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dislocatio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3초

탈구된 치아의 부적절한 재식으로 인한 조기접촉의 치험례 (CASE REPORT OF PREMATURE CONTACT BY UNPROPER REDUCTION OF AVULSED TOOTH)

  • 라지영;김대업;양영숙;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
    • /
    • 2005
  • 외상에 의한 영구치의 손상은 유치열에서 영구치열로 이환되는 $8{\sim}10$세 경에 가장 빈발하며, 치아의 파절, 전위 함입, 정출, 탈구 등일 나타난다. 이중 치아가 치조와에서 이탈되는 손상을 받았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원래의 치조와내에 이탈된 치아를 재위치 시키고 고정하여 치유를 도모한다. 본 증례는 원광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2명의 환아로 외상을 받은 후 각각 다른 기관에서 응급처치를 받았으나, 적절히 정복되지 못하여 본원에 내원 시 조기접촉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고정된 치아를 다시 탈구시켜 원래의 치조와내에 재식하고 고정하였다. 적절하지 못한 재식은 지속적인 교합접촉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치유의 지연 및 저작곤란, 부정교합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외상 환자를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응급실이나 의원에서는 외상치의 처치에 대하여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적절한 의뢰가 이루어져야 한다.

  • PDF

Hinge Axis Point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inge Axis Point)

  • 정금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2-78
    • /
    • 1984
  • The notion that the axis of the shaft of the articulator must coincide the patient's mandibular transverse axis tells us the importance of locating the axis precisely. When using kinematic axis to transfer a cast to an articulator, the anatomic asymmetry of the contralateral points will result in certain distortion when the axis transferred to an articulator where the mechanical axis produces symmetry. In this study, after locating the true hinge axis point with Denar hinge axis locator, the discrepancies between true hinge axis point and arbitrary hinge axis point that was 13mm anterior from the posterior margin of center of trangus to the outer canthus of eye were measured. And the discrepancies between left and right true hinge axis point in the superoinferior and anteroposterior directions were measured. For this study, 20 dental students who have no missing teeth and no difficulties of mandibular movement were selected. Upper and lower cast of subjects were mounted on Denar Mark II articulator uisng Denar Slidematic face-bow and centric relation record for the measurement of discrepancies between left and right true hinge axis points.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1. The mean distance from the arbitrary hinge axis point to the true hinge axis point was as follows. Right: horizontal distance; 1.99mm, vertical distance; 2.12mm, linear distance; 3.36 mm. Left: horizontal distance; 1.39mm, vertical distance; 2.06mm, linear distance; 2.09mm. Total: horizontal distance; 1.69mm, vertical distance; 2.09mm linear distance; 3.06 mm. 2. The 87.5% of true hinge axis points were within 5mm of the arbitrary hinge axis point. 3. The mean discrepancies between the right and left hinge axis point were 2.92mm in superoinferior direction and 4.74mm in anteroposterior direction. 4. When transferring the axis to the articulator, anatomic asymmetry between right: and left axis point produces in dislocation of cast on the articulator, and undesirable shift in esthetic tooth position will be resulted.

  • PDF

Treatment of extensive comminuted mandibular fracture between both mandibular angles with bilateral condylar fractures using a reconstruction plate: a case report

  • Lee, Kwonwoo;Yoon, Kyuho;Park, Kwan-Soo;Cheong, Jeongkwon;Shin, Jaemyung;Bae, Jungho;Ko, Inchan;Park, Hyungk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0권3호
    • /
    • pp.135-139
    • /
    • 2014
  • This following case report describes the open reduction, internal fixa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an extensive comminuted mandibular fracture with bilateral condylar fractures in a 19-year-old male patient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tic disorder. He suffered fall trauma, resulting in shattered bony fragments of the alveolus and mandibular body between both mandibular rami, the fracture of both condyles and the avulsion or dislocation of every posterior tooth of the mandible. The patient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between both mandibular rami using a reconstruction plat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shattered fragments using miniplates and screws, and the closed reduction of the bilateral condylar fractures.

