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ngyeong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29초

통영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별망둑(Chaenogobius gulos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Chaenogobius gulosus in the Coastal Waters of Tongyeong, Korea)

  • 백근욱;박찬일;정재묵;김무찬;허성회;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8
    • /
    • 2010
  • 통영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별망둑 (Chaenogobius gulosus)의 식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2008년 10월에서 2009년 9월까지 채집된 333개체의 별망둑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별망둑의 체장범위는 표준체장 (SL) 2.0 ~ 12.6cm 이다. 별망둑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별망둑은 잡식성 어류로 구멍갈파래 (Ulva pertusa) 같은 해조류 (Seaweed)와 게류 (Brachyura)와 복족류 (Gastropoda)를 주로 섭식하였다. 그 외 이매패류 (Bivalvia), 갯지렁이류 (Polychaeta), 곤충류 (Hexapoda), 새우류 (Macrura), 곤쟁이류 (Mysideacea), 단각류 (Amphipoda) 등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체장 6cm 미만의 작은 개체는 복족류를 많이 섭식하였다. 그러나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복족류의 비율은 감소하였고, 해조류의 섭식이 증가하였다. 별망둑 위내용물은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해조류는 다른 계절에 비하여 봄과 여름에 더 많이 섭식되었다.

통영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돌가자미(Kareius bicoloratus)와 줄가자미(Clidoderma asperrimum)의 위내용물 조성 (Stomach Contents of the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and Roughscale Flounder, Clidoderma asperrimum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 남기문;허성회;허유심;정재묵;김현지;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63-168
    • /
    • 2013
  • 통영주변해역에서 2010년 1월부터 8월까지 낚시, 자망 그리고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돌가자미 102개체와 줄가자미 101개체를 채집하고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위내용물 분석 결과 돌가자미는 이매패류와 어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줄가자미는 거미불가사리류가 위내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저서성 육식어류로 나타났다. Prey-specific abundance 분석 결과 다른 가자미과 어류들과 비교하여 깊은 수심에 서식하는 돌가자미와 줄가자미는 각각 이매패류와 거미불가사리류에 섭식이 특화된 specialist predator로 나타났다. 돌가자미와 줄가자미는 같은 지역에 출현하는 유사종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먹이경쟁을 피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식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Inte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around the Season of Red Tide Outbreak off the Coast of Tongyeong Area, 2002)

  • 강양순;권정노;손재경;정창수;홍석진;공재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15-521
    • /
    • 2003
  • To understand interrelations between water qual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around the season of red tide outbreak,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10 times off the coast of Tongyeong from July to September in 2002. Because of heavy rain for 10 days,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changed and differed from the previous year, sustaining high nutrients and low salinity. During the surveyed period 48 species of 29 genera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and diatom and dinoflagellate was $51.8\%\;and\;38.0\%,$ respectively, At the time of bloom, cell counts of C. polykrikoides were outstanding but the number of species remarkably decreased. There were striking differences in dominant species among research stations before the bloom. Diatoms were the most dominant group in the whole study area in that period. Diversity and evenness index were highest just before outbreak of the red tides (2 Aug, 2002). During the bloom (4 Aug.), it decreased to the lowest value and then began to increase slowly. The result of PCA on water quality vs phytoplankton biomass showed that the land loads of nutrient may be the main cause of summer rally of phytoplankton biomass.

통영 가두리 양식장 인근 해역에서의 해양환경 특성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Coastal Area Surrounding Tongyeong Cage-Fish Farms)

  • 장유리;이효진;문효방;이원찬;김형철;김기범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4-80
    • /
    • 2015
  • 통영 연안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의 환경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13년 7월부터 12월까지 통영 주변 10개 정점에서 해수와 퇴적물 내의 pH, 용존산소(DO), 용존무기질소(DIN), 용존무기인(DIP),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산휘발성물질(AVS)에 대해 분석하였다. 양식장 주변 해수의 수질항목들은 계절별에 따른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며, 퇴적물 속 COD와 AVS를 분석한 결과 수질항목과는 달리 어장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조사지역에서 반폐쇄성 만에 위치하고 있는 어장 활동에 의해 오염된 유기퇴적물이 비교적 빠른 유속으로 인해 주변 해역으로 분산된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 통영 연안의 계절적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the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Tongyeong Coast, Korea)

