bound ethyl acetate and bound water fractions. Phenolics were analyzed by HPLC, and the hydrophilic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soluble free frac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bound ethyl acetate and bound water fractions. The main phenolics were monomers and polymers of PAs in the soluble free fraction, and phenolic acids and flavonol glycosides in bound ethyl acetate fraction. Flavonol glycosides found in different species of pine needles were qualitatively similar within fractions, but composition varied among Pinus sections. High levels of kaempferol arabinoside and an unknown compound were present in all Strobus species. The soluble free fraction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followed by bound ethyl acetate and bound water fractions.

Influence of Storage Temperature on Levels of Bioactive Compounds in Shiitake Mushrooms (Lentinula edodes)

  • Yonghyun Kim;Uk Lee;Hyun Ji Eo
    • Mycobiology
    • /
    • 제51권6호
    • /
    • pp.445-451
    • /
    • 2023
  •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hold high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 as they contain an abundance of health-promoting compounds. However, the effect of long-term postharvest storage on the variation in the levels of health-promoting compounds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antioxidants, eritadenine, and ergothioneine in shiitake mushrooms stor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1, 3, and 5 ℃) for 4 weeks. Compared to mushrooms stored at lower temperatures, those stored at 5 ℃ exhibited a higher level of total phenolics in their pileus after 2 weeks of storage; however, storage at 5 ℃ also increased the deterioration of the fruiting body of these mushrooms. In mushrooms stored at all temperatures, the eritadenine content in the pilei tended to increase up to 2 weeks of storage. In contrast, the ergothioneine content in the pileus decreased during storage, with a significantly lower level detected in mushrooms stored at 5 ℃ for 4 weeks.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accumulation of phenolics and eritadenine may be related to mushroom deterioration during storage.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levels of health-promoting compounds in shiitake mushrooms are influenced by storage temperature, suggesting the potential to control adjustments of specific bioactive compounds by regulating storage conditions.

재배인삼의 연령별 생리활성 차이 연구 (Differential Physiological Activity in Different Ages of Panax ginseng)

  • 천상욱;김영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0-87
    • /
    • 2011
  • 인삼을 지하부는 물론 지상부 경엽 부위를 채소용 또는 식품첨가물로 이용하기 위해 낮은 연령 인삼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함량,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연령별 인삼의 초장, 근장, 근직경,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을 기준으로 생육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Folin-Denis 방법에 따라 인삼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총페놀함량을 측정한 결과, 지상부(22.0 - 76.3 mg $kg^{-1}$)가 지하부(19.0 - 28.3 mg $kg^{-1}$)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는 연령이 낮을수록 지하부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한편, 연령별 인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역시 지상부(23.3 - 138.6 mg $kg^{-1}$)가 지하부(0 - 10.8 mg $kg^{-1}$)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는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함량을 보였고 지하부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인삼연령별 항산화성을 분석한 결과 인삼의 지상부는 낮은 연령에서, 지하부는 높은 연령에서 높은 DPPH 라디컬 소거능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의 경우 3년생이 추출물 2,500 mg $kg^{-1}$에서 82.8%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이 l년생 75.3%, 2년생 68.6%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나머지 4, 5, 6년생은 40% 이하의 낮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지하부(14.8-39.4%)는 지상부 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고, 5년생, 6년생, 4년생, 3년생, 2년생, 1년생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인삼연령별 세포독성은 연령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폐암세포주(Calu-6)에 대한 5년근의 세포생장 억제율은 52.8%로 가장 높았고, 대장암 세포주(HCT-116)에 대한 억제율은 3년생에서 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생체중은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항산화성에 관련이 있으며, 특히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DPPH 라디컬 소거능($r^2=0.7366-0.7870$)과 아질산염 제거능($r^2=0.5604-0.8794$)은 총페놀함량과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Adzuki bean (Vigna angularis) Germplasm

