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pick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DNA Microarray Probe Preparation by Gel Isolation Nested PCR

  • Wang, Hong-Min;Ma, Wen-li;Huang, Hai;Xiao, Wei-Wei;Wang, Yan;Zheng, Wen-Ling
    • BMB Reports
    • /
    • 제37권3호
    • /
    • pp.356-361
    • /
    • 2004
  • To develop a simplified method that can rapidly prepare DNA microarray probes in a massive scale, a lambda phage genomic DNA-fragments library was constructed for the microarray-probes collection. Four methods of DNA band recovery from the first PCR products were tested and compared. The DNA microarray probes were collected by a novel method of nested PCR that was mediated by gel isolation of the first PCR products. This method was named GIN-PCR. The probes that were prepared by this GIN-PCR technique were used as subjects to fabricate a DNA microarray. The results showed that a wooden toothpick was superior to the other 3 methods, since this technique can steadily transfer the DNA bands as the template of the second PCR after the first PCR. A group of probes were successfully collected and DNA microarrays were constructed using these probes. Hybridizat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this technique of DNA recovery and probe preparation was rapid, efficient, and effective. We developed a cost-effective and less labor-intensive method for DNA microarray probe preparation by nested PCR that is mediated by wooden toothpick transfer of the DNA bands in the gel after electrophoresis.

전문가잇솔질에 의한 치주상태 변화와 환자만족도 (Change in Periodontal Status by Professional Toothbrushing, and Patients' Satisfaction)

  • 김창희;김진;김창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1-266
    • /
    • 2008
  • 본 연구는 잇솔질 방법 중에 하나인 전문가 잇솔질법(Toothpick Method)을 이용하여 치주질환의 예방효과 및 환자들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 1월 9일부터 2월 28일까지 치주질환으로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전문가잇솔질법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면세균막지수와 탐침시 출혈을 비교한 결과 치면 세균막지수에서는 최종검사를 시행한 후 초기치료직후와 비교한 결과 초기정밀검진 시 보다 0.16점으로 감소하였으며, 탐침 시 출혈은 2.96점으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2. 전문가잇솔질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4.20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반적인 프로그램 만족 항목에서 4.6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치석제거와 비교 시 만족정도에서는 3.97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3. 전문가 잇솔질 적용 후 성별에 따른 구강 내 자각인 지도를 살펴본 결과 '잇몸이 좋아졌다'가 남성의 경우 16.4%, 여성은 25.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출혈감소'는 남성은 14.5%, 여성은 10.9%로 나타났고, '입냄새 감소'는 남성이 10.9%, 여성이 7.3% 순으로 조사되었다. 전문가 잇솔질을 이용해 환자구강건강관리를 한 결과 치면세균막지수와 출혈율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문가잇솔질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4.20으로 만족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치과진료실 내에 환자의 치주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구강건강관리 인력의 요구와 교육이 필요하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Toothpick method(와타나베법)을 이용한 장애인 구강건강관리 효과 (Effect of the tooth pick of the disabled person oral treatment)

  • 오하민;송경희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7-46
    • /
    • 2018
  • This study conducted a 'specialist tooth brushing' method against the severely disabled once every other wee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maintaining healthy periodontal management when consistent oral hygiene lasts with minimum stimuli for 24 - month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able 2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2 from the 1st to 11th management and verifies the actual difference in measurement of each index. Group 1 used a professional tooth brush while Group 2 used a general brush. There were found m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ntal index. As for PHP, Oral Malodor index and gingival bleeding, it was found that one or two times of dental care can make substantial differences in dental health condition. These results show that as the number of toothbrush method has been increased, gingival bleeding and periodontal index are significantly improved, not to mention the improvement of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 This is because periodontal tissue is affected by brushing method, brushing time and consistency of dental care. During the 6-month period, 20 minutes of active periodontal care was intensively conducted, and for 18-months the effect of consistent care was verified by 10-minute periodontal care once every other week.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omplete regression in the basic periodontal treatment and the periodontal health condition had been maintained for 24 months. Also this test shows that, despite of inconsistent dental hygienic care, regular plague control can prevent dental diseases and maintain the dental health. This study proved that periodontal condition can be maintained by periodontal care once every other week as the tooth brushing properly stimulates the gums with positive effect. Therefore, professional dental healthcareworkers should be designated for each facility for the disabled, and dental health of the disabled should be professionally cared on a regular basis, and consistent and repetitive management by the dental care specialist are required.

