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Water Load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9초

총량관리 단위유역 평가기법을 활용한 서울특별시 주요 유입 지천의 수질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Major Tributaries in Seoul, Applying Watershed Evaluation Techniques)

  • 심규현;김경훈;임태효;김용석;김성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2-46
    • /
    • 2021
  • South Korea has been divided into quantities and water quality, and due to a revision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law in June 2018, the controversial water management system was integrated in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System has been called the flower of water quality control, and since 2004, all three major river systems which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Han River system, despite its various difficult environments, and subsequently leading to all of the four major rivers undergoing obligatory implementation since 2013. Currently, the target TMDL (Han River Phase 1 and Other Water Systems Phase 3) for the 2020 stage has been implemented. The domestic TMDL established a basic plan for calculating the load which complies with the unit watershed's target water quality, as well as an implementation plan for annual load management, both which have been institutionalized in order to evaluate load compliance on a repeated annual basis. Local governments ask external organizations to conduct investigations every year in order to assess the transition, which thereby requires tens of millions of won every year. Therefore, an assessment and management model that can be easily operated at the TMDL personnel level is required. In this study, when the Han river Water System TMDL was implemented in earnest, we confirmed the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when TMDL was introduced to major inflow tributaries (TancheonA, JungnangA, AnyangA) under the Seoul City's jurisdiction through the use of the total amount control unit basin evaluation technique. By presenting customized management measures, we propose the guidelines that are necessary for determining more effective water environmental policies.

지류총량관리를 위한 HSPF 모형의 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Analysis of the HSPF Model for the Management of Total Pollution Load Control at Tributaries)

  • 송철민;김정수;이민성;김서준;신형섭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1호
    • /
    • pp.1-14
    • /
    • 2022
  • 우리나라에서 시행중인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는 수계 내 모든 유역을 단위유역으로 구분하고 단일 공통 오염물질과 유량조건을 고려하여 본류 중심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는 지역 및 단위유역의 특성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며 관리수계 내 목표수질을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각 단위유역에서의 수질변화 여건에 따라서 지류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부하량 변화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오염도가 높은 지류의 총량관리를 위한 지류총량제도의 추가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류에서의 수질변화 양상이 본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팔당수계내 3개의 주요 중권역인 남한강 하류, 경안천, 북한강 유역을 대상으로 53개의 소유역으로 구축하여 유역유출모형인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모형을 적용하였다. 모의결과 BOD는 0.17 mg/L - 4.30 mg/L의 범위로 전반적으로 지류에서 높게 생성되어 하류 유역으로 갈수록 낮아졌다. T-P는 0.02 mg/L - 0.22 mg/L의 범위로 도시화 및 축산업 등의 영향이 큰 유역은 높게 나타나고 북한강 유역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단위 유역별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 변화에 따른 수질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오염원 저감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시나리오별 모의결과 BOD와 T-P의 저감률은 북한강 하류유역과 경안천 중·하류 유역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는 각 소유역별 수질 개선의 노력에 따른 수질 저감의 혜택은 각 본류 하천의 중·하류에서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류총량관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광양만 특별관리해역의 연안오염총량관리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in Gwangyang Bay, Korea)

  • 김도희;박종식;한기원;조현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99-905
    • /
    • 2022
  • 연안오염총량관리제는 지자체에 오염물질부하량을 할당하고, 오염부하 삭감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지역발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광양만특별관리해역의 총량관리 도입에 앞서 해역으로 유입하는 오염물질의 유입부하와 광양만 해역의 수질상태를 조사하였고, 현재 연안오염총량관리를 실시하고 있는 다른 해역의 장기적인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수회에 걸쳐 광양만 특별관리해역 환경자문위원회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광양만에도 총량관리의 필요성이 인정되었으나, 시행에 앞서 우선 COD, TN, TP, 중금속, PAHs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총량관리 도입의 경제성과 효율성과 같은 타당성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4대강수계 장기유황곡선 작성방안 (Development of Long Term Flow Duration Curves in 4 River Basins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 박준대;오승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3-353
    • /
    • 2013
  • Flow duration curve (FDC) can be developed by linking the daily flow data of stream flow monitoring network to 8-day interval flow data of the unit watersheds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ble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long term FDC with the selection of the stream flow reference sites, and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the FDC in 4 river basins. Out of 142 unit watersheds in 4 river basins, 107 unit watersheds were shown to estimate daily flow data for the unit watersheds from 2006 to 2010. Short term FDC could be developed in 64 unit watersheds (45%) and long term FDC in 43 unit watersheds (30%), while other 35 unit watersheds (25%) were revealed to have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FDC itself. Limits in the development of the long term FDC includes no stream monitoring sites in certain unit watersheds, short duration of stream flow data set and missing data by abnormal water level measurements on the stream flow monitoring sites. To improve these limits, it is necessary to install new monitoring sites in the required areas, to keep up continuous monitoring and make normal water level observations on the stream flow monitoring sites, and to build up a special management system to enhance data reliability. The development of long term FDC for the unit watersheds can be established appropriately with the normal and durable measurement on the selected reference sites in the stream flow monitoring network.

