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 survey data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7초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nd interpretation considering excavation effects for the detection of loose ground in urban area

  • Seo Young Song;Bitnarae Kim;Ahyun Cho;Juyeon Jeong;Dongkweon Lee;Myung Jin Na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5권2호
    • /
    • pp.109-119
    • /
    • 2023
  • Ground subsidence in urban areas due to excessive development and degraded underground facilities is a serious problem. Geophysical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and scale of cavities and subsidence. In this study,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ERT) was performed near an area of road subsidence in an urban area. The subsidence arose due to groundwater leakage that carried soil into a neighboring excavation site. The ERT survey line was located between the main subsidence area and an excavation site. Because ERT data are affected by rapid topographic changes and surrounding structures, the influence of the excavation site on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field-scale numerical modeling. The effect of an excav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interpreting ERT data because it can lead to wrong anomalous results. A method for performing 2D inversion after correcting resistivity data for the effect of the excavation site was proposed. This method was initially tested using a field-scale numerical model that included the excavation site and subsurface anomaly, which was a loosened zone, and was then applied to field data. In addition, ERT data were interpreted using an existing in-house 3D algorithm, which considered the effect of excavation sites. The invers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conductive anomalies in the loosened zone were greater compared to the inversion that did not consider the effects of excavation.

드론 사진측량과 지적정보를 융합한 하천부지 점용 조사방법 (A Study on the Survey Methodology in Riverbed Private Use using Integration Drone Photogrammetry and Cadastral Information)

  • 오이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2호
    • /
    • pp.135-144
    • /
    • 2017
  • 하천부지는 각종 재해에 노출되어 있고 주변 사람들의 무단점용에 의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부지의 무분별한 사용에 의한 하천 환경 및 경관의 훼손 및 국유지 무단점용 등을 방지하고자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하천 공간의 현황 정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드론(drone)과 항공사진, 정사영상, DSM (Digital Surface Model), 수치지형도 및 지적정보를 GIS 기술을 적용 융합하여, 홍수 등 재난취역지역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하천의 환경 변화를 조사하였고, 지적정보를 활용한 하천부지의 이용 및 점용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천부지의 분석 자료들은 종합적인 하천의 관리에 있어 효율적인 기본 자료 제공이 가능 하였으며, 하천 점용 실태 파악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댐저수지 하상의 퇴적물 관리를 위한 GIS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GIS System for the Monitering of the Riverbed Sediment on Dam Reservoir)

  • 박준규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45
    • /
    • 2006
  • 국내 대부분의 댐저수지는 완공후 운영기간이 길어지면서 퇴적물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인공 조성된 저수지이므로 일반적으로 유역 면적이 넓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로인해 자연호에 비해 수체의 흐름이 느려지고 유입물이 상당량 퇴적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의 분포 및 특성을 조사하는 방법 중 음파의 파동을 이용한 퇴적물 탐사기법을 통하여 하상의 정밀 지형조사를 실시하였다. 정확한 퇴적물 산정을 위해 GPS 측량, 저주파 천부지층탐사기 및 고주파 음향측심기의 조합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상에 대한 3차원 공간 데이터인 DEM과 DSM을 생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구축된 하상 지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퇴적물 관리 GIS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댐저수지에 축적되어 저수지의 용적 및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퇴적물의 관리시스템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DISCRIMINATING MAJOR SPECIES OF TREE IN COMPARTMENT FROM OPTIC IMAGERY AND LIDAR DATA

  • Hong, Sung-Hoo;Lee, Seung-Ho;Cho, Hyun-Koo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41-44
    • /
    • 2008
  • In this paper, major species of tree were discriminated in compartment by using LiDAR data and optic imagery. This is an important work in forest field. A current digital stock map has created the aerial photo and collecting survey data. Unlike high resolution imagery, LiDAR data is not influenced by topographic effects since it is an active sensory system. LiDAR system can measure three dimension information of individual tree. And the main methods of this study were to extract reliable the individual tree and analysis techniques to facilitate the used LiDAR data for calculating tree crown 2D parameter. We should estimate the forest inventory for calculating parameter. 2D parameter has need of area, perimeter, diameter, height, crown shape, etc. Eventually, major species of tree were determined the tree parameters, compared a digital stock map.

