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tal Electron Content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31초

볶음 공정에 따른 타타리 메밀의 항산화 활성 측정 (Effect of Roasting Condition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artary Buckwheat)

  • 이명혜;조진호;김종찬;김범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90-39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타타리 메밀의 볶음 온도 및 볶음 시간에 따른 색도변화를 살펴보고, 이들의 물 추출물에 대한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측정결과, 볶음 처리를 하지 않은 타타리 메밀에 비하여 10분 처리구의 경우 $225^{\circ}C$$250^{\circ}C$에서는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유의적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175^{\circ}C$$200^{\circ}C$의 경우 볶음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225^{\circ}C$$250^{\circ}C$의 경우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전자공여능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 결과, 볶음 처리를 하지 않은 타타리 메밀의 L값과 비교하여 $200^{\circ}C$$250^{\circ}C$에서 10분동안 볶음 처리를 한 경우 탄화되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타타리 메밀을 이용한 가공제품의 품질 고급화를 위하여 최적의 볶음 조건 설정은 매우 중요한 연구라고 판단된다.

민들레의 부위별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 한은경;이지영;정의진;김영섭;정차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580-1586
    • /
    • 2010
  • 민들레 꽃, 잎, 뿌리, 전초의 부위별 항산화성과 생리활성을 탐색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에서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 그리고 tyrosinase 억제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함량은 다른 부위보다 꽃 추출물에서 32.91 mg/g, 49.31 mg/g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1 mg/mL의 농도에서 꽃, 잎 그리고 전초 추출물이 각각 87.07%, 87.66%, 81.06%를, 뿌리 추출물은 66.20%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부위별 추출물이 9.07~10.97%를 나타내었다. pH 1.2 조건에서 측정한 아질산염 소거능은 1 mg/mL의 농도에서 꽃과 잎 추출물이 각각 36.34%, 38.16%로 전초와 뿌리보다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1 mg/mL의 농도에서 잎추출물이 34.19%로 가장 높았으며 전초와 뿌리 추출물에서도 20% 이상의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민들레 꽃, 잎, 뿌리 및 전초 열수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녀 이를 기능성 건강식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Extracellular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 by Pseudomonas hibiscicola - Mechanistic approach

  • Punjabi, Kapil;Mehta, Shraddha;Yedurkar, Snehal;Jain, Rajesh;Mukherjee, Sandeepan;Kale, Avinash;Deshpande, Sunita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81-92
    • /
    • 2018
  • Biosynthesis of nanoparticles has acquired particular attention due to its economic feasibility, low toxicity and simplicity of the process. Extracellular synthesis of nanoparticles by bacteria and fungi has been stated to be brought about by enzymes and other reducing agents that may be secreted in the culture medium.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extracellular silver nanoparticle synthesis by Pseudomonas hibiscicola isolated from the effluent of an electroplating industry in Mumbai. Synthesized nanoparticles were characterized by spectroscopy and electron microscopic techniques. Protein profiling studies were done using Sodium Dodecyl Sulph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1D-SDS PAGE) and subjected to identification by Mass Spectrometry. Characterization studies revealed synthesis of 50 nm nanoparticles of well-defined morphology. Total protein content and SDS PAGE analysis revealed a reduction of total protein content in test (nanoparticles solution) samples when compared to controls (broth supernatant). 45.45% of the proteins involved in the process of nanoparticle synthesis were identified to be oxidoreductases and are thought to be involved in either reduction of metal ions or capping of synthesized nanoparticles.

플라즈마 용사된 Al2O3-TiO2 코팅의 전기적 특성 (The Electrical Behavior of Plasma Sprayed Al2O3-TiO2 Coatings)

  • 박상준;이성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0권12호
    • /
    • pp.788-793
    • /
    • 2017
  • Electrical behaviors of plasma-sprayed $Al_2O_3-TiO_2$ coatings have been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TiO_2$ content. On increasing the $TiO_2$ content from 6 to 30 wt%, the DC electrical conductivity increased by several orders of magnitude. From impedance spectroscopy analysis, the total conductivity of the grains and grain boundaries and their respective activation energies were determined without the electrode effects that could impede ionic transfer. An electron transference number was also estimated, ranging between 6.5% and 7.3% for 13 wt% $TiO_2$ and between 0.4% and 0.7% for 30 wt% $TiO_2$ in the coating. Because of the high electronic contribution to the total conductivity, the $Al_2O_3-TiO_2$ coating could be a new candidate material to obtain superior electrical conductivity as well as corrosion and wear resistances.

무청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 구경형;이경아;김영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0-395
    • /
    • 2008
  • 건조 무청을 물,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로 추출한 물질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건조 무청의 추출물 수율은 브랜칭하지 않은 건조 무청인 관동 무청(DRLK)은 $26.56{\sim}32.56%$이고, 미농단백 무청(DRLM)은 $34.34{\sim}36.90%$였다. 반면에 브랜칭한 무청군 수율은 $18.70{\sim}23.56%$로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보다 수율이 낮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브랜칭한 무청 시료는 $49.06{\sim}59.37mg/g$ 범위였고, 브랜칭을 하지 않은 시료는 $53.41{\sim}62.08mg/g$이었다. 시료에 따라서는 관동 무청시료(DRLK, BDRLK)보다 미농단백무 시료(DRLM, BDRLM)가 약간 더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는 80% 이상의 활성을 보였고,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36.63{\sim}51.17%$ 범위의 활성을 보였으며, SOD 유사활성은 $38.53{\sim}45.38%$의범위의 활성을 보인 반면 브랜칭한 시료는 각각의 생리활성 측정에서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관동 무청군이 미농단백 무청군보다 전자공여능, 아질산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에 있어서 약간 높은 활성을 보였고, 브랜칭하지 않은 무청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노루궁뎅이 버섯의 열수 추출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Hot Water Extraction Conditions from Hericium erinaceus)

