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carbohydrate

검색결과 1,134건 처리시간 0.04초

표고버섯 가루를 첨가한 전병의 특성 (Properties of Jeonbyeong Containing Letinus edodes Powder)

  • 박정숙;나환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7-344
    • /
    • 2007
  •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전병을 제조하여 첨가 수준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병 반죽의 물성 특성 중 흡수율은 표고버섯 분말 첨가량이 많아지면서 증가하였으며, 반죽도달시간과 최고점도는 첨가량에 따라 낮아졌다. 또한 extensogram을 통한 반죽의 energy값은 첨가량과 부의 결과를 보였으며 신장도도 감소하였다. 표고버섯 분말 첨가 전병의 일반성분은 대조구에 비해 수분, 조단백질과 회분의 경우 증가하였고, 탄수화물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20% 첨가구의 경우 약간 눅눅한 상태로 전병이 제조되어 전병 제조 시 표고버섯 분말 첨가량은 20%를 넘지 않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L값과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은 10% 이상 첨가구에서 다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10% 이상 첨가시 기존 대조구와 현저한 색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Rheometer를 이용한 물성 측정 결과 경도(hardness)는 15%까지 증가하다 20% 첨가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20% 시료의 조직이 눅눅한 상태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최대 하중값과 파단점도 경도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시료별 관능검사 결과는 색(color), 향(flavor), 맛(taste)과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등 모든 항목에서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15% 이상 첨가 할 때 기호도가 조금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병 제조 할 때 최적의 표고버섯 분말 첨가량은 10% 수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목 분획물이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ignum sappan Extract on the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 전은숙;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27-131
    • /
    • 2004
  • 본 연구는 소목 추출물의 S. mutans KCTC 3065에 대한 항균효과를 paper disc method로 검색하여, 소목의 S. mutans KCTC 3065 생장에 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1. S. mutans KCTC 3065에 대한 소목 추출물의 최소생장 억제농도는 2.5mg/ml이었다. 2. 소목 추출물의 S. mutans KCTC 3065생장에 대한 효과는 대조군이 8시간에서 1.05로 최대 생장률을 보였으나, 소목 추출물을 2mg/ml을 투여한 배지에서는 16시간 만에 0.36으로 최대생장을 보였다. 3. S. mutans KCTC 3065를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내 pH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pH 5.08이었으며, 소목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는 pH 6.69이었다. 4. S. mutans KCTC 3065를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내 탄수화물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0.81mg/ml이었으며, 소목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는 2.06mg/ml 이었다. 5. S. mutans KCTC 3065를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내 단백질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8.39mg/ml이었으며, 소목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는 12.3mg/ml 이었다. 6. S. mutans KCTC 3065의 다당류 생성에 미치는 효과는 대조군의 경우 배양 8시간에 300mg/100ml을 생성하였으나, 소목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에서는 60mg/100ml을 생성하였다.

  • PDF

토마토 분말 첨가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Tomato Powder)

  • 김동석;안준배;최우국;한경필;박미란;강병남;김동호;최석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9-142
    • /
    • 2015
  • 토마토의 식품가공재료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토마토 분말을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토마토 분말 첨가(밀가루 양 대비 0.5-2%) 국수의 수분함량은 토마토 분말 1.5%, 2% 첨가구가 낮게 측정되었으며, 조단백질 함량과 조지방함량은 토마토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탄수화물 함량은 증가하였다. 삶은 후의 국수 중량과 부피는 토마토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국수 삶은 물의 pH는 토마토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낮아지고, 탁도는 높아졌다. 토마토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색도의 L값은 낮아지고, a값은 토마토 분말 무첨가구(control)가 토마토 분말 첨가구에 비해 (-)녹색의 경향이 가장 강했고, b값은 토마토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기계적 조직감은 모든 항목에서 토마토 분말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도 높아졌다. 관능 기호도는 색과 씹힘성,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토마토 분말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색과 씹힘성에 대한 기호도는 토마토 분말 1.5%, 2% 첨가구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토마토 분말 1.5% 첨가구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한국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예초후 재생과정에 따른 이화적, 동화적 생화학변화에 관한 연구 (Biochemical Changes of Dissimilation and Assimitation in Zoysia japonica Steud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 장남기;김형기;유준희;김용진;임채성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6-68
    • /
    • 1987
  • During the regrowth the process after mowing, NRA in the leaf was the highest activity from the 5th day to the 7th day. Before mowing, the NRA in the root was not almost detected. But, the NRA in root appeared a rapid increasing activity from the 3rd day to the 4th day after mowing ( Figs.27 ~ 32).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a general tendency of AA in the aboveground parts appeared an increasing tendency from the 1st day to the 4th day, a rapid increasing tendency from the 7th day to the 8th day reaching its peak, and a decreasing rate on the 8th and 9th day reaching its peak, and a decreasing rate on the 8th and 9th day. But the AA in the root appeared rapid increasing rate from the 2nd day to the 7th day, the heginning of reagrowth, this tendency showed a similar figure in the case of Total Soluble Carbohydrate ( TSC) in the internode. Both AA and NRA were appeared recovery stage frorn the 8th day after mowing(Figs.15~20).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changes of the maximum plant lengths were 18.27cm in the 6cm mowing plot on the 24th day after mowing, 18.83cm in the 3cm mowing plot on the 18th day after mowing, and 18.16cm in the 6cm mowing plot on the 14th day after mowing ( Fig.2).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changes in Dry Matter (DM) contents in leaf and stem were a slow decreasing tendency from the 1st day to the 4th day. From the 5th day to the 8th day it appeared a rapid increasing tendency. And afterward until the 15th day. All treatments were reached at a steady state ( Figs.3 ~ 8).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changes in the TSC contents of stem and crown were a slow decreasing tendency from the 1st day to the 5-6th day. Prom the 7th to the 8th day three was a rapid increasing tendency. And afterward until the 15th day there was a decreasing rate at a steadyv state. In root there was a similar tendency to that of leaf and stem organs. A general tendency in internode, the TSC content appeared a similar figure to increment of AA (Figs. 9 - 14). During the regrowth process after mowing, changes in te Crude Proem (CP) content of ahoveground parts appeared a slow increasing tendency from the 1st day to the 5-6th day, where it is peak. And afterward to the 15th day there was a decreasing rate at a steady state. But, in toot there were a contrary tendency to that of aboveground

