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y analysis

검색결과 938건 처리시간 0.03초

고정, 임의시간 강우량 선택에 따른 농경지 배수 영향 분석 (Affecting Discharge of Flood Water in Paddy Field from Selecting Rainfall with Fixed and Unfixed Duration)

  • 황동주;김병규;심좌근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64-76
    • /
    • 2012
  • Recently, it has been increased disaster of crops and agricultural facilities with climate change such as regional storm, typhoon. However agricultural facilities have unsafe design criteria of improving drainage corresponding to this change. This study has analyzed the impact that inundation area and magnitude of drainage-facility is decided based on fixed- and unfixed-duration precipitation by applying revised design criteria of drainage for climate change. The result was shown that 1-day and 2-days rainfall for 20-years return period has increased about 11.4%, 4.4% respectively by changing fixed- to unfixed duration. And the increase rate of design flood was 15.0%. The result was also shown that Inundation area was enlarged by 6.6% as well as increased inundation duration under same basic condition in designed rainfall between fixed- and unfixed-dur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necessary for pump capacity in unfixed-duration to be increased by 70% for same effect with fixed-duration. Therefore, when computing method of probability precipitation is changed from fixed one to unfixed-duration by applying revised design criteria, there seems to be improving effect in drainage design. Because 1440-minutes rainfall for 20-years return period with unfixed-duration is more effective than 1-day rainfall for 30-years return period with fixed-duration. By applying unfixed-duration rainfall, capacity of drainage facilities need to be expanded to achieve the same effects (Inundation depth & duration) with fixed-duration rainfall. Further study is required for considering each condition of climate, topography and drainage by applying revised design criteria.

  • PDF

브라질 북동부 해안의 악기상: 2004년 1월 사례 (Severe Weather Events over Northeastern Brasil:The January 2004 Event)

  • ;권병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897-904
    • /
    • 2006
  • 리오그랑디주에서 바이아주 남부까지 약 300 km에 이르는 길고 좁은 브라질 북동부 지역에서는 남동무역풍의 교란, 전선의 침투, 해륙풍 순환 그리고 지형과 수증기 플럭스에 기인하는 국지 대류와 같은 다양한 강수 시스템이 나타난다. 연간 총강수량은 내륙에서는 600 mm, 해안지역에서는 3000 mm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지역 기후 평균에 5-12배의 강수량이 2004년 1월에 알라고아스주 여러 지역에서 기록되었다. 46,000명의 수재민이 발생했고, 10,000,000 US$의 재산 피해였다. 이 폭우는 $21^{\circ}W,\;12^{\circ}S$에서 형성된 UTCV가 1월 내내 브라질 북동부 지역에 머물면서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는 것을 GOES 적외선 영상 분석으로 알 수 있었다.

한강에서의 강변여과수 개발을 위한 적지선정 및 개발가능량 산정(II) (Site Suitability and Developable Amount Assessment for Riverbank Filtration in the Han River (II))

  • 이상일;유상연;이상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8호
    • /
    • pp.835-843
    • /
    • 2008
  • 한국에서는 증가하는 용수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낙동강 유역의 지자체들에서 강변여과수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원수수질 안정을 위한 방안으로 강변여과 도입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선행 논문에서 계층분석과정(AHP)에 의해 선택된 광나루지구에 대한 개발가능량 평가를 위해 지하수 모델링이 수행되었다. 광나루지구에서는 생태계보존지역 등을 고려하여 하천부지 약 1,200m 구간에 대해 관정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취수량을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인공호수의 조성이 제안되었다. 80m 간격으로 16개의 관정을 설치할 경우 적정개발량은 연간 약 2,336만$m^3$으로 산정되었다.