  • 박미선;유현일;허진석;김영대;최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32-739
    • /
    • 2011
  •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examined at four sites at Tongyeong, Korea,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9. Eighty-two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0 green, 25 brown, and 47 red algae.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st at the Dukpo (61 species) site followed by the Gajodo (60 species), Yepo (58 species), and Chilchundo (53 species) sites. Seaweed biomass ranged from 578.11 to 678.26 g, with the maximum and minimum at Chilchundo and Yepo, respectively. Dominant species in term of biomass were Sargassum thunbergii at Yepo, Dukpo, and Gajodo and Gelidium amansii at Chilchundo. The vertical distribution from the high to low intertidal zone was Sargassum thunbergii and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 and Ulva linza; Ulva pertusa, Sargassum fulvellum, and Gelidium amansii. Two groups clearly segregated in a cluster analysis, a Yepo/Dukpo group (group A) and a Gajodo/Chilchundo (B), indicating relatively strong differences in similarity. Th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of group A was characterized by higher biomass and higher species richness of brown algae than were observed in group B. Additionally, the biomass ratio and the species richness of green algae was lower in group A. These differences in seaweed community structure may have been resulted from the effects of cold effluents.

한국산과 일본산 넙치의 체지방량 및 혈청지질 비교 (Comparison of Body Fat Content and Lipid in Serum in Cultured Flounder in Korea and Japan)

  • 박미연;槌本六良;橘勝庚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3-200
    • /
    • 2007
  • 한국산(통영, 여수)과 일본산(나가사키)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체지방량 및 혈청지질을 분석한 결과, 표준체장과 체중의 평균치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장을 제외한 상대적인 체중에서는 나가사키산>여수산>통영산 넙치의 순위로, 일본산 넙치가 한국산 넙치에 비해 체중이 많았으며, 어체 밀도의 평균치에서는 국가간, 지역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체구성 성분은 일본 나가사키산의 넙치가 한국의 여수, 통영산 넙치에 비해 체수분량이 적었고, 체지방량과 체단백질량은 많았다. 그러나 체장의 요인을 제외하고 비교하면, 체수분량, 체지방량, 체단백질량은 각각 나가사키산>여수산>통영산 넙치의 순서로 많았고, 일본산이 한국산에 비하여 근육량도 많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혈청중의 지질량에서, cholesterol양은 여수산 넙치가 많았고, triglyceride 양은 나가사키산 넙치에서 많았다. 또한, 혈청중의 lipoprotein은 전기영동상에서 나가사키산 넙치가 통영산 넙치에 비하여 LDL이 더 많았다.

통영 연안에 출현하는 쏨뱅이 (Sebastiscus marmora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corpion Fish, Sebastiscus marmoratus, in the Coastal Waters of Tongyeong, Korea)

  • 백근욱;여영미;정재묵;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8-134
    • /
    • 2011
  • 경남 통영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쏨뱅이(Sebastiscus marmoratus) 324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쏨뱅이의 표준체장(SL)은 9.8~30.1 cm 범위였다. 쏨뱅이의 위 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쏨뱅이는 멸치(Engraulis japonicus), 청어(Clupea pallasii), 망둑어류(Gobiidae)와 같은 어류(Pisces)를 주로 섭식하는 어식성어류였으며, 어류 중에서 멸치를 가장 선호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새우류(Macrura)와 게류(Brachyura)를 섭식하였으며, 그 외에 집게류(Anomura), 갯지렁이류(Polychaete), 이매패류(Bivalvia),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를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체장이 16 cm 이하의 개체는 새우류와 게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새우류와 게류의 비율은 체장 증가에 따라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점점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19 cm 이상의 개체에서는 위 내용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쏨뱅이의 위 내용물을 계절에 따라 유의하게 변하였다. 어류는 여름, 가을, 겨울에 중요한 먹이생물인 반면 게류와 새우류는 봄에 주로 섭식되었다.