  • PDF

인삼의 부산물을 이용한 식의성 단백질의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etary Protein-efficiency by Supplement of the Panax Ginseng-by-products.)

  • 황우익;이성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1-34
    • /
    • 1979
  • Our nation is confronted with the situation that the rice, a principal food, short of some essential amino acids, leads to imbalanced meals insufficient in the nutrient of Protein, to bring many difficulties in the elevation of nutritional state in our nation. While. our country has been produced much amounts of Panax Ginseng roots which has a stimulating effects on the metabolism of protein, lipid and nucleic acids in the body. And the leaf and trunk of Panax Ginseng were also produced a considerable amounts as the by-products. Author believe that these by-products (leaf and trunk) of Panax Ginseng might have some components possessing simillar activity with Panax Ginseng root although the quantity and qualify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may more or less b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was demised to observe the supplemental effect of the Panax Ginseng-by-Products on the dietary protein efficiency and nutritional state of rats. The feeds used for this experiment were rice containing 30% barely, fish four, and the leaf, trunk and small root of the Panax Ginseng, and the contents of the general nutrients including protein, lipid and carbohydrate etc. in each feed were analyzed for the combination of each feed. And, being based on analytical values of Protein in food. fish Pour as Protein source was added were rice containing 30% barely to be include 8.6 to 8.7%, 12%, 15% and 18% of protein. Then 2% of the leaf, trunk or small reef of Panax Ginseng was supplemented into each of above protein diet group, ton 16 kinds of diets were Prepared. The male albino rats from a Pure strain, weighing 70g to 80g. were used for experimental animals. They were maintained with coresponding fist for f and 8 weeks, and the growth rate, consumption of diets and protein, efficiency of feed and Protein in animals were determined. The lipids, proteins and cholesterols in serum and liver were also determined quantitatively after they were sacrificed in coresponding term.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ody weigh of diet group containing 8.6 to 8.7%,12%, and 15% of protein are increased remarkably by supplement of 2% of the leaf or small root of Panax Ginseng in comparison with each of controls. But this tendency could not observed in diet group containing 18eA Proteins. 2. Feed efficiency showed same tendency in comparison with changes of gained body weight. Specially, in each of diets containing 8.7%, 12%, 15% and 18% of Proteins, supplement of the leaf of Panax Ginseng showed the better feed efficiency than supplement of the trunk or small root. 3. In feeding group for 8 weeks, protein efficiency showed worst efficiency in diet containing 18% proteins and showed the best efficiency was the diet group containing 12% Proteins. And the efficiency was improved according to supplement of the leaf of Panax Ginseng. 4. Nitrogen contents in serum and liver did not show large differences each other in all diet groups. But contexts of total cholesterol and 1ipid were decreased markedly in diet groups containing 12%, 15% and 18% of proteins in comparison with diet group containing 8.6% to 8.8% of proteins.

  • PDF

채취시기에 따른 고들빼기의 성분 조성과 산화방지활성 (Effect of collection tim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levels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of Godulbaegi (Youngia sonchifolia M.))

  • 황태연;허창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86-7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서 활용범위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고들빼기 식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화학 성분과 기호성에 관계되는 특수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10월(A)과 12월(B) 2회에 걸쳐 채취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고들빼기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분석하여 가공식품으로 정착시키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고들빼기의 채취 시기별 일반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잎과 뿌리에서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수분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공통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섬유질, 단백질, 가용성무질소물 및 회분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무기질은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잎의 Mg과 Na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Vit. C와 Niacin은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잎과 뿌리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Vit. $B_1$, $B_2$는 소량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들빼기 잎과 뿌리의 주된 유기산은 구연산, 사과산 및 주석산이 검출되었고, 시기별로 성분함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잎과 뿌리 모두에서 isoleucine과 leuc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증가하였다. 고들빼기의 잎과 뿌리에 함유된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등 4개의 당이 확인되었고 총 유리당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Phenol화합물은 arbutin, catechin, chlorogenic acid, p-coumaric acid 등 4개의 성분이 확인 되었으며, 잎보다 뿌리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들빼기 항산화력은 잎보다 뿌리의 항산화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 시기가 늦을 수 록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수 및 제주지역 자생 양하의 영양성분 분석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nstituents of Native Yangha (Zingiber mioga) in Yeosu and Cheju area)