한강수계 의무적 수질오염총량관리제시행지원을 위한 조사·연구의 우선순위 설정 (Research Priorities to Support Mandatory Implementation of a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TPLMS) in the Han River Basin)

  • 이창희;이범연;이수웅
    • 환경정책연구
    • /
    • 제8권4호
    • /
    • pp.25-36
    • /
    • 2009
  • 지금까지 한강수계에서 임의적으로 시행되던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가 의무적 시행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갭분석과 계층화분석 등의 객관적인 접근을 통해 이러한 의무적 시행을 지원할 수 있는 조사 연구 방향 및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갭분석 결과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총량관리는 새로운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한 규제에 초점을 두는 제도시행의 초기적 특성을 보이고 있어, 향후에는 배출권거래의 도입, 배출허가시스템의 개선 등 시행의 유연성 및 실효성을 제고하는 제도개선 분야에 대한 조사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층화분석 결과를 보면 특정분야보다는 제도개선 및 과학적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전 분야의 조사 연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직 제도의 시행이 안정화 단계에 이르고 있지 못함을 반영하고 있다. 세부분야 별 조사 연구의 필요성은 목표수질 설정의 타당성 확보가 가장 큰 것으로, 기술적 측면에서는 부하량 및 수질예측 모델의 신뢰성 제고 및 획기적인 부하량 및 삭감방안의 개발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22.9kV 수용가 전력계통별 고조파 발생실태 및 관리기준 조사분석 (to examine of management standard by the harmonics measured and analyzed in 22.9kV Power lines)

  • 이은춘;신강욱;홍성택;홍영재;박영춘;임재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270-272
    • /
    • 2004
  • At the water supply field, high voltage induction motor is main facility of a load equipment. The motor is often out of order and its noise, generated heat, loss etc occurred occasionally. especially, transmission motor for flux control generates an amount of the harmonics then have a bad influence upon the electric power system.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total harmonics distortion of the water supply field receiving high voltage, the harmonics measured and analyzed using the PQA(Power quality Analyzer) according to the electric power system and electrical load and the reduction method presented.

  • PDF

오염원 공간분석 및 오염부하지속곡선을 통한 맞춤형 수질오염총량제 추진방안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atial-analysis of Pollutants and Load Duration Curve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MDLs system)

  • 박배경;류지철;나은혜;서지연;김용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655-663
    • /
    • 2017
  • 현재 수질오염총량제(이하 총량제)에서는 단위유역 말단의 목표수질만 만족할 수 있는 조건에서의 유역 관리를 진행해 왔으며 이로 인해 우선관리가 필요한 지류에 대한 집중적 관리와 오염원 공간분포 특성을 고려한 삭감대책을 마련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기적으로 조사된 유량 및 수질자료를 이용한 오염부하지속곡선 기법과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공간분포 특성 분석 방법을 현행 총량제 이행평가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적용유역은 기존 총량제가 시행되고 있는 진위천 수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방법 적용 결과, 진위천 수계에서는 황구지천 지류가 집중 관리 되어야 하며 진위천 지류는 우선관리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황구지천 중류 구간에서 추가적으로 비점삭감계획이 필요하며, 하류 구간에서는 축산에 대한 저감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방법은 향후 총량제에서 유역 전체의 건강성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도사업장 고조파 측정, 분석을 통한 관리기준 만족여부 조사 (To examine of management standard by the harmonics measured and analyzed in water supply field)

  • 홍성택;이은춘;신강욱;임재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296-298
    • /
    • 2003
  • At the water supply field, high voltage induction motor is main facility of a load equipment. The motor is often out of order and its noise, generated heat, loss etc occured occasionally. especially, transmission motor for flux control generates an amount of the harmonics then have a bad influence upon the electric power system.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total harmonics distortion of the water supply field receiving high voltage, the harmonics measured and analyzed using the PQA(Power Quality Analyzer) according to the electric power system and electrical load and the reduction method presented.

  • PDF

동적수질예측결과의 확률분포특성을 이용한 목표수질 달성가능성 평가 (Assesment of Water Quality Standards using Stochastic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etween Dynamic Modeling Results and Observed Data)

  • 하성룡;이지헌;서세덕;이승철;박정하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1호
    • /
    • pp.47-56
    • /
    • 2008
  • Total Maximum Daily Load(TMDL) is a core basin management system to assign total emissions of pollutants to unit basin and emission source within a limit of the target water quality and to secure sustainability. consider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ogether. By current technical guidance of TMDL, the water quality in the riverbed of which the target water quality is noticed, must achieve the target; and the water quality standard for evaluating achievement of the target should be prescribed as non-excessive probability quality of water on the basis of the pertinent water quality documents. Therefore, the study calculated the target water quality by each unit basin which the target water quality must be noticed through the analysis of probability for water quality documents in rivers at the time of establishing a plan, and the study evaluated the achievement possibility of the target water quality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target water quality plan with the standard water quality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the target water quality. As the result,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Mihocheon River system, it is concluded that selected the target water quality (Each BOD 3.3mg/1 and BOD 3.0mg/1) in Miho A and Musim A is available. Of course, it showed that the target water quality: BOD 2.5mg/1 in Miho A and BOD 3.0mg/1 in Musim A, could be achieved if the small reduction in B unit area was implemented.

GIS 기법을 이용한 마산만 오염총량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of Masan Bay Using GIS Technique)

  • 조보현;양금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9-99
    • /
    • 2012
  • 본 연구는 GIS을 활용하여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통합관리시스템의 일환으로 마산만의 점 비점오염원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체제를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마산만 유역의 오염원 관리에 GIS를 이용한 결과 각 행정구역별 오염원 현황 및 발생 오염부하량의 비교가 가능하였고, 오염부하 산정프로그램을 구축함으로써 배출원별 인구현황, 생활계 물사용량, COD/TN/TP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등의 오염원 부하량을 행정구역별, 연도별, 용도별로 산정할 수 있었다. 또한 대용량의 속성, 공간자료를 활용함에 있어 시간적, 경제적 노력을 최소화함은 물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마산만 연안오염총량 관리가 가능하여 정책 수립 시 신속한 의사결정에 대한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점 비점오염원에 관련된 정보와 이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도모하고// 부하량 산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오염부하량 변화에 따른 향후 오염원 예측이 가능하도록 유역관리 시스템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