  • Kim, Eun-Hye;Song, Hong-Keun;Park, Yong-Jin;Lee, Jeong-Ran;Kim, Min-Young;Chung, Ill-M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75-384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30 phenolic compounds in adzuki bean germplasm. Adzuki 21653 ha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phenolics compounds ($6597\;{\mu}g\;g^{-1}$) while 104372 had the lowest concentration. The average total phenolic content of Japanese ($2432\;{\mu}g\;g^{-1}$) adzuki beans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2256\;{\mu}g\;g^{-1}$) adzuki beans. The average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2507\;{\mu}g\;g^{-1}$ in small sized adzuki beans from Japan and $2459\;{\mu}g\;g^{-1}$ in those from Korea. In large sized adzuki beans, the average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1315\;{\mu}g\;g^{-1}$ in Japanese seeds and $1232\;{\mu}g\;g^{-1}$ in Korean seeds. The average total phenolic contents in medium seeds were $2369\;{\mu}g\;g^{-1}$ in Japanese adzuki beans and $1397\;{\mu}g\;g^{-1}$ in Korean ones. In small seed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adzuki beans varied from $524\;{\mu}g\;g^{-1}$ to $6597\;{\mu}g\;g^{-1}$ in Japanese ones and from $375\;{\mu}g\;g^{-1}$ to $6569\;{\mu}g\;g^{-1}$ in Korean ones. Japanese and Korean adzuki beans were divided into landraces and wild adzuki beans. In this study, the wild adzuki beans showed higher contents of total phenolics than the native varieties. Specifically, the wild adzuki beans from Korea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phenolics ($3403\;{\mu}g\;g^{-1}$). All adzuki bean germplasms were measured for their color and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ly: A; L < 30, +a, +b; B; L < 30, +a, -b, C; L > 50, +a, +b, D; L > 50, +a, -b. Especially, group B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s ($2827\;{\mu}g\;g^{-1}$), whereas group C had the lowest concentration ($1882\;{\mu}g\;g^{-1}$).

In vitro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sition of Hot Water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 Jeong , Chang-Ho;Choi, Gwi-Nam;Kim, Ji-Hye;Kwak, Ji-Hyun;Heo, Ho-Jin;Shim, Ki-Hwan;Cho, Bok-Rai;Bae, Young-Il;Choi, Jine-Sh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4호
    • /
    • pp.283-289
    • /
    • 2009
  • We evaluated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specifically, the leaves, stems, roots, and fruit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se samples were determined using five methods, includ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reducing power,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nd $\beta$-carotene/linoleic acid system. The water extract of leaves exhibited the higher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ducing power, and FRAP than water extract of stem, roots, and fruits. Inhibition values on linoleic oxidation of water extracts from leaves, stems, roots, and fruits were calculated as 45.98%, 33.03%, 39.73%, and 25.48% at 10 mg/mL, respectively. The water extract of C. tricuspidata leaves had the highest amount of toal phenolics (73.60$\pm$0.28 mg/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showed that quercetin is the predominant phenolic compound in water extract of leaves. Thus, our study verified that the water extract of leaves has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are correlated with its high level of phenolic compounds, particularly quercetin. This water extract of C. tricuspidata leav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and safe source of antioxidants.

서양민들레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독성 연구 (Antioxidant and Cytotoxic Potentials of Methanol Extracts from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at Different Plant Parts)

  • 천상욱;배창휴;이성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32-239
    • /
    • 2012
  • 서양민들레의 부위별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Folin-Denis방법에 따른 총 페놀 함량은 꽃 추출물에서 72.0 mg $k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잎, 뿌리, 꽃대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더 낮은 범위의 함량이 검출되었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 꽃 추출물 ($IC_{50}$ 값 = 624.3 mg $kg^{-1}$)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잎, 뿌리, 꽃대 추출물 순으로 나타나($p$ <0.05), 이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DPPH 라디컬 소거능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MTT법에 의한 세포독성 시험에서 폐암세포주(Calu-6)와 위암세포주(SNU-601)의 세포 생존율은 꽃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고($IC_{50}$값 = 85.7과 311.4 mg $kg^{-1}$), 그 다음으로 잎, 꽃대, 뿌리 추출물 순으로 뿌리 추출물이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이는 세포독성이 꽃 추출출물에서 가장 높고, 뿌리에서 가장 낮은 것을 보여 준 것이다. 결론적으로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성($r^2$=0.7280 to 0.9971)과 세포독성($r^2$=0.5795 to 0.9515)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그 함량과 활성은 식물체 부위별로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추출용매별 canola meal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Canola Meal)