  • 최미애;박난영;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68-1073
    • /
    • 2004
  • 노루궁뎅이 버섯의 열수 추출 실험을 실시하면서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추출물의 특성을 최적화하였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은 설정된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에 대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매에 대한 시료비가 증가할수록 가용성 고형분이 증가하였으며, 페놀성 화합물과 조단백 함량도 추출온도보다는 용매에 대한 시료비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은 용매에 대한 시료비와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최적 추출조건에서 최대점을 보이다가 이후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들 추출물의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 추출조건은 추출온도 91.5$^{\circ}C$∼96.5$^{\circ}C$, 용매에 대한 시료비 3.5∼4.2 g/100 mL로 나타났으며 예측된 최적 추출조건의 임의의 점에서 실험한 결과, 각 반응변수들의 예측값과 실제값이 유사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다릅나무 수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Extract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 김경선;장준복;도은수;길기정;유지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3-48
    • /
    • 2016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extract.Methods :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extract were prepared using 70% methanol. Methanol extracts were fractionated 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yl alcohol, water fractions and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actions was evaluated by four different assays as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scavenging ability.Results : The yield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was 10.16%, whereas those of its solvent fractions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yl alcohol, and water) were 5.45, 11.39, 13.88, 26.07, and 40.80%,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70% methanol extracts from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were 15.44 mg/g and 194.15 μg/mL of its IC50, respectively. The 70% methan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chloroform fractions were higher in each of 201.98 mg/g and 13.55 mg/g. The chloroform fraction showed the lowest levels of DPPH(IC50, 183.95 μg/mL) and ABTS scavenging activity(IC50, 10.0 μg/mL).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cted in methanol extract, chloroform fractions.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70% m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of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especially chloroform fraction, have the properties of anti-oxidant suggesting stem bark of Maackia amurensis may be a candidate for natural and functional materials.

추출용매에 따른 포도씨 성분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for Grape Seed Components with Different Solvents)

  • 이은진;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6-222
    • /
    • 2006
  • 포도씨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자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허용된 용매들(물, 에탄올, 아세톤)의 가열 특성을 확인하고 몇 가지 기능성분의 추출특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추출조건의 설정을 위하여 microwave power(0, 50, 100, 150 W), 추출시간(1, 3, 5, 7, 9 min), 시료와 용매비(1:20, 1:10, 1:5, 1:2.5), 시료 입자크기(whole, 20, 40, 60 mesh) 별로 구분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물의 총 수율,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카테킨 함량, 전자공여능, 갈색도 등을 측정하여 추출효율을 알아보았다. 용매의 가열특성 확인에서 본 실험은 100 W에서 $2{\sim}6$분 범위의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용량이 높아질수록 물과 에탄올은 총 수율 및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아세톤은 100W 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모든 용매에서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총 수율과 유효성분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5분 경과부터는 둔화되었다. 전반적인 추출효율과 용매회수 등을 고려한다면 포도씨 유용성분의 추출용매는 에탄올, 에너지 용량은 100 W 내외, 용매비는 1:10, 입자크기는 10 mesh 조건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둥굴레 근경의 증자 및 볶음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변화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 Extracts with Different Steaming and Roasting Conditions)

  • 김경태;김정옥;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6-172
    • /
    • 2005
  •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둥굴레 근경의 증자 및 볶음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총 페놀성 성분,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증자시간$(60\~180\;min)$, 볶음온도$(110\~150^{\circ}C)$ 및 볶음시간$(10\~50\;min)$을 달리하였을 때 회귀식의 $R^2$는 총 페놀성 성분,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pH 3.0)에서 각각 0.9356, 0.9578 및 0.9436으로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페놀성 성분의 최대값은 증자시간 135.59분, 볶음온도 $143.84^{\circ}C$ 및 볶음시간 43.47분에서 $2847.67\;mg\%$로 예측되었다. 전자공여능의 최대 예측치는 $75.00\%로 증자시간 108.98분, 볶음온도 $135.56^{\circ}C$ 및 볶음시간 48.86분일 때였다. 아질산염 소거능(pH 3.0)은 증자시간 162.80분, 볶음온도 $143.88^{\circ}C$ 및 볶음시간 31.97분일 때 최대값 $87.38\%$로 예측되었다. 둥굴레 추출물의 총 페놀성 성분은 볶음온도>증자시간>볶음시간의 순으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복음시간>볶음온도>증자시간의 순으로 각각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들레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 한은경;정의진;이지영;김영섭;정차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6-62
    • /
    • 2011
  • 민들레 꽃, 잎, 뿌리, 전초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과 생리활성을 탐색하기 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그리고 tyrosinase 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 추출물이 41.66 mg/g으로 다른 부위 추출물보다 높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 추출물이 71.91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1 mg/mL의 농도에서 잎, 꽃, 전초 그리고 뿌리 추출물에서 각각 92.25%, 88.18%, 84.55%, 83.40%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부위별 추출물이 8.40~11.20%를 나타내었으며 꽃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H 1.2 조건에서 측정한 아질산염 소거능은 1 mg/mL의 농도에서 꽃과 잎 추출물이 각각 47.37%와 47.18%로 전초와 뿌리보다 높았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1 mg/mL의 농도에서 잎 추출물이 34.22%로 가장 높았으며 전초와 뿌리 추출물에서도 20% 이상의 저해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민들레 꽃, 잎, 뿌리 및 전초 에탄올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녀 이를 기능성 건강식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