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al parameter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3초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Integration Technique to Generate Land-cover and Soil Moisture Map Using High Resolution Optical and SAR images

  • Kim Ji-Eun;Park Sang-Eun;Kim Duk-jin;Kim Jun-su;Moon Wooil M.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497-500
    • /
    • 2005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emote sensing technique is necessary so that more accurate and extensiv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o achieve this goal, the synthesized technique which integrates the high resolution optic and SAR image, and topographical information was examined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s surface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high-precision DEMs of Jeju-Island was generated and data fusion algorithm was developed in order to integrate the multi-spectral optic and polarimetric SAR image. Three dimensional land-cover and two dimensional soil moisture maps were generated conclusively so as to investigate the Earth's surface environments and extract the geophysical parameters.

  • PDF

구멍갈파래(Ulva pertusa Kjellman)의 생태생리에 대한 생육기질의 효과 (The Effect of Substrate on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Macroalga Ulva pertusa Kjellman (Chlorophyta))

  • 최태섭;김광용
    • ALGAE
    • /
    • 제20권4호
    • /
    • pp.369-377
    • /
    • 2005
  • Seashore joining with land and sea, which is typical habitat for marine macroalgae, is classified two types of shore as soft- and hard-bottom shore according to topographical (geological) and ecological features. We compared two of Ulva pertusa Kjellman from two contrasting habitats, sandy (soft-bottom, Haenam) and rocky shore (hard-bottom, Hadong) in terms of chlorophyll-a fluorescence and its parameters, and various photosynthetic pigment and nutrient content in the tissue of those. Both of habitats were different in the light environment such as light attenuation coefficient and even in nutrient concentration of ambient seawater. Electron transport rate (ETR) of Ulva from sandy shore was higher than from rocky shore. The range of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in the tissue of U. pertusa was significantly much more in from sandy shore, and also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except for carbon conten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io of among photosynthetic pigments, and N:P ratio was similar between each other, even though significantly different. Our result implied on the reason of why most of green tides in the worldwide concentrated and frequently occurred at sites with sandy, muddy and silty bottoms, being classified as soft-bottom shore.

산지재해 위험성 분석을 위한 지상 LiDAR 지형자료 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errestrial LiDAR Topographic Data Construction for Mountainous Disaster Hazard Analysis)

  • 전계원;오채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5-110
    • /
    • 2016
  • Mountainous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and debris flow are difficult to forecast. Debris flow in particular often flows along the valley until it reaches the road or residential area, causing casualties and huge damage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selected Seoraksan National Park area located at Inje County (Inje-gun), Gangwon Province-where many mountainous disasters occur due to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s-for the damage reduction and cause analysis of the area experiencing frequent mountainous disasters every year. Then,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field study and constructed geospatial information data by GIS metho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ster-occurring area. Also, to extract more precise geographic parameters, the researchers scanned debris flow triggering area through terrestrial LiDAR and constructed 3D geographical data. LiDAR geographical data was then compared with the existing numerical map to evaluate its precision and made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geographic data before and after the disaster occurrence. In the future, it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risk analysis of mountainous disaster or disaster reduction measures through a fine-grid topographical map.

WGS-84 좌표계에 의한 수치지도 작성 (The Digital Road Map Using World Geodetic System-84 Coordinates System)

  • 배상진;최철웅;강인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9-275
    • /
    • 1997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측량을 이용한 차량항법시스템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전파신호를 받아 차량내부의 수치지도가 내장된 모니터에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진행방향을 표시,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주행로 등을 알려주게 된다 이 수치지도상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탑재된 GPS수신기가 위성으로부터 WGS84좌표 계에 의한 경위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Bessel좌표계로 변환한 후 다시 TM투영과정을 거쳐 화면상에 나타나게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도를 디지타이징하여 제작한 수치지도와 GPS장비를 자동차에 탑재하여 획득한 자료를 분석하여 제작한 수치지도를 비교하므로서 WGS84좌표계에 의한 수치지도 제작기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PCL/MWCNTs 나노섬유 제조 (Fabrication of PCL/MWCNTs Nanofiber by Electrospinning)