  • 전현일;;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9-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용매별(methanol, ethanol, acetone 및 water)로 추출한 canola meal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canola meal 용매 추출물들은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추출물 중에서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낮은 $EC_{50}$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0.9 mg/mL,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3.5 mg/mL, reducing power; 1.3 mg/mL and chelating ability; 8.5 mg/mL)과 가장 많은 항산화 물질 (total phenolics; $63.3\;{\mu}g$/mg, total flavonoids; $21.3\;{\mu}g$/mg)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정확한 canola meal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이 높은 methanol 추출물을 sephadex LH-20 column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MF 1, MF 2 및 MF 3의 3개의 분획물을 얻었으며, 동일한 농도(1.5 mg/mL)에서 측정한 항산화 활성에서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는 MF 2(75.56%)에서,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와 reducing power는 MF 3(31.17% and 1.60)에서, chelating ability는 MF 1(77.7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블랙 라스베리의 과실 성숙에 따른 항산화 활성, 총페놀 함량 및 비타민 C 함량 변화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in Rubus occidentalis)

  • 박영기;최선하;김세현;한진규;정헌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61-465
    • /
    • 2007
  • 블랙 라스베리 과실의 성숙정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과 이와 관련된 인자인 총페놀성 함량 및 비타민 C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과실의 성숙 단계에 따른 활성 및 성분변화 그리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였다. 블랙 라스베리 과실의 항산화활성측정 결과, 자유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모두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항산화 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총페놀 함량 및 비타민 함량 역시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자유 라디칼 소거능은 과실 결실 5일 후에서 125ppm 농도에서 61.67%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환원력은 과실 결실 10일 후가 0.71로 최대였다. 총페놀 함량과 비타민 C함량의 최대치는 각각 220.73ug/g과 540.45ug/g였다. 여러 인자들에 의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 그리고 환원력과 총페놀 함량과의 상관관계는 각각 r=0.9861와 r=0.9889로 고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블랙 라스베리를 수확함에 있어 완숙과보다는 미숙과가 약리적인 측면에서는 유용한 성숙단계라 할 수 있지만 크기나 무게 그리고 맛이나 과색에서는 완숙단계가 식용으로는 적합하고 항산화 활성 등에서는 낮으나 이용 가능한 약리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분말가공법에 따른 국내산 사과껍질분말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an Apple Cultivar (Malus domestica cv. Fuji) Peel Powder Prepared by Different Powdering Methods)

  • 윤소정;이진규;이형재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26-331
    • /
    • 2017
  • 과일에는 플라보노이드, 탄닌, 카테킨 등의 폴리페놀 뿐만 아니라 여러 항산화능과 관련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과일의 껍질에는 과육부분보다 2-9배 이상 높은 각종 기능성 성분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 사과는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과일 중에 하나이며, 사과껍질에는 quercetin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과껍질의 항산화능을 분석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식품에 적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산 사과껍질 원물 균질액, 동결건조분말, 열풍건조분말 및 초미세분말의 총페놀함량(TPC), 총플라보노이드함량(TFC), ABTS radical 소거능(ABTS), DPPH radical 소거능(DPPH)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사과껍질을 식품 소재로 활용 시 최적 분말화 및 추출조건을 알아보고자 했다. TPC는 동결건조분말, 열풍건조분말의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FC는 초미세분말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초미세분말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동결건조분말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동일 품종의 사과껍질을 사용한 경우 원물의 가공방법 및 추출조건에 따라 각 기능성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중, 초미세분말에서 TFC와 ABTS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낸 것을 볼 때, 분말화 방법 등 가공조건의 차이에 의해 개발된 중간소재의 여러 기능성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분말화된 식품중간소재 개발 시 여러 가공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