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 soil recycling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Coal Bottom Ash Application on Park Site Soil and Its Impacts on Turfgrass Growth and Soil Quality

  • Oh, Se Jin;Kim, Yong Hyo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7-134
    • /
    • 2017
  • Bottom ash (BA) has different macro- and micronutrients such as B, Mo, Fe, Ca, and Mg, providing useful resources for plant growth and soil qua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artificial top-soil treated with BA in park area as a vegetation base material, especially for turfgrass growth. Collected BA was mixed with peat moss and clay at the ratio of 70:10:20 (w/w). In order to evaluate the park quality and turfgrass growth in park area, the artificial soil was applied with BA along with the control or without BA. Result showed that exchangeable K and P were increased by $11.4mg\;kg^{-1}$ and $163mg\;kg^{-1}$,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soil when the artificial soil was treated with BA. Microbial population and enzyme activity (Acid-phosphatase, APA) in artificial soil having BA also increased as 2 times and 10%,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soil. Comparing turfgrass growth and yield between general soil and artificial soil, about 2 times higher plant yield (fresh weight) was observed as artificial soil was applied comparing to general soil. Furthermore, nutrient concentration in turfgrass was averaged as 0.440% for $P_2O_5$, 0.456% for CaO, 1.198% for $K_2O$ and 0.188% for MgO that all values are higher than general soil (0.323% for $P_2O_5$, 0.416% for CaO, 0.610% for $K_2O$ and 0.173% for MgO). Application of BA can be useful for vegetation base material in park site.

기비 및 추비에 의한 유기질비료의 사용이 금잔디(Zoysia matrella L. Merr.)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Korea Lawngrass(Zoysia matrella L. Merr.) by base-dressing and top-dressing application)

  • 함선규;이정재;김인섭
    • 유기물자원화
    • /
    • 제2권1호
    • /
    • pp.41-49
    • /
    • 1994
  • 이 연구는 한국잔디(Zoysia matrella L. Merr.)에 미치는 유기질비료의 효과와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유기질 비료는 한국잔디(Zoysia matrella L. Merr.)의 잔디포를 조성할 때 기비로 적합하였다. 2. 잔디의 엽록소 함량은 유기질 비료 단용구보다 복합비료(N:P:K = 21:17:17) 및 유기질비료의 혼용구에서 더욱 많았다. 3. 토양중 유효인산의 함량은 유기질 비료의 사용으로 증대되었다. 4. 잔디와 건물중을 무처리구에 비하여, 기비처리구는 약 40%, 추비처리구는 약 12%의 중수효과를 나타내어 유기질비료의 사용은 기비처리가 추비처리보다 효과적이었다.

  • PDF

훼손된 산불토양의 미생물다양성 (Microbial Diversity in the Soil Damaged by a Forest Fire)

  • 정영률;송인근;김진용;이신근;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2호
    • /
    • pp.85-90
    • /
    • 2005
  • 산불로 훼손된 토양 미생물군집의 생화학적, 유전적 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0년에 산불이 일어났던 강릉지역에서 자연복원지 토양(NS), 인공복원지 토양(AS), 정상토양(NS)을 표토층과 심토층에서 채집하였다. 생화학적 다양성 분석을 위해 각 시료를 BIOLOG system에 직접 적용하였으며 통계처리(SPSS)를 통해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군집의 유전적 다양성은 토양 미생물의 16S-rDNA를 증폭하여 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연복원지의 심토와 표토, 정상토양의 표토에서만 70% 이상의 생화학적 다양성이 나타났으나, 유전적 다양성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53%에서 68%의 범위의 상동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미생물 군집의 생화학적 다양성이 반드시 유전적 다양성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Especially, Three Phases, Bulk Density, Porosity and Correlations under No-tillage Clay Loam Soil with Ridge Cultivation of Rain Proof Plastic House

  • Yang, Seung-Koo;Seo, Youn-Won;Kim, Sun-Kook;Kim, Byeong-Ho;Kim, Hee-Kwon;Kim, Hyun-Woo;Choi, Kyung-Ju;Han, Yeon Soo;Jung, Woo-J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25-234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stainable agriculture of no-tillage technique including recycling of the ridge and the furrow of a field for following crops in Korea. No-tillage systems affect soil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ree phase (solid, liquid, and air phase) and distribution of soil granular. Solid ratio of subsoil in 3-year of no-tillage (NT) treatment was remarkably lower than that in conventional (CT, 2-year of no-tillage + 1-year of tillage) treatment, while air ratio of subsoil in NT remarkably increased. Bulk density of subsoil in NT remarkably decreased. Porosity of subsoil in NT remarkably increased. Deviation of air phase, bulk density, and porosity of top soil and subsoil in NT remarkably decreased in NT compared with CT. Solid phase ratio and liquid phase ratio in NT and CT had positive (+) correlation. Solid phase ratio and air phase ratio in NT and CT had negative (-) correlation, also liquid phase ratio and air ratio had negative (-) correlation. Bulk density and liquid ratio in soil had positive (+) correlation at top soil and subsoil in NT. Bulk density and air ratio in soil had negative (-) correlation in NT and CT. Porosity and liquid phase ratio had negative (-) correlation, r =1), the significant value was lower in NT than in CT. Porosity and air phase ratio had positive (+) correlation (r =1).

