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undercut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5초

Dislodgement resistance of modified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s utilizing tooth undercuts: an in vitro study

  • Doh, Re-Mee;Lee, Keun-Wo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권2호
    • /
    • pp.85-90
    • /
    • 2009
  • STATEMENT OF PROBLEM. Over the years,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s (RBFPDs) have gone through substantial development and refinement. Several studies examined the biomechanics of tooth preparation and framework design in relation to the success rate of RBFPDs and considered retention and resistance form essential for increase of clinical retention. However, these criteria required preparations to be more invasive, which violates not only the original intentions of the RBFPD, but may also have an adverse effect on retention due to loss of enamel, an important factor in bonding. PURPOSE. The object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compare the dislodgement resistance of the new types of RBFPDs, the conventional three-unit fixed partial denture, and conventional design of RBFPD (Maryland bridge). MATERIAL AND METHODS. Fifty resin mandibular left second premolars and second molars were prepared on dentiforms, according to the RBFPD design. After model fabrication (five group, n = 10), prostheses were fabricated and cemented with zinc phosphate cement. After cementation,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tensile loading at a cross head speed of 4 mm/min in a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separation load was record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SULTS. Group V, the pin-retained RBFPDs, had the highest mean dislodgement resistance, whereas specimens of group II, the conventional RBFPDs,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mean dislodgement resistance compared to the other 4 groups (P <.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I, III, and IV in terms of dislodgement resistance (P>.05). Group V had the highest mean MPa (N/$mm^2$) (P <.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 II, III and IV (P > .05). CONCLUSION. Within the limits of the design of this in vitro study, it was concluded that: 1. The modified RBFPDs which utilizes the original tooth undercuts and requires no tooth prepara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esign of RBFPDs, has significantly high dislodgement resistance (P < .05). 2. The modified RBFPDs which utilizes the original tooth undercuts and requires minimal tooth prepara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PDs, has significantly no difference in retention and dislodgement resistance)(P>.05). 3. The pin-retained FPDs showed a high dislodgement resist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hree-unit FPDs (P<.05).

구개인두부전증 환자에서 열가소성레진을 이용해 연구개거상장치를 제작한 증례 (Fabrication of palatal lift prosthesis using thermoplastic resin for a patient with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 정현정;김지환;이상휘;박영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6-290
    • /
    • 2016
  • 최근에 열가소성 레진 클라스프를 이용한 가철성 장치의 사용이 빈번해졌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아크릴릭 레진과 비교했을 때 열가소성 레진은 낮은 굴곡 강도와 탄성률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열가소성 레진으로 제작된 가철성 장치는 파절의 위험이 낮아 의치상이 얇고 가볍게 만들어져 환자들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치가 치아 언더컷에 수동적으로 장착될 수 있어 지대치의 삭제가 최소이거나 거의 없다. 이 증례에서는 경도의 구개인두부전을 가진 44세 여환은 polyester 계열 열가소성 레진으로 제작된 구개거상장치로 치료를 받았다. 환자가 결손치가 없고 보존적인 치료를 원하기 때문에 열가소성 레진을 이용한 가철성 장치가 상대적으로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보였다.

서로 다른 삽입로를 이용한 최소 삭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의 임상 연구 (Modified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s utilizing tooth undercuts: a clinical case study)

  • 도레미;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6-113
    • /
    • 2011
  • 연구 목적: 전통적인 초기의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이 가능한 보존적이고 가역적인 치료를 추구했지만 유지력의 상실이 큰 문제가 되면서 임상적 성공률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여러 연구들 중, 자연 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하여 유지력을 얻는 3-piece형태의 변형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이 제안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변형된 형태의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수복 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임상가들의 상실치 수복을 위한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치아가 상실되어 수복을 요하여 2007년부터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철과에 내원하여 자연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하는 변형된 형태의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 수복 치료를 받은 23명의 환자중 주기적 검사가 가능한 2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 및 방사선 검사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및 결론: 자연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21명증례, 71 unit의 최대 25개월 (평균 7개월)간의 후향적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연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은 단기간의 follow-up 에서 보철물의 탈락, 파절등의 기계적인 실패가일어나지 않았다. 2. 보철물 주변의 치주조직은 비교적 안정되었다. 3. 방사선 사진상 유의성있는 골흡수를 보이지 않았다.