An Innovative Scalp-Dyeing Technique with Gentian Violet Solution During Follicular Unit Extraction for White-Haired Follicular Units

  • Moon, Min Seon;Choi, Jong Pil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2호
    • /
    • pp.170-172
    • /
    • 2017
  • There exist some restrictions and difficulties in performing follicular unit extraction (FUE) in white-haired patients, for several reason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ovel technique for visualizing white hair during the punching procedure and graft preparation in FUE for white-haired patients. In white-haired older male patients, we dyed the surrounding scalp skin purple with a gentian violet solution-stained toothpick. Our method has several advantages: surgeons can easily focus on the center of the follicular unit and rapidly perform punching, they can recognize the condition of the harvested follicular units during FUE, and the hair transplant team can secure a clear view for trimming and loading into the implanter. We suggest that scalp dyeing in difficult FUE procedure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white hair, may be a simple method that provides a good visualization for donor site harvesting and for microdissection.

도축장출하 돼지의 위병변 (Gastric Lesions of Slaughtered Pigs)

  • 박재학;이학모;김창환;박종환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20
    • /
    • 2001
  • We examined the stomaches of slaughtered pigs to evaluate the gastric lesions. Gastric ulcer accompanying parakeratosis and hyperkeratosis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in the mucosa layer of pars oesophagea. Diffuse congestion and focal necrosis was also frequently seen on the fundus. Pierce wounds by toothpick were seen from 3 stomaches.

  • PDF

일부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usage status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in service workers behavior)

  • 김명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7-52
    • /
    • 2008
  • 본 연구는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시 S생명사와 L백화점에 종사하는 서비스군 200명과 사무직에 종사하는 비서비스군 200명을 대상으로 칫솔질 습관,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행태 및 만족도 등에 관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서비스군의 양치 횟수는 하루 3~4회(53.4%)가, 양치방법은 위 아래로 닦는 방법(50.8%)이 가장 많았으며, 양치 시기는 식후 5분 후(45.0%)가 하는 경우가, 칫솔 교환 시기는 모양을 보고 교환하는 경우(56.6%)가 가장 많았다. 2. 서비스군은 비서비스군에 비해 구강위생보조용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그 사용 빈도는 이쑤시개(30.9%), 구강양치용액(29.9%), 치실(13.5%), 혀닦이(10.1%) 순이었으며 그 외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빈도는 매우 낮았다. 3. 각 구강위생보조용품 별로 두 군 간의 사용현황을 비교해 보면, 서비스군은 치실(66.1%),의 사용이 비서비스군(33.9%)에 비해 더 많았고, 혀닦이(64.4%), 역시 비서비스군(33.3%)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구강양치용액에서도 서비스군이 (64.43%) 비서비스군에(35.6%) 비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쑤시개에 있어서는 비서비스군(54.6%)이 서비스군(45.4%)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동기는 치과에서 권유하여 사용하는 경우(53.6%)가 가장 많았고,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용하기 불편하거나(45.4%), 사용하는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21.60%)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인지도에 따른 사용률을 조사한 결과 이쑤시개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강위생보조용품에서 서비스군이 비서비스군보다 높은 이용률을 보였으며 특히 구강양치용액(54.8%), 혀닦이(43.3%) 치실(35.8%) 등에서 다소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6. 서비스군(54.9%)은 비서비스군(45.1%)에 비해 정기검진을 더 많이 받고 있었으며, 정기검진의 기간에 있어서 1년마다 시행하는 경우가(43.5%) 가장 많았다. 조사결과 서비스 종사자들은 비서비스종사자들에 비해 구강위생활동을 더 활발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 또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일부 구강위생보조용품만을 사용하고 그 외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함에 불편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지속적인 적극적인 홍보가 매우 필요하고, 다양한 교육매체를 이용하여 구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아울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강위생보조용품을 개발하고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판매처를 증가시키고 보급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 서비스 종사자들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 종사자들을 모두 대표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구강위생보조용품 사용률은 평가하였으나 사용능력은 평가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즉, 구강위생용품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사용률 못지않게 중요하나 이를 조사하지 못했다. 셋째, 인지도에 따른 사용현황은 조사하였으나 구강건강 상태와 관련하여 사용실태를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보다 더 실용적인 자료가 되기 위해, 앞선 한계를 보완한 조사도구가 개발되어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치과병·의원 내원환자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 with outpatient as the central figure)