  • 최정미;장현철;현재영;석중현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50권10호
    • /
    • pp.763-768
    • /
    • 2012
  • The uniform and highly smooth nanofibers of biocompatible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composited with different content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were successfully prepared by electrospinning. Experimental parameters were MWCNTs addition to a PCL solution and applied voltages.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the composite nanofiber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its electr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a four-point probe method. The surface resistance gradually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content of MWCNTs in PCL fibers because of the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of MWCNTs. The nanofiber diameter could be regulated by varying the solution viscosity and voltages. Our results establish that this kind of electrospinning PCL/MWCNTs nanofibers with the control of fiber diameter and electrical conductivity may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application of scaffolds in tissue engineering.

GPS 코드파 관측에 의한 항공삼각측량의 외부표정요소의 결정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Determination of Aerial Photogrammetry by GPS Code Phases Measurement)

  • 박운용;이동락;신상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7-164
    • /
    • 1997
  • 본 연구는 해안 및 습지지역의 측량에 있어서 지상측량의 대체 기법으로 신속한 자료의 획득과 분석이 가능한 관측기법인 C/A-code수신에 의한 GPS-항공삼각측량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안지역의 지형도 제작에 결합블럭조정 기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고, 재래식 블럭조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재래식 블록 조정 기법에서는 기준점의 수와 배치 형태에 따라 정확도가 민감하게 변화하였으며, 모든 기준점을 이용하였을 경우 수평, 수직위치의 정확도는 $\pm{2cm}$ 정도였으며, 정오차의 효과적인 소거를 위한 부가변수의 적용은 정확도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기준점의 수가 적고 배치형태가 안정성이 없을 때는 오히려 나쁜 결과를 초래하였다. 블록 조정에 GPS 관측을 부가로 이용하였으나 C/A-code 수신의 낮은 정확도로 인하여 블럭의 정확도 향상에는 큰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높은 정확도의 획득을 위해서는 반송파에 의한 상대측위 기법이 요청되며, 수신기의 빠른 개량과 관측기법의 향상으로 코드파 측정에 의한 GPS 항측이 앞으로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SLURP 모형을 이용한 유출수문분석 -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 (Hydrological Analysis in Soyanggang-dam Watershed Using SLURP Model)

  • 임혁진;권형중;장철희;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8호
    • /
    • pp.631-641
    • /
    • 2004
  • 본 연구는 개념적 준분포형 모형인 SLURP 모형의 소양강댐유역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다루었다. SLURP모형은 강우의 시공간적 변화를 반영하여 강우-유출을 해석하여 관개계획 및 수자원 관리 효과를 판단할 수 있는 준분포형 모형이다. DEM으로부터 지형분석프로그램인 TOPAZ/SLURPAZ와 연계하여 빠르고 쉽게 지형매개변수와 지형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NOAA/AVHRR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월별 NDVI를 산출하였으며, 대상유역 주변의 5개의 기상 관측소를 통해 일별 수문기상자료(이슬점, 일사량, 최대ㆍ최소 대기 기온, 상대습도 등)을 얻었다. DEM NDVI, 수문기상자료를 이용하여 1998년부터 2001년까지 4 개년도의 일별유출량을 모의하였다. 매개변수 최적화를 위하여 민감도 분석 및 SCE-UA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대상기간의 Nash-Sutcliffe의 모형효율과 WMO 통계량을 통해 소양강댐 유역의 SLURP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DMC 카메라의 블록기하 안정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DMC's Block Geometry)