전자 서베잉을 이용한 서베이드 크라운 제작 후 국소의치 수복: 증례보고 (Restoration of partial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fter fabricating of surveyed crowns utilizing electronic surveying: a case report)

  • 민병귀;전대전;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박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135-142
    • /
    • 2017
  • 컴퓨터를 이용한 CAD/CAM milling 방식이 치과 분야에도 적용됨에 따라 보다 분석적이고 정밀한 보철물이 제작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국소의치의 지대치로 사용되는 서베이드 크라운을 제작하는데 있어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정밀함은 국소의치의 삽입철거로와 언더컷 등이 정확하게 부여될 수 있게 한다. 본 증례는 상악의 다수 치아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CAD/CAM을 이용하여 전자 서베잉을 통해 적절한 삽입철거로를 부여하고 지르코니아 서베이드 크라운을 제작하였다. 국소의치의 적합도는 우수했으며, 장착 후 안정성과 착탈 시의 유지력 또한 임상에서 적용하는 데에 문제가 없었다.

RRP 시스템의 피팅수명 (Pitting Life for RRP System)

  • 김창현;남형철;권순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4호
    • /
    • pp.387-39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기존 랙-피니언 시스템의 랙 치형을 핀 또는 롤러로 대체한 롤러 랙 피니언 (RRP) 시스템의 표면피로 향상방안을 고찰하였다. 우선 전위계수(profile shift coefficient)를 고려하여 RRP 시스템의 캠 피니언(cam pinion)에 대한 엄밀 치형설계 방법 및 언더컷 방지 조건을 소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인자의 변화에 따른 하중 및 하중응력계수(load stress factor)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RRP 시스템의 표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전위계수의 증가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복합 레진으로 수복된 세 가지 첨와형태 와동의 파절 저항성에 관한 연구 (FRACTURE RESISTANCE OF THE THREE TYPES OF UNDERMINED CAVITY FILLED WITH COMPOSITE RESIN)

  • 최훈수;신동훈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177-183
    • /
    • 2008
  • 심미성 복합레진은 자연 치질을 보존시키며 나아가 잔존 치질의 강도를 강화시켜 준다. 복합레진 수복시 더 많은 치질을 남기기 위해 첨와 (undercut) 형태의 교합면 치질을 남긴 채 복합레진으로 수복하는 경우가 많으나, 어느 정도 강도가 복원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첨와 형태의 와동을 잔존치질의 두께 (법랑질 /법랑질과 상아질)에 따라 형성하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경우, 수복된 치아의 파절 저항성을 손상이 없는 자연치와 비교 평가하였다. 상악 대구치 40개의 교합면을 편평하게 삭제한 후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각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대상 치아를 각 10개씩 4개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sim}3$군은 실험군으로 모두 협측에 깊이 7 mm, 근원심 폭경 5 mm의 첨와 형태 와동을 형성하였고, 와동저에서 치수각까지의 거리를 약 0.5 mm로 유지하였으며 교합면쪽의 치질 두께를 달리하였다. 1군은 법랑질과 소량의 상아질로 구성된 치질 두께를 1 mm, 2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1.5 mm, 3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2 mm가 되도록 하였고, 4군은 건전한 자연치를 와동형성 없이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두께 측정은 방사선 사진을 스캔한 후 길이 확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와동을 37% 인산으로 산부식한 다음 단일병 접착제 Single $Bond^{TM}$ (3M/ESPE, USA)를 적용하였고 혼합형 복합레진 Filtek $Z-250^{T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적층 충전하였다. 치아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Sof-Lex syste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연마하였다. 이후 자가중합형 레진에 교합면을 기저부에 평행한 상태로 치근부를 매몰한 다음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Z010, Germany)에서 지름 3 mm의 staineless steel rod를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95% 유의 수준의 One-way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와동 형성 후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약 75%의 파절 강도를 보였다. 2. 교합면쪽 잔존 치질의 두께에 따른 파절 저항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첨와 형태의 와동을 수복한 후 파절 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전 치아보다는 강도가 낮았지만, 상부의 잔존 치질이 대부분 법랑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면 건전 치아 파절 강도의 75%까지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복합 레진으로 수복된 세 가지 첨와형태 와동의 파절 저항성에 관한 연구 (FRACTURE RESISTANCE OF THE THREE TYPES OF UNDERMINED CAVITY FILLED WITH COMPOSITE RESIN)