윈드터빈 자연환기 장치의 외기풍속 및 온도차에 따른 환기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entilation Characteristics of a Wind-Turbine Natural Ventilator According to the Outdoor-Wind Velocity and the Indoor/Outdoor-Temperature Difference)

  • 한동훈;김영식;정한식;정효민;최순호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175-184
    • /
    • 2017
  •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the ventilation for the mitigation of indoor or outdoor air-pollution problems has recentl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Consequently, the ventilation for the supply of outdoor fresh air into a room is treated as an important building-design factor. The ventilation is generally divided into the forced and natural types; here, the former can control the ventilation rate by using mechanical devices, but it has the disadvantages of the equipment costs, maintenance costs, and noise generation, while the latter is applied to most workshops due to the absence of noise and the low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In this experimental study, the ventilation performance of a typical rotating-type natural ventilator, which is called a "wind turbine," was investigated with the outdoor-wind velocity and the indoor/outdoor-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experiment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10^{\circ}C$ corresponds to the ventilation driving force with an outdoor-wind velocity of 1.0 m/s. Additionally, the intake-opening area of a building also exerts a great effect on the ventilation rates.

해양 교란생물로 인한 굴과 우렁쉥이 양식장의 피해 현황 조사 (Monitoring and Impact of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on an Oyster and Sea Squirt Farm)

  • 박주언;이택준;김동현;김필재;김동건;신숙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677-683
    • /
    • 2017
  • The Korean aquaculture industry was generally began in the 1970s and has gradually increased. Now, the number of households is about 7,068 and the scale of an aquaculture farm is about 248,014 ha; the value of all production in the industry is estimated to be about 1602.2 billion won. The aquaculture industry is very valuable and important for future food resources. However, the aquaculture industry was damaged by several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The Ascdiella aspersa colonized on the shell of scallop and then scallops were detached from rope. The patterns of damage in the aquacultures were observed in Tongyeong (oyster), Geojedo (oyster), and Gangneung (sea squirt) in June, 2017, as well as in Tongyeong (oyster) in November, 2017 by SCUBA divers. The species Halichondria bowerbanki, Bugula neritina, Mytilus galloprovincialis, Balanus amphitrite, Ascidiella aspersa, Ciona intestinalis, Didemnum sp, Styela plicata in Tongyeong, M. galloprovincialis, A. aspersa, C. intestinalis, D. vexillum, S. plicata in Geojedo, and M. galloprovincialis in Gangneung were all usually found in their farms. The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gave rise to a reduced number of aquaculture products.

고성 및 통영 일대 무인도서의 생태보전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on Uninhabited Island in Goseong-gun and Tongyeong-si, Korea)

  • 김장수;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1-83
    • /
    • 2013
  • 이 연구는 무인도서의 생태보존권역 설정을 위하여 지형경관을 평가하고 등급화 하였다. 이를 위해 고성군 및 통영시 지역에 산재한 14개 무인도서를 현지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지역의 무인도서는 절대보전지역(I), 보존지역(II), 준보존지역(III), 이용가능지역(IV)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절대보전지역(I)으로 평가된 도서는 안장섬(마안도), 밤섬, 샛개끝, 대섬(죽도), 딴독섬 등 5개이며, 보존지역(II)으로 평가된 무인도서는 만아섬, 육섬, 나비섬, 소치섬, 용두도, 대호도, 잠도, 화도 등 8개이며, 준보존지역(III)으로 평가된 무인도서는 괴암섬 1개 이며, 이용가능지역(IV)으로 평가된 무인도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절대 보존지역 및 보존지역으로 선정된 도서는 지형경관 자원이 우수해 훌륭한 자연학습장 또는 야외연구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