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REPORT OF PREMATURE CONTACT BY UNPROPER REDUCTION OF AVULSED TOOTH

탈구된 치아의 부적절한 재식으로 인한 조기접촉의 치험례

  • Ra, Ji-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
  • Kim, Dae-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
  • Yang, Yong-So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
  • Lee, Kwang-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 라지영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원광치의학연구소) ;
  • 김대업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원광치의학연구소) ;
  • 양영숙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원광치의학연구소) ;
  • 이광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원광치의학연구소)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Injury of permanent teeth by trauma usually occurs to $8{\sim}10\;years$ old children, in mixed dentition. Fracture, dislocation, intrusion, extrusion, avulsion are the common types of trauma in teeth. The injuries which teeth are dislocated from the alveolar sockets can be treated by reduction and fixation. In this case report two children visited Wonkwang University Dental Hospital after the emergency treatment of tooth injury by other medical institutes. In these cases the injured teeth were not reducted properly and showed premature contact. So the teeth were dislocated from the alveolar sockets intentionally and fixed again in the proper position. Unproper reduction can cause premature contact, delay of healing, difficulty of mastication, and malocclusion. For this reason emergency rooms or local dental clinics where patients with dental trauma can be examined first, must know well about the treatment procedure of the injured teeth and should be consulted to the profession when necessary.

외상에 의한 영구치의 손상은 유치열에서 영구치열로 이환되는 $8{\sim}10$세 경에 가장 빈발하며, 치아의 파절, 전위 함입, 정출, 탈구 등일 나타난다. 이중 치아가 치조와에서 이탈되는 손상을 받았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원래의 치조와내에 이탈된 치아를 재위치 시키고 고정하여 치유를 도모한다. 본 증례는 원광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2명의 환아로 외상을 받은 후 각각 다른 기관에서 응급처치를 받았으나, 적절히 정복되지 못하여 본원에 내원 시 조기접촉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고정된 치아를 다시 탈구시켜 원래의 치조와내에 재식하고 고정하였다. 적절하지 못한 재식은 지속적인 교합접촉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치유의 지연 및 저작곤란, 부정교합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외상 환자를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응급실이나 의원에서는 외상치의 처치에 대하여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적절한 의뢰가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