수치모형에 의한 연안해역 해수운동의 분석 (Analysis of the Hydraulic Behaviour in the Nearshore Zone by a Numerical Model)

  • 이희영;정선길
    • 물과 미래
    • /
    • 제27권2호
    • /
    • pp.73-83
    • /
    • 1994
  • 확산현상, 표사유동 및 인간의 여러 활동이 실제 연안해역에서 일어나므로 연안해역 해수운동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해석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해역에서의 파랑변형과 평균해수위 변동 그리고 연안유속 분포양상에 대해 여러 인자들이 미치는 영향을 2차원 유한차분 모형(ADI, Up-win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계산결과로는 수치모형을 해저경사가 일정한 2차원 지형에 적용하여 해저경사, 입사파고, 파향각, 파주기, 마찰계수 및 수평확산계수가 연안해역 특히 쇄파대내에서 파랑변형, 평균해수위 변동 및 연안유속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Washita '92 토양수분 자료의 1차원 및 2차원 통계특성 (First-and Second-Order Statistics of Washita'92 Soil Moisture Data)

  • 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45-153
    • /
    • 1998
  • 이 논문에서는 Washita '92 자료를 이용하여 토양수분의 1차원 및 2차원 통계특성을 추출하였다. 아울러, 토양수분과 토양, 밝기온도(brightness temperature), 식생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어떤지를 선형회귀분석에 근거하여 조사해 보았으며 결과로서 토양수분은 밝기온도와 유의할만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의 시간에 대한 감쇠(decay)계수를 각각의 토양군별로 추정하였고, 역으로 이 값을 이용하여 관측전 마지막 강우의 시점을 추정해 본 결과 관측기록과 유사한 20일 정도로 나타났다. 토양수분의 2차원 통계특성 분석은 2차원 상관도와 스페트럼을 도출하고 분석함으로서 수행하였으며 토양과 식생지수에 대한 2차원 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 토양수분은 공간적으로 매우 높은 상관성을 갖는 토양과 상대적으로 낮은 사오간성을 보이는 식생의 중간적인 2차원 통계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즉, 지형이 완만하여 지형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알려진 Washita 지역의 경우 공간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토양의 공극에 존재하는 토양수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성을 보이는 식생에 의해 교란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선형저수지의 개념과 공간적인 확산을 고려한 동역학적 토양수분 모형의 유도과정을 보였고 모형의 매개변수가 토양수분의 1차원 및 2차원 통계특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추정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강우시 주택 및 공단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Runoff in Housing and Industrial Area during Rainfall)

  • 김강석;박종석;홍현승;이경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81-589
    • /
    • 2012
  • 비점오염원은 유역 및 지역의 토지이용 형태별로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이 다양하고, 강우시 지표면의 각종 오염물질들이 도시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을 주택 및 공단구역으로 구분하여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을 파악하고자 오염물질별 EMC를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강우시 주택 및 공단지역의 비점오염원은 강우초기에 유출수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한 후 서서히 감소하는 초기세척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초기우수의 제어가 필요하였다. 향후 장기적인 강우사상 및 수질조사 자료의 축척, GIS를 이용한 토지이용형태, 지형 및 지질특성의 자료 축척 등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리안 위성의 기상센서와 해양센서를 활용한 지표면 온도 상세화 기법 (Downscaling of Land Surface Temperature by Combining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 정재환;백종진;최민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2-131
    • /
    • 2017
  • 위성자료는 수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점에서 관측된 자료에 비해 보다 광범위한 현상을 표현함으로써 보다 많은 연구를 활성화하고 발전시키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와 같이 지형이 복잡하고 균일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연구 목적이나 방법에 적절한 공간해상도의 자료를 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 위성의 GOCI와 MI에서 관측되는 자료를 융합함으로써 4 km에서 500m 까지 상세화하여 고해상도의 지표면 온도 자료를 생산하였다. 이를 12개 지점에서 관측된 ASOS 자료들과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그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오차는 감소하고, 상관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공간 분포 분석에서는 크게 비슷한 경향을 띄고 있으면서도 복잡한 지형을 보다 잘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상세화 된 한반도의 지표면 온도 자료가 천리안 위성의 활용 범위를 보다 확장하고 다양한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_t$ Band의 형성 과정 (Origin of Banded $B_t$ Horizons in Sandy Deposits)