두둑을 재활용한 한국형 무경운 농업 II. 시설 무경운 토양의 물리적 특성 : 입단과 용적밀도 및 삼상변화 (No-Tillage Agriculture of Korean-Style on Recycled Ridge II.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 Water-Stable Aggregate, Bulk density, and Three Phase Ratio to Retain Water at Plastic Film Greenhouse Soil in No-Tillage System)

  • 양승구;신길호;김선국;김희권;김현우;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19-733
    • /
    • 2016
  • 본 논문은 앞그루작물 재배 시 형성된 이랑을 재활용하여 다음 뒷그루작물을 무경운으로 재배할 경우 토양의 이화학성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추진한 연구 결과의 일부이다. 토양에서 경운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토양 입자 크기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관행경운과 무경운 토양 입자는 공히 입상구조(granular structure)를 이루고 있었다. 무경운 토양의 입자 크기 2 mm 이상의 분포는 무경운 토양이 경운 토양에 비하여 표토와 심토 공히 증가 되었다. 그리고 내수성입단 0.25 mm 이상 0.5 mm 이하와 0.5 mm 이상 1 mm 이하, 1 mm 이상의 대입단 분포는 경운과 무경운 1년차 토양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무경운 2년차에서는 입단의 크기별로 각각 8.2%, 4.5%, 1.7%로 경운과 무경운 1년차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관행 경운 토양 표토의 용적밀도 $1.10MG\;m^3$이 무경운 1년차에서 $1.30MG\;m^3$으로 증가 되었으나, 무경운 2년차는 $1.14MG\;m^3$, 무경운 3년차는 $1.03MG\;m^3$으로 용적밀도가 감소되었으며, 심토도 같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용적밀도와 정(+)의 상관이 있는 고상율은 표토와 심토 공히 무경운 1년차에서 관행 경운 토양에 비하여 증가되었으나, 무경운 2년차와 3년차는 감소되었다. 용적밀도 및 고상율과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공극율은 경운 토양 58.5%가 무경운 1년차는 51%로 8.5% 감소되었으나, 무경운 2년차는 56.9%, 무경운 3년차는 61.2%로 증가되었으며, 심토도 같은 경향이었다. 공극율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기상율은 관행경운 토양에 비하여 무경운 1년차는 감소되었으나, 무경운 2년차와 3년차에서는 증가되었다. 그리고 기상과 함께 공극율을 결정하는 액상율은 경운 표토 24.2%가 무경운 1년차는 28.3%로 증가되었으나, 무경운 2년차는 23.4%, 무경운 3년차는 18.3%로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심토도 같은 경향이었으나, 심토의 액상율은 표토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and Correlation under No-tillage Silt Loam Soil with Ridge Cultivation of Plastics Film Greenhouse Condition

  • Yang, Seung-Koo;Shin, Gil-Ho;Kim, Hee-Kon;Kim, Hyun-Woo;Choi, Kyung-Ju;Jung, Woo-J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0-179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stainable agriculture of no-tillage technique to minimize tillage problems under rain interception green house condition including recycling of the ridge and the furrow for following cultivation in Korea. Chemical properties in soils were investigated at 3-years after cultivation at conventional tillage [CT; 2-years no-tillage (2009-2010) and 1-year (2011) tillage] and no-tillage [NT; 2009-2011] field. Soil pH maintained between 5.8 and 6.0 irrespectively tillage and no-tillage. Salinity (EC), contents of total nitrogen (TN),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and exchangeable cations (K, Ca and Mg) in soil were remarkably higher in CT than in NT treatment. Salinity (EC), contents of OM, TN, CEC, and exchangeable cations in top soil and subsoil indicated higher deviation in CT than NT treatment. Organic matters and inorganic matters in soil were positive (+) correlation. Suppression of pepper growth and increase of yield were observed in no-tillage soil compared with tillage soi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no-tillage technique in crop culture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with respect to chemical properties in silt loam soil.