  • PDF

지질조건에 따른 사태물질 이동특성 고찰 (A Study on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dependent on Geologic Conditions)

  • 채병곤;김원영;이춘오;김경수;조용찬;송영석
    • 지질공학
    • /
    • 제15권2호
    • /
    • pp.185-199
    • /
    • 2005
  • 토석류 산사태물질은 암석의 풍화 산물이므로 사태물질의 특성은 그 지역에 분포하는 기반암의 종류에 의존한다. 이 연구에서는 사태물질의 종류에 따른 이동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암석의 풍화 특성과 지형 조건이 서로 다른 3개 지역에서 발생한 26개 산사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산사태 발생지점의 정밀야외 조사를 통하여 암석의 종류, 풍화 및 지형 특성 등을 분석하였고 사태물질의 입도분포와 체적에 따른 이동과 지형 특성과의 관계를 추적하였다 지형조건 중 사면의 경사변화는 사태물질 이동거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경사 변화가 많을 경우 사태물질의 확산속도와 에너지가 변화하기 때문에 일정한 경사를 따라 사태물질이 흘러내리는 것보다 더 큰 이동거리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사태물질의 이동거리는 사태물질의 체적과 입도에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사태물질 체적은 지질특성에 확연히 구별되어 반려암 지역의 경우 화강암 지역에 비해 $4\~5$배 크다. 사태물질의 입도측면에서 중립질의 화강암 분포지역보다 대규모 핵석이 발달하고 풍화심도가 불규칙적인 반려암 지역에서 사태물질 규모 및 이동거리가 훨씬 크게 나타난다.

LiDAR 자료에 의한 지형해석 (Analysis of Terrain by LIDAR Data)

  • 강준묵;윤희천;민관식;위광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89-397
    • /
    • 2006
  • 본 논문은 라이다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형에 대한 3차원 해석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다 측량은 항공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지표의 정량 및 정성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획득된 라이다 데이터를 사용해 불규칙 삼각망, 수치표면모형 및 수치표고모형 등의 지형 데이터를 만들어 지형의 가시성, 음영기복, 경사방향 및 경사도와 같은 요소들을 조사했다. 각 항목으로부터 얻은 해석 결과들은 지형해석에 있어서 주요한 요소로 사용되어지며, 라이다 측량이 지형해석을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GPS/Leveling을 이용한 연직선 편차 성분 계산 : 강원도 춘천지역을 중심으로 (Determination of the Deflection of Vertical Components via GPS and Leveling Measurement : A Case Study of Chunchoen, Gangwon-do)

  • 신문승;이동하;양인태
    • 산업기술연구
    • /
    • 제36권
    • /
    • pp.65-69
    • /
    • 2016
  • Deflection of the vertical is used in geodetic surveying associated with geoid network construction for geoid modeling and ellipsoid decision and obtained by gravity survey, astronomic survey etc. Technique of astronomic survey and gravity survey is very complex and requires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until gathering data. So this study is to determined a various method which evaluates deflection of the vertical and components about deflection of the vertical using GPS results and orthometric height value decided by leveling. Results of components about deflection of the vertical using GPS/leveling is that ${\xi}$ conponent is distributed $-2.11^{{\prime}{\prime}}{\pm}0.62$, ${\eta}$ component is distributed $1.75^{{\prime}{\prime}}{\pm}0.71$. Decision of component about deflection of the vertical using GPS is less complex than existing astronomic survey. Decision of component about deflection of vertical line using GPS is not complicated than astronomic surveying and can determine in a very short time. So it will be important means to determine the exact orthometric height, topographic study and diastrophism if can periodically calculate.