  • 이재원;이동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D호
    • /
    • pp.771-779
    • /
    • 2009
  • GIS의 자료기반이 되는 수치지도는 주로 재래식 항공사진측량에 의해서 제작되고 있다. 따라서 촬영된 아날로그 항공사진은 필름의 현상, 인화, 스캐닝 작업 과정을 거쳐 수치지도 제작에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항측카메라의 개발로 촬영된 사진의 전처리과정 없이 직접 디지털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여 항공사진의 효율성이 극대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 에서는 면형방식 카메라인 DMC(Digital Modular Camera) 영상의 블록구성에 따른 기하적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횡스트립의 유무, GPS/INS 외부표정요소의 유무 및 지상기준점 수를 달리한 조건으로 블록조정을 수행하였다. 각 조건별 블록조정의 결과로 부터 외부표정요소에 대한 잔차의 변화를 계산하여 정확도를 상호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횡스트립 추가 시 블록은 기하학적으로 약 30% 안정함을 알 수 있었고, 외부표정요소에서는 횡스트립 추가 시 표준편차의 평균에서 X축으로 2cm, Y축으로 3cm, Z축으로 3cm 더 우수하였으며, omega는 6", phi는 4", kappa는 3"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하천분기 특성인자를 고려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모형의 해석 (Analysis of GIUH Model using River Branching Characteristic Factors)

  • 안승섭;김대형;허창환;박종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9-2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홍수유출해석시 사용되는 지형특성인자와 수문기상학적 특성인자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적 경제적 노력을 최소화함은 물론, 가능한 한 최소한의 인자를 사용하여 강우-유출예측이 가능하도록 모형을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즉, 강우-유출해석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지형 지질특성, 토지피복상태 등의 인자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유역의 하천 분기특성만을 고려한 유출해석방법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유역은 금호강 상류에 위치한 영천댐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주요 호우시 강우-유출량 관측자료와 DEM자료를 이용한 공간특성자료 추출결과를 이용하여 모형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실측 첨두치에 대한 추정 첨두 유출량의 상대오차가 Clark 및 GIUH 모형에서 각각 1.9~23.9% 및 0.8~11.3%로 나타내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GIUH모형에 의한 수문곡선의 첨두치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그리고, 계산된 첨두 유출량의 발생시각에 대한 검토결과 Clark 모형과 GIUH 모형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각각 0.5~1시간 및 0~1시간의 상대오차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GIUH 모형을 이용할 경우 기존에 사용되던 Clark 모형에 비해 홍수 첨두 발생시각이 늦은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천연(天然) 활엽수림(闊葉樹林)의 입지유형별(立地類型別) 생장(生長) 및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이용(利用)한 산림관리(山林管理) (Forest Management Using Growth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Site Typ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신만용;이승만;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1호통권158호
    • /
    • pp.26-33
    • /
    • 2005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 지역의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입지유형별 임분의 생장 특성과 생태적 특성을 구명함으로써 각 임분 특성에 맞는 산림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지를 방위, 해발고도, 지형 조건에 따라 36개의 입지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입지유형별로 직경 생장량과 직경 생장률 그리고 Shannon-Wither의 다양성지수, 균재도, 풍부도를 파악하여 임분의 생장 특성과 생태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산림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임분의 생장 특성은 방위에 따라서는 동쪽 사면과 서쪽 사면이,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서쪽 사면을 제외하고는 해발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그리고 지형 조건에 따라서는 사면과 계곡이 양호한 생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생태적 특성은 적정한 습도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지역으로 방위별로는 북쪽 사면과 서쪽 사면, 지형 조건별로는 계곡의 종 다양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해발고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찾아볼 수 없었다. 입지유형별 산림관리 방안은 남쪽 사면과 동쪽 사면의 경우 임목 생장과 생태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무육작업이 필요한 반면 서쪽 사면과 북쪽 사면은 생장 촉진을 위주로 한 밀도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저지대는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무육관리가 필요하며, 고지대와 중지대는 직경 생장률이 2% 미만인 지역에 대해서는 생장 촉진을 위한 무육작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형 조건에 따라서는 남쪽 사면의 중지대와 고지대를 제외하고는 계곡의 생태적 안정성이 기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친환경적 경영에 가장 적합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