Impact of Topsoil Stockpiling Methods on the Viability of Seed Banks

  • Yi, Myung-Ho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907-923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stockpiling methods for revegetation by comparing the germination status of seed banks before and after preservation for 2 years. Soil temperature in stockpiled topsoil was higher in open treatment and at 1.5 m, whereas soil water content was maintained at lower levels (14.06-19.08%),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seed banks in stockpiled topsoil had 48 species and 1,559 individuals, among which perennials showed the highest number in terms of life forms, whereas Compositae and Gramineae were dominant in terms of families. Based on seed bank type, persistent seed banks ha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while transient seed banks had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By stockpiling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seed bank started to increase after 24 months, while the number of individuals began increasing after 12 months and exceeded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24 months. Regarding the treatment of stockpiling method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open treatment were close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en analyzed by height,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higher at 0 m, but still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 showed that the optimal combination was obtained in open treatment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d with the lengthening of the stockpiling period.

두둑을 재활용한 한국형 무경운 농업 I. 경운방법에 따른 시설재배 토양의 물리적 특성: 균열, 관입저항, 배수, 보수력 변화 (No-tillage Agriculture of Korean-Type on Recycled Ridge I.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 Soil Crack, Penetration Resistance, Drainage, and Capacity to Retain Water at Plastic Film Greenhouse Soil by Different Tillage System)

  • 양승구;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99-717
    • /
    • 2016
  • 본 연구는 시설하우스 재배에서 앞그루작물 재배 시 형성된 두둑을 재활용하여 뒷그루 작물을 무경운으로 재배할 경우 토양의 이화학성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추진한 연구 결과의 일부이다. 중동통(jd)의 두둑에서 토양 균열은 관찰되었으나 고랑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관행 경운 토양 두둑의 길이 방향으로 경운 5개월 후에 최대 폭 30 mm, 최대 깊이 15.3 cm, 길이 37~51 cm 정도 되는 균열이 3개 정도 발생되었다. 그리고 두둑의 폭 방향에서는 길이 7~28 cm 정도 되는 균열이 7.5개 정도 발생되었다. 무경운 1년차는 두둑의 길이 방향에서 최대 폭 18 mm, 최대 깊이는 30 cm, 길이는 140~200 cm 정도 되는 균열이 1개 정도 발생되었으며, 두둑 폭 방향의 균열은 최대 폭 22 mm, 최대 깊이는 18.5 cm에 길이는 6~22 cm 정도 되는 균열이 11개 정도 발생되었다. 한편 모래함량이 많은 중동통(jd)의 무경운 2년차 토양에서 균열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점토함량이 많은 지산통(jd) 무경운 7년차 토양에서는 균열이 관찰되었다. 중동통(jd) 시설재배의 미사질양토의 관행 경운토양 표토 1 cm 깊이의 관입저항은 59 kPa에 비하여 무경운 1년차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경운 토양 20 cm 깊이의 관입저항은 161~185 kPa 수준이었고 36~39 cm 깊이의 관입저항 503~507 kPa을 정점으로 감소되었다. 무경운 1년차 토양 관입저항은 5~30 cm 깊이까지 167~172 kPa을 유지하였으나, 43 cm 깊이에서 437 kPa를 최대값으로 감소되었다. 무경운 2년차 표토의 관입저항은 1 cm 깊이의 81 kPa에서 6 cm 깊이는 243 kPa로 직선적인 증가를 하였다. 논에서 전환한 지산통(ji) 시설 재배지의 관행 경운 토양 관입저항은 표토 1 cm 깊이로부터 52 cm 깊이까지 토양이 깊어짐에 따라서 직선적인 증가를 하였으나, 그 이상의 깊이에서는 증가되지 않았다. 그러나 두둑을 재활용한 무경운 7년차 토양의 표토 1 cm와 2 cm 깊이의 관입저항은 직선적인 증가를 보여 경운 토양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의 깊이에서는 거의 변동이 없었다. 지산통(ji)과 중동통(jd)의 쟁기 바닥층은 표토에서 10~12 cm 깊이, 작토층은 21 cm 깊이까지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지산통(ji)의 경운 토양의 경반층은 33~35 cm 깊이로 추정되었으나 무경운 7년차는 경반층이 토양 38~44 cm 깊이에서 흔적으로만 존재하였다. 표토의 수분함량은 관행 경운 토양과 두둑을 재활용한 무경운 토양에서 경운 방법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20 cm 깊이의 무경운 토양 수분함량은 14%로 경운 토양 25%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1 Bar와 15 Bar에서 측정한 표토의 보수력은 관행 경운토양 비하여 두둑을 재활용한 무경운 1년차와 무경운 2년차에서 증가되었다. 그리고 무경운 2년차 심토의 보수력은 1 Bar와 3 Bar에서 경운 토양과 무경운 1년차에 비하여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바이오차 시용이 토양 이화학성 및 작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ed biochar derived from spent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substrate to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rop growth responses)