Unilateral maxillary central incisor root resorpt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for Angl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ith significant maxillary midline deviation: A possible correlation with root proximity to the incisive canal

  • Imamura, Toshihiro;Uesugi, Shunsuke;Ono, Takash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6-226
    • /
    • 2020
  • Root resorption can be caus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contact with the cortical bone. Here we report a case involving a 21-year-old female with Angl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ho exhibited significant root resorption in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he patient presented with significant left-sided devia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due to lingual dislocation of the left lateral incisor and a Class II molar relationship. Cephalometric analysis demonstrated a Class I skeletal relationship (A point-nasion-B point, 2.5°) and proclined maxillary anterior teeth (upper incisor to sella-nasion plane angle, 113.4°). The primary treatment objectives were the achievement of stable occlusion with midline agreement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itions and appropriate maxillary anterior tooth axes and molar relationship. A panoramic radiograph obtained after active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root resorption in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therefore, we performe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which confirmed root resorption along the cortical bone around the incisive canal. The findings from this case, where different degrees of root resorption were observed despite comparable degrees of orthodontic movement in the bilateral maxillary central incisors, suggest that the incisive canal could be an inducing factor for root resorption.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confirm this assumption.

테트라싸이클린에 의한 백서 치아의 색상 및 구조 변화 (TOOTH COLOR AND STRUCTURE CHANGES INDUCED BY TETRACYCLINE IN RAT)

  • 신동훈;조용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2호
    • /
    • pp.664-676
    • /
    • 1996
  • 테트라싸이클린에 의한 치아 변색은 심미성을 고려한 임상 치료시 커다란 난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백서 치아에 테트라싸이클린을 주입하여 야기되는 색상과 구조적인 변화도를 측정하여 향후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4 마리의 백서를 각기 8 마리씩 3 군으로 분류하여 대조군은 정상적인 사육을 식염수군은 TC군과 동량의 식염수를 주사하였으며 TC군은 12 ml에 용해시킨 60 mg의 테트라싸이클린을 복강내로 2 주간 주입하였다. 최종 주입후 1 주간 정상 사육한 다음 cervical dislocation법에 의해 희생시켜 시편을 채득한 후 각 치아를 횡단하여 실물현미경과 FlexCam을 이용하여 컴퓨터에 영상을 저장한 다음 색 변화량을 Adobe Photoshop으로 측정하였으며 구조변화는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였다. 치아색 변화량의 유의성 검정은 ANOVA와 Scheffe test를 이용하였으며 본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군의 $a^*$ 수치는 대조군 -6.12 (1.18), 식염수군 -8.00 (1.33), TC군 -18.56 (2.52)로 나타났으며 $b^*$ 수치는 대조군 1.12 (2.13), 식염수군 1.62 (1.45), TC군 28.67 (5.18)을 보였다. 즉 테트라싸이클린에 의해 $a^*$$b^*$의 수치가 유의성있게 (p<0.01) 초록색과 노란색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2. 테트라싸이클린에 의해 치경부 법랑질 외면이 검게 변색되었으며 울퉁불퉁한 양태로 변화되었다. 그러나 법랑소주의 형태, 방향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각 군간 상아세관의 수, 방향, 크기등이 차이가 없었다. 치수측에서의 관찰결과 대조군과 식염수군에서는 상아세관들의 입구가 크고 명확하게 보인 반면 TC군에서는 입구가 좁고 부분적으로 막힌 양태도 관찰되었다.