  • 오경섭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5-45
    • /
    • 1989
  • 한국과 서부 유럽의 사질층에 발달해 있는 $B_t$ band의 성인은 퇴적학적인 현상과는 무관하다. 그렇다고 토양학적인 사고만으로도 설명될 수 없다. 본 연구 결과 $B_t$ band는 사질층이 형성된 후 시기를 달리하여 다음과 같이 두 부류의 물질이 서로 다른 메카니즘에 의해 이동.집적되어 형성되었다. 1)먼저 silt중심의 heterometric fine grains과 운모류들이 결빙과 관련된 cryophoresis에 의해 이동되어 이들이 사질층 단면에서 밴드 형태로 집적되었고 2)다음에 철분을 함유한 점토가 토양수에 의해 이미 형성된 맨드에 집적되어 결국 적색의 $B_t$ band가 형성되었다. 이 두 과정에서 전자는 토양의 결빙이 지표에서 3m 정도 이상까지 진전될 정도로 한랭하고 습윤한 환경과, 후자는 podzolization이 진행되는 정도의 냉량.습윤한 환경과 관련된다. 오늘날 갈색토화작용(brunification)이 진전되는 우리나라와 서부 유럽의 경우, $B_t$ band의 polygenetic한 성인과 관련된 한랭.습윤한 환경들은 제4기 근자(주로 Wurm빙기 이래)의 고환경으로 추정된다.

  • PDF

DEM을 이용한 한반도 지형의 경사도 분석 (The Gradient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DEM)

  • 이금삼;조화룡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5-43
    • /
    • 2000
  • DEM(DTED LEVEL 1)을 ARC/INFO로 처리하여 한반도 지형의 경사도를 분석하였다. 한반도는 완경사 사면이 차지하는 비율이 아주 높고, 평탄지나 급경사지의 비율은 낮게 나타난다. 평탄지와 파상지는 고도 150m 이하 지역에 대부분 분포하고, 경사가 가장 급한 고도대는 500m~1,000m 지역이며, 1,000m 이상 지역은 고원의 경관을 보이고 있다. 수치지질도와 경사분석도를 중첩했을 때 고고도와 급경사를 이루는 지질은 화강편마암(ARgr), 편마암(PR1), 평안계 사암(P-T), 자성층군($J_2$) 등으로 나타났고, 저고도에 완만한 경사를 보이는 지질은 엽리상화강암($Jgr_1$), 백악기 퇴적암($K_1$, $K_2$), 신생대 퇴적암(N) 등이며, 제 4기에 분출한 현무암은 높은 고도에 완만한 용암대지를 이루고 있다.

  • PDF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2002년 강릉지역 태풍 루사로 인한 산사태 연구(II)-확률기법을 이용한 강릉지역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 및 교차 검증 (Study on Landslide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at the Kangneung Area(II)-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and Cross-Validation using the Probability Technique)

  • 이사로;이명진;원중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5호
    • /
    • pp.521-53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강릉지역에 대해 산사태 취약성을 GIS와 원격탄사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사태 위치는 위성영상 해석 및 현지 조사를 통해 확인되었고,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지형도, 토양도, 지질도, 선구조도, 토지피복도 등이 수집되고, 처리된 후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다. 확률 기법인 빈도비 모델을 이용하여 산사태와 경사, 경사방향, 곡률, 수계, 지형종류, 토질, 토양모재, 토양배수, 유효토심, 임상종류, 임상경급, 임상영급, 임상밀도, 암상, 토지피복도, 선구조도 등 산사태 발생 요인들과의 관계를 계산하여 빈도비를 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빈도비를 모두 더하여 산사태 취약성 지수를 계산하였으며, 이러한 취약서 지수를 모두 더하여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는 실제 산사태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검증 및 교차 검증되었고, 그 검증 결과는 산사태 취약성도와 산사태 위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