  • 장재은;임성희;신민우;문지영;남주희;임갑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3호
    • /
    • pp.73-82
    • /
    • 2023
  • 본 연구는 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를 이용하여 바이오차를 제조하고 바이오차 시용이 토양 이화학성과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한 바이오차는 TLUD 연소생산시스템 사용하여 450~600℃에서 제조하고 바이오차의 성분을 조사하였다. 사용한 바이오차는 원소분석결과 C 76.2%, H 2.5%, N 3.2%로 H/C 비율이 0.39로 국제적인 바이오차의 분해 안전성 인증기준(IBI)인 0.7 이하로 나타났으며 pH는 10.1, P2O5 1.0%, K2O 1.8%, CaO 2.5%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바이오차를 시용량별로 처리하여 배추, 대파 포장시험 결과 바이오차를 시용하지않은 시험구와 비교하여 바이오차 시용으로 토양의 유기물(OM), 전질소(T-N), 전탄소(T-C), K 함량이 증가하고 치환성양이온교환용량(CEC)이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 물리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바이오차 시용으로 토양의 용적밀도가 낮아지고 공극률이 높아져 토양 물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바이오차 200 kg/10a 시용시 배추와 대파 생육이 양호하고 최대수량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바이오차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토양 탄소함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토양 탄소격리량도 증가하였다. 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바이오차를 토양개량제로 활용하면 토양의 이화학성 개선에 효과가 있어 친환경 농가에서 토양개량제로 활용도가 높을것으로 생각되며 농업 부산물의 유기자원화를 통한 버섯 수확후배지의 소비처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토양 종류별 보릿짚 및 가축분 바이오차 투입이 토양 탄소 무기화에 미치는 영향 (Carbon Mineralization in different Soils Cooperated with Barley Straw and Livestock Manure Compost Biochars)

  • 박도균;이종문;최은정;권효숙;이형석;박혜란;오택근;이선일
    • 유기물자원화
    • /
    • 제30권4호
    • /
    • pp.67-83
    • /
    • 2022
  • 바이오차는 바이오매스를 산소가 제한된 환경에서 고온(300~700℃)으로 열분해하여 얻어지는 탄소 함량이 높은 생성물이다. 최근 바이오차는 농업 부산물을 최소화하고 순환 경제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도구로 농업 및 환경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차를 만드는 재료로 왕겨, 가축분, 보릿짚 등 여러종류의 유기성 부산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약 10% 바이오차 적용(wt/wt)은 작물의 수확량, 토양 탄소 격리량을 높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우리나라 농경지의 경우 논에서 밭으로 토지 이용이 전환되거나 간척으로 인한 갯벌이 논으로 개간되고, 산림에서 밭이나 시설재배지로 개간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농경지 전환으로 인한 농경지별 바이오차 적용 효과가 상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에서 농경지 유형별 바이오차 종류와 투입 수준에 따른 토양 탄소저장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경지 토양별 바이오차 종류와 투입 수준에 따른 토양 탄소저장과 무기화되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재료는 보릿짚, 가축분을 수거, 건조 등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충남 예산에 있는 바이오차 제조공장 탄화로를 이용하여 TLUD (Top Lit Up Draft) 상향 통풍형 열분해 방식으로 약 500℃에서 제조하였다. Kinetic 모델 적용 결과 토양에 투입된 탄소 무기화는 바이오차를 투입하지 않으면 토양 종류별 8.2~16.5% 비율로 탄소원이 무기화 되어 이산화탄소로 배출되었다. 노지 밭 토양에서 15.5~16.5%로 가장 높았고, 간척지 토양에서 8.2~8.7%로 가장 낮았다. 이는 토양 내 탄소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 유기물의 분해가 상대적으로 높아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2)는 탄소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차를 투입한 토양에서 탄소 함량이 증가함에도 상대적으로 무기화되는 비율은 낮아졌다. 국제 바이오차협 회에서는 H:C 비율이 0.7 이하면 100년 이상 토양 내 탄소 격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바이오차의 원료물질이 상이한 보릿짚, 가축분 바이오차 간 탄소 무기화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것으로 판단했지만, 각각의 바이오차 H:C 비율이 0.30~0.39로 0.7 이하임으로 토양에 혼합하였을 때 탄소 무기화의 비율이 낮고 탄소 격리의 효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