  • 정경숙;임성임;정복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13-716
    • /
    • 2005
  • 여수지역과 제주지역에서 자생하고 있는 양하를 2004년 9월에 구입하여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및 구성 아미노산함량을 측정하고, 휘발성 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하의 일반성분에서 병균 수분함량은 94.85%, 조단백 함량은 0.62%, 조 지방 함량은 0.24%, 당질함량은 3.30% 회분 함량은 0.92%, 섬유소 함량은 0.74%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제주지역이 여수지역에 비하여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수분은 제주지역이, 회분은 여수지역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성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무기질 함량에서 양하의 평균 칼슘 함량은 100g당 40.57mg 마그네슘의 평균 함량은 55.60mg/100g, 나트륨의 함량은 26.14mg/100g, 칼륨의 함량은 598.58mg/100g, 철분 함량은 4.14mg/100g, 구리의 평균 함량은 0.26mg/100g, 망간의 평균 함량은 0.26mg/100g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역시 제주지역이 여수지역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의성을 나타낸 것은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이었다. 구성 아미노산 함량은 serine, leucine을 제외하고는 제주지역이 여수지역에 비하여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 양하의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valine 순이었다. 총 아미노산의 평균 함량은 645.19mg으로 여수지역이 616.48mg, 제주지역이 673.90mg으로 나타났다.

정선산 쥐눈이콩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Different Organs of Small Black Soybean (Yak-Kong) Grown in the Area of Jungsun)

  • 사재훈;신인철;정경진;심태흠;오흥석;김영진;정의호;김광기;최대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09-315
    • /
    • 2003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쥐눈이콩은 조단백 및 조지방의 함량이 높고, 무기질이 풍부하며,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linoleic acid가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Glucose와 galactose가 주요 구성당이었으며, 12종의 지방산이 동정되었다. 쥐눈이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한 결과 종피 메탄올 추출물$(IC_{50}:\; 8.3\;{\mu}g/ml)$과 종피 75% 에탄올 추출물$(IC_{50}: 10.0{\mu}g/ml)$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쥐눈이콩 종피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각 분획물에 대한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주된 활성이 나타났으며 페놀성화합물의 경우 100 g당 13.53 g으로 매우 높은 함량을 지니고 있었다. 쥐눈이콩의 생리활성 탐색결과 종피 부위에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부위임을 규명하였다.

출수형태와 BMR이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ding and BMR typ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Quality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 김종덕;고기환;권찬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3-300
    • /
    • 2012
  • 본 시험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품종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9년 경북 성주와 충남 천안에서 수행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8처리 3반복의 난괴법 배치로 하였다. 시험구의 처리는 품종으로 하였으며, 공시한 품종은 'Sordan79', 'SX17', 'Honey chew', 'Honey grazer', 'G7', 'Jumbo', 'Green star' 및 'GT56'를 공시하였다. 2지역 모두에서 출수형 4품종은 출수를 하였다. 그 외 생육특성에서는 품종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출수형과 BMR 품종이 다른 품종보다 당도가 높았다. 건물률 및 초장은 출수형이 비출수형 보다 높았다. 생초수량, 건물수량 및 TDN 수량도 출수형이 비출수형 보다 높았고 BMR 품종은 다른 품종보다 적었다. 조단백질과 조회분 함량은 출수형 품종이 비출수형 품종보다 많았으나 비섬유성탄수화물(NFC)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BMR 품종의 ADF 및 NFC 함량은 다른 폼종 보다 작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출수형이 비출수형에 비하여 사초 생산성이 우수하고, 품질은 비출수형과 BMR 품종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BMR 품종은 당도가 높고 ADF 함량이 낮아 사초 품질 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귤과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Citrus Peel Powder)

  • 김정현;김민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993-998
    • /
    • 2011
  • 멥쌀 대비 감귤과피분말 2%, 4%, 6%를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CP-A, CP-B, CP-C)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수분함량은 처리군별 유의한 차이 없이 41.2~43.5%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감귤과피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감에 있어서 경도(hardness), 부착성(adhesiveness)과 씹힘성(chewiness)은 대조군에 비해 감귤과피분말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탄력성(springiness)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단맛에 있어서 감귤과피분말이 첨가될수록 단맛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신맛과 쓴맛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감귤과피분말 첨가된 설기떡의 관능적 특성은 조직감 중 파쇄성과 경도, 향미중 쓴맛과 신맛 및 색상 및 부착성 그리고 단맛과 조직감 중 씹힘성, 촉촉함 3부분으로 관찰되었다. 제1주성분(PC1), 제2주성분(PC2)의 변동은 79.31%과 14.69%로 총변동의 94.00%가 설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