  • 최훈수;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177-183
    • /
    • 2008
  • 심미성 복합레진은 자연 치질을 보존시키며 나아가 잔존 치질의 강도를 강화시켜 준다. 복합레진 수복시 더 많은 치질을 남기기 위해 첨와 (undercut) 형태의 교합면 치질을 남긴 채 복합레진으로 수복하는 경우가 많으나, 어느 정도 강도가 복원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첨와 형태의 와동을 잔존 치질의 두께 (법랑질 / 법랑질과 상아질)에 따라 형성하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경우, 수복된 치아의 파절 저항성을 손상이 없는 자연치와 비교평가하였다. 상악 대구치 40개의 교합면을 편평하게 삭제한 후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각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대상 치아를 각 10개씩 4개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sim$3군은 실험군으로 모두 협측에 깊이 7 mm, 근원심 폭경 5 mm의 첨와 형태 와동을 형성하였고, 와동저에서 치수각까지의 거리를 약 0.5 mm로 유지하였으며 교합면쪽의 치질 두께를 달리하였다. 1군은 법랑질과 소량의 상아질로 구성된 치질 두께를 1 mm, 2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1.5 mm, 3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2 mm가 되도록 하였고, 4군은 건전한 자연치를 와동형성 없이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두께 측정은 방사선 사진을 스캔한 후 길이 확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와동을 37% 인산으로 산부식한 다음 단일병 접착제 Single $Bond^{TM}$ (3M/ESPE, USA)를 적용하였고 혼합형 복합레진 Filtek $SZ-250^{T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적층 충전하였다. 치아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Sof-Lex syste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연마하였다. 이후 자가중합형 레진에 교합면을 기저부에 평행한 상태로 치근부를 매몰한 다음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Z010, Germany)에서 지름 3 mm의 staineless steel rod를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95% 유의 수준의 One-way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와동 형성 후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약 75%의 파절 강도를 보였다. 2. 교합면쪽 잔존 치질의 두께에 따른 파절 저항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첨와 형태의 와동을 수복한 후 파절 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전 치아보다는 강도가 낮았지만, 상부의 잔존 치질이 대부분 법랑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면 건전 치아 파절 강도의 75%까지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백서에서 치아이동 후 보정기간 동안 교합이 치주조직섬유의 재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cclusion on the Reorganization of Periodontal Fibers during Retention Periods after Tooth Movement in Rats)

  • 정권희;박영준;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11
    • /
    • 2003
  • 본 연구는 실험적 치아이동 후 보정기간 동안 교합이 치주조직섬유의 물리적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체중 200g 내외의 Sprague-Dawley계 백서 수컷에서 상악 양측 제1대구치와 2대구치 사이에 교정용 고무줄을 삽입하여 4일 동안 치아를 이동시킨 다음, 각 실험동물의 하악 좌측 제1, 2, 3대구치를 발치하여 우측은 대합치가 있는 교합측으로, 좌측은 비교합측으로 구분하였다. 상악 제1대구치와 2대구치 사이의 인접면에 유지구를 형성하고 광중합형 레진으로 채워 보정을 시행한 후 시작 0일, 4일, 8일, 12일, 16일 또는 20일 경과한 후 백서를 희생시킨 다음, 만능물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상악 제1대구치를 발치할 때 필요한 최대인장강도를 측정 좌우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측은 비보정군에서 보정 4일, 8일, 12일, 16일, 20일군으로 갈수록 최대 인장강도가 증가하였고, 보정 12일군 이후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비교합측은 비보정 군에서 보정 4일, 8일, 12일, 16일, 20일군으로 갈수록 최대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교합측과 비교합측의 최대인장강도를 비교한 결과 보정 8일군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05), 보정 12일군 이후 보정 20일군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는 실험적 치아이동 후 보정기간 동안 교합이 치주조직 섬유의 재형성에 영향을 미침으로 보정장치의 선택, 기간설정 등 보정계획 시 교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회전삽입로 국소의치를 이용한 심미적 상악 전치부 수복 증례 (An Esthetic Restoration of the Missing Maxillary Anterior Teeth with the Rotational Path RPD: A Case Report)

  • 이지혜;임소민;정혜은;박찬진;조리라;김대곤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209-222
    • /
    • 2011
  • 상실된 상악 전치부는 고정성 보철물이나 가철성 보철물 또는 임플란트 보철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수복할 수 있다. 이 중 적절하게 제작된 회전삽입로 국소의치는 경제적, 해부학적 한계를 가진 환자에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 회전삽입로 국소의치는 일반적 국소의치의 일직선 삽입로와는 달리 국소의치의 한 쪽 유지장치부가 먼저 장착된 뒤 회전하면서 반대쪽의 유지부가 삽입되어 의치가 안착된다. 이 때 언더컷 속에 위치하는 견고한 부연결장치에서 유지력을 획득하고 회전삽입로와 평행하게 긴 수로형 혹은 구미형(dovetail) 레스트 시트에서 지지 및 파지를 얻으므로 일반적인 가요성 유지암 및 파지암을 생략할 수 있어 심미적으로 우수하고 위생 관리에도 유리하다. 그러나 회전삽입로 국소의치에서 한번 제작된 견고한 유지부는 정교한 조절이 불가능해 상대적으로 기공작업이 어렵고 정밀한 보철물 디자인이 필요하므로 임상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회전삽입로 국소의치의 원리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이번 증례보고는 회전삽입로 국소의치를 장착한 후 장기적인 유지관리의 어려움을 겪은 증례를 소개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이론적, 기공적 주의사항을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