  • PDF

저위교합 유구치에서의 공간확장술을 이용한 외과적 접근 (SURGICAL APPROACH TO THE INFRAOCCLUDED TEETH BY USING SPACE REGAINING TREATMENT)

  • 방석윤;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31-536
    • /
    • 2005
  • 저위교합이란 능동적 맹출기 동안이나 이후 해당치아의 교합면 방향으로의 성장이 멈추어 다른 치아들보다 하방에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저위교합치의 결과로 침하치의 만기잔존, 부정교합, 증가된 치아우식 감수성과 치주질환의 가능성, 계승치의 이동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조기진단 및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저위교합치의 치료는 저위교합 정도나 후속 영구치의 발육정도에 따라 보존에서 발치까지 다양하다. 영구 계승치가 없거나 부분적인 침하치가 치주적으로 건전한 경우, 공간문제를 발생하지 않는 경우 보존적인 접근이 추천되기도 한다. 그러나 계승치가 존재하고 맹출이 지연되는 경우, 국소적인 염증반응과 관련되는 경우, 교정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발거가 필요할 수도 있다. 특히 저위교합된 유구치의 상방으로 인접치가 경사되어 악궁장경에 문제를 초래할 위험이 있는 경우 외과적인 발치가 필요할 수도 있으며 경사가 심한 경우 발치를 위한 외과적 접근이 힘들 수 있다. 심하게 경사된 인접치로 인하여 저위교합치의 외과적 발거가 힘든 환아에서 가철성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공간확보를 선행하였으며 보다 용이하게 치아를 발거할 수 있었다.

  • PDF

어린이의 외상성 치아손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umatic Teeth Damage of Children)

  • 유수민;박호원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25
    • /
    • 2004
  • 현대사회에서는 생활환경의 변화와 교통사고의 증가에 의해 해마다 소아의 외상의 증가하고 있는데 구강조직에 대한 외상성 손상을 완전히 치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외상성 치아손상에 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외상처치와 예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강릉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2000년 10월 4일부터 2004년 2월 27일까지 외상을 주소로 내원한 1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성별에서는 2.05:1의 비율로 남자의 경우가 외상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평균 연령은 남자 5.27세, 여자 5.27세로 차이가 없었고, 전체 연령중 2세에서 외상환자가 제일 많았다(21.2%) 2. 외상부위별 내원기간을 조사한 결과 유치는 당일(34.4%)에 내원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영구치는 1일 후(38.8%)에 내원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3. 외상부위별 치아손상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넘어진 경우가 유치 59.4%, 영구치 55.1%, 물체에 부딪친 경우 유치 26.6%, 영구치 26.5%로 나타나 대부분 넘어지거나 부딪쳐서 외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성별에 따른 치아손상이 발생한 장소는 가정인 경우가 남자 42.1%, 여자 35.1%로 남녀모두 가정에서 외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외상부위에 따른 치아손상 발생한 장소로는 유치는 가정(59.4%)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영구치는 유치원 및 학교(28.6%)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5. 외상부위에 따라 치아손상을 받은 치아의 수를 분석한 결과 유치는 2개(56.3%), 1개(31.3%), 3개와 4개 이상 각각(6.3%),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구치는 2개(46.9%), 1개(28.6%) 4개 이상(16.3%), 3개(8.2%) 순으로 영구치인 경우 4개 이상인 경우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6. 성별에 따른 치아손상이 발생한 부위로는 남자 유치 56.6%, 영구치 43.4%, 여자 유치 56.8%, 영구치 43.2%로 남녀 모두 유치에서 외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7. 유치와 영구치의 치아손상부위는 상악 전치부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유치(75%)와 영구치(63.8%) 모두 상악 중절치에서 외상율이 높게 나타났다. 8. 전체적인 외상성 치아손상에 따른 외상종류의 조사결과는 동요 30.2%, 치관파절 28.0%, 함입 14.7%, 진탕 8.9%, 완전 탈구 7.1%, 정출 2.2%, 변위 1.8%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와 영구치별로 외상성 치아손상의 종류를 분류하였을 때 유치는 동요(35.8%)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파절에서 치관파절은 영구치(44.8%)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9. 외상부위에 따른 외상성 치아손상처치는 처치없이 경과관찰을 한 경우가 유치는 43.2%, 영구치 38.9%로 나타났으며, 치료한 경우 유치는 치수절제술(22.0%), 영구치는 임시적산부식레진수복(19.5%)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