  • 김수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5-103
    • /
    • 2002
  • 서울시민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사용방법숙지도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구강위생용품사용을 권장하고 보급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가정에서의 구강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할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저자는 임의로 선정한 서울시내 2개의 치과대학병원과 7개의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 347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 조사하였으며, 구강상태별로 구분하여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 사용방법숙지도 사용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사용하는 칫솔의 평균두부길이는 22.3mm이었고, 평균사용기간은 2.3개월 이었으며, 수평두부모양의 사용자율은 51.9% 이었고, 불소함유세치제의 사용자율은 46.7%로 조사되었다. 2. 조사대상자의 이쑤시개 사용자율이 다른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자율보다 높았으며 일반성인군과 교정치료환자군에서는 치실 및 치간칫솔의 사용자율이 이쑤시개의 사용자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3. 교정치료환자의 경우 교정용칫솔의 사용법숙지자율이 25.4%로 사용자율 45.8% 보다 낮게 조사되어 정확한 사용방법의 이해 없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4. 치주질환자, 과민성환자, 인공치아매식환자, 의치장착환자, 구취환자에서 사용하는 특수용도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및 사용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율은, 이쑤시개의 사용은 구취환자군에서, 치실의 사용은 치간이개환자군에서, 치간칫솔과 진동칫솔의 사용은 교정치료환자군에서, 양치용액의 사용은 일반성인군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조사대상자들의 최대 관리대상 구강병은 치아우식증 60.3%, 치주질환 24.0%, 부정교합 14.8%, 구강암 0.9%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구강상태별 최대 관리대상 구강병과의 유의도 분석결과, 치간이개 환자(P>0.05)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보조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게 된 동기는 '치과에서 권장해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45.0%로 가장 높았으며, 보조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적절한 구강위생용품을 몰라서'라고 답한 사람이 38.6%, '사용이 불편하고 귀찮아서'라고 답한 사람이 31.3% 이었고, '구입하기 어렵고 비싸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12.0% 이었고, '효과가 없는 것 같아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7.8% 이었으며, '치과에서 권장하지 않아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4.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서울시민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및 사용율이 매우 낮았으며, 따라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보조구강위생용품의 효과 및 필요성 등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고, 치과의료기관에서는 구강보건인력들이 환자특성에 따른 적합한 구강위생용품의 선택과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치과의원 환자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in dental clinics patients)

  • 박정순;김영임;장선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85-698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supplies among dental clinic patients in a bid to stress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right awareness and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ultimately to help promote the oral health of people in general.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14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s in North Jeolla Province in June 2009. Results : 1. Out of oral hygiene supplies, the largest number of the patients investigated(74.6%) were best cognizant of dental floss, and the greatest group(77.7%) had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use of toothpick. Currently, the oral hygiene supplies that were most widely in use were toothpicks(43.2%). 2. As to the relationship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supplies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50.0 percent of the patients who understood the use of toothpick foun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and the gaps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dental floss, the largest group(51.4%)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good shape, and in the event of those who understood the use of dental floss, the greatest group(49.2%) deeme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Out of those who understood the use of mouse rinse, the largest group(53.7%) thought they were in good health(p<0.05). 3. Recognition of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its use and whether to use it currently or not were identified as parents to use oral hygiene supplies recommended by dental clinics(p<0.05). 4. Recognition of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its use and whether to use it currently or not were identified as patients to use oral hygiene supplies recommended by dental clinics(p<0.05). 5. The largest group of those who didn't put dental floss to use didn't use it for other reasons unspecified in the questionnaire, and the second greatest group of them didn't use it since it was so onerous to do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ason why they didn't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p<0.05). 6. Awareness of dental floss and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the use of the two and whether to use the two at present or not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whether they were likely to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 in the future. And whether they were likely to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 in the fut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wareness of mouse rinse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of it as well(p<0.05). Conclusions : Dental hygienists have to provide patients with various data of oral hygiene devices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n only patients caring in dental clinics can choose the appropriate devices to claim for their own dis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