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Fire Protection Cycl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초고층빌딩 통합 화재방재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Fire Protectio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 이정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9-47
    • /
    • 2020
  • 현재 초고층 빌딩 화재 방재대응은 스프링클러 및 대피 층 마련과 비상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 등에 제한되고 있다. 그러나, 효과적인 방재를 위해서는 시나리오별 행동조치를 제시하는 운영까지 포함하는 통합방재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통합방재시스템은 예방을 포함하는 소방 전주기가 통합되어 관리되고 운영되는 모델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전주기 통합방재 시스템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감지 및 대응과 연계된 화재 발생 시 행동조치까지 포함된 통합 화재방호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방재기술, 통신시스템, 소방 구조자와 피난자가 연계된 시스템을 구현하였기 때문에 방재산업 공급사슬에서 생산, 운용, 소비의 패턴도 분석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도 가능하다. 논문에서 제시한 통합방재시스템의 성능테스트 결과, 5명 사용자를 대상으로 평균 1/2초 트랜잭션 응답시간과 초당 1.2트랜잭션 수 모두 성능 목표치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재기술 및 통합방재시스템은 다양한 융합기술 기반의 재난안전시장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Fire Protection System Management Workers)

  • 임경연;공하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142-151
    • /
    • 2019
  • 본 연구는 소방산업 중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에 대하여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통제변수를 연령, 직급, 학력, 임금, 총 소방경력, 자격증, 담당업무로 하고, 직무만족에 대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이들 통제변수 중에서 담당업무에서만 있었고, 이직의도에 대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모든 통제변수에서 없었다. 그리고,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의 하위변수 중 임금과 조직체계에 대한 만족이 증가함에 따라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친 반면에 일 자체와 승진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기술자 인적관리 및 대안창출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과제로 직무만족을 상승시키기 위한 합리적인 보직 순환주기 설정을 위한 연구, 저가수주 현황조사와 대책에 대한 연구, 소방시설관리업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산업연관분석법을 이용한 학교 건물에서의 환경영향평가 - 경기지역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t a School Building using Input-output Table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

  • 최두성;전흥찬;조균형
    • KIEAE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57-62
    • /
    • 2016
  • Purpose: A lot of active researches have addressed the impact of a building on global environment, but most of the researches focus on a residential building and a large office building. Hereupon, this study assessed the impact on environment quantitat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input materials targeting a school building. Method:This study calculated embodied energy of input materials suggested in a construction statement on a school building using the input-output analysis. This study finally carried ou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y applying LCIA DB shown in the preceding researches to the calculated embodied energy. Result: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al impact per unit area(/$m^2$) at a school building was $4.11E-02PE{\cdot}yr$, among which Construction was found to be $3.59E-02PE{\cdot}yr$, being analyzed to account for about 87% of the total environmental impact. Also, as a result of detailed environmental impact, the impact on global warming among the total environmental impact was analyzed to be high, accounting for about 76%.

폐기단계에서 LCI DB구축을 위한 CO2 발생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2 Emissions to Establish a LCI DB at the Disuse Stage)

  • 최두성;박진종;전흥찬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103-110
    • /
    • 2013
  • This study aims to calculate the $CO_2$ emissions by the properties of construction waste to establish a LCI DB of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at the disuse stage. The $CO_2$ emissions from apartment houses wa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energy consumptions by treatment steps to calculate the $CO_2$ emissions by the treatment steps of construction wast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_2$ emissions from a total of 27 complexes, maximum 46,791g-$CO_2/m^2$, minimum 34,893g-$CO_2/m^2$ and average 38,713g-$CO_2/m^2$ were generated, and were varied by the quantity of construction waste in general, but were affected by the transportation distance in case of transportation steps as we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_2$ emissions by the properties of construction waste, average 19,815.50g-$CO_2/m^2$ was generated, the highest, from the example complex at the demolition stage in case of construction wastes, and 1.72g-$CO_2/m^2$ was generated, the lowest, during reclamation. In case of combustible waste, average 11,495.63g-$CO_2/m^2$ was generated, the highest, from the example complex during incineration of wastes, and 21.48g-$CO_2/m^2$ was generated, the lowest, at the waste transportation stage. In case of noncombustible waste, average 522.43g-$CO_2/m^2$ was generated, the highest, from the example complex at the demolition stage, and 1.07g-$CO_2/m^2$ was generated, the lowest, at the transportation stage. In case of other construction wastes, average 645.42g-$CO_2/m^2$ was generated, the highest, from the example complex at the demolition stage, and 47.38g-$CO_2/m^2$ was generated, the lowest, at the middle treatment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