  • PDF

Use of GIS to Develop a Multivariate Habitat Model for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Mountainous Region of Korea

  • Rho, Paik-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4호
    • /
    • pp.229-236
    • /
    • 2009
  • A habitat model was developed to delineate potential habitat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mountainous region of Kangwon Province, Korea. Between 1997 and 2005, 224 leopard cat presence sites were recorded in the province in the Nationwide Survey on Natural Environments. Fifty percent of the sites were used to develop a habitat model, and the remaining sites were used to test the model. Fourteen environmental variables related to topographic features, water resources, vegetation and human disturbance were quantified for 112 of the leopard cat presence sites and an equal number of randomly selected sites. Statistical analyses (e.g., t-test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elevation, ridges, plains, % water cover, distance to water source, vegetated area, deciduous forest, coniferous forest, and distance to paved road differed significantly (P < 0.01) between presence and random sites.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develop a habitat model. Landform type (e.g., ridges vs. plains) is the major topographic factor affecting leopard cat presence. The species also appears to prefer deciduous forests and areas far from paved roads. The habitat map derived from the model correctly classified 93.75% of data from an independent sample of leopard cat presence sites, and the map at a regional scale showed that the cat's habitats are highly fragmented. Protection and restoration of connectivity of critical habitats should be implemented to preserve the leopard cat in mountainous regions of Korea.

지적측량에 라이다 측량기술의 활용방안 (Applications of LiDAR in Cadastral Surveying)

  • 강준묵;민관식;위광재;김재명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43-446
    • /
    • 2007
  • The major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gauge the general applicability of cadastral surveying and LiDAR surveying. LiDAR survey is the method which obtains Geospatial information of the terrain. We will get a most topographic models at Digital Elevation Model(DEM) using LiDAR survey data. Also, we will consider both the surface parcel partition and volume parcel as a part of Geospatial relationship model. This study will focus on enhancing the efficiency and analysis of continual cadastral map and LiDAR DEM. I would like to close by proposing that LiDAR surveying will contribute in cadastral surveying.

  • PDF

3D맵핑을 이용한 문화재 지정구역 경관관리기법 연구 (A Study on Landscape Management Techniques of Cultural Heritage Designated Area Using 3D Mapping Method)

  • 김재웅;이원호;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7-108
    • /
    • 2018
  • 본 연구는 역사마을 및 명승과 같은 면적문화재의 경관관리를 위한 분석의 기초가 되는 가시분석모델의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DEM을 이용한 가시권 분석결과와 소형 UAV를 통해 추출된 3D맵핑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DSM의 가시권 분석결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형 UAV를 이용하여 취득된 디지털데이터로부터 GSD(Ground Sample Distance) 2cm급의 정사영상 자료 구축 및 DSM을 생성하여 RTK 측량결과를 기준으로 추출데이터에 대한 정확도를 검토한 결과 약 6.5cm 이내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수치지형도에 건축물의 높이를 적용한 수치표고모델(DEM: $1m{\times}m$)과 소형 UAV를 이용한 수치표면모델(DSM: $20cm{\times}20cm$)의 가시권 분석 자료를 비교한 결과 DEM을 이용한 가시권 분석결과에 비해 가시 영역이 좁고 세밀하게 나타났으며, 가시권 분석결과를 현지사진과 비교한 결과 DSM을 이용한 가시권 분석이 담장, 수목, 하우스 등과 같은 구조물 등이 지형데이터에 반영되어 현실에 가까운 가시권 분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3D맵핑 기법을 이용한 가시분석모델은 3D 스캐너와 같은 정밀실측 장비보다 상대적으로 신속하고 저렴한 소형 UAV를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즉각적으로 데이터의 구축을 통해 수시로 변하고 있는 경관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취득함으로써 면적문화재의 경관평가 등의 보존관리를 위한 합리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