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darodes pacificu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1초

Scopolamine으로 유발한 치매유도 쥐에 대한 저염 오징어 (Todorodes pacificus) 젓갈의 인지 및 기억손상의 개선효과 (Low-salt Todarodes pacificus Jeotgal improves the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 Scopolamine-induced Dementia Rats)

  • 허진선;김종복;조순영;손기호;최종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5-203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effect low salt (2 or 4% salt) concentrations jeotgal made from Todarodes pacificus on the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 scopolamine-induced (2 mg/kg, i.p.) dementia rats. Rats treated with oral BF-7 (200 mg/kg, p.o.) as a positive control and Todarodes pacificus jeotgal had significantly reduced scopolamine-induced memory deficits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The Morris water maze test or treatment with 2% salt jeotgal made from Todarodes pacificus significantly ameliorated the scopolamine-induced memory deficits in the formation of long- and short-term memory. The acetylcholine content and acetylcholinesterase acitivity paralleled the results of the behavior experi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rain acetylcholine cont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s, while the brain acetylcholine content of the group treated with 2% salt Todarodes pacificus jeotga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inhibitory effect of 2% salt jeotgal made from Todarodes pacificus on the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the brain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se trend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gamma-aminobutyric acid content. We suggest that Todarodes pacificus jeotgal enhances learning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by regulating cholinergic enzymes.

한국 연근해산 두족류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망막 (Retina)의 미세구조 I (Fine Structure of Retinae of Cephalopods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Inhabiting the Korean Waters I)

  • 한종민;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1호
    • /
    • pp.17-30
    • /
    • 2002
  • 살오징어 (Todarodes pacif icus)와 서해낙지 (Octopus minor)의 망막은 외절부, 간상기저부, 내절부 그리고 망상층 등 4개의 층으로 구분되었고, 망막의 두께는 오징어 ($385{\sim}400{\mu}m$)에서보다 낙지 ($400{\sim}420{\mu}m$)에서 $20{\mu}m$ 정도 더 두터웠다. 망막은 시각세포와 지지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서해낙지의 지지세포 상단에는 미세융모 (길이 $0.6{\sim}0.7{\mu}m$)가 밀생된데 비해 살오징어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망막을 구성하는 시각세포와 지지세포들은 광선을 차단하는 색소과립들을 소지하고 있었는데, 살오징어인 경우 시각세포의 색소과립(크기, $2.0{\times}0.5{\mu}m$ 정도)이 지지세포의 색소과립 (크기, $1.0{\times}0.3{\mu}m$ 정도)에 비해 컸으나, 서해낙지에서는 두 세포간 색소과립의 크기 ($0.8{\times}0.6{\mu}m$ 정도)가 비슷하였다. 시각세포의 세포질 상단부에서 빗살모양의 미세융모들이 정육각형 구조 (직경, 60 nm)인 rhabdome을 형성하였는데 한 개의 rhabdome은 4개의 rhabdomere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rhabdome의 총 단면적은 서해낙지가 살오징어에 비해 두 배정도 컸다. 망상층을 구성하는 연접체는 살오징어인 경우 전자밀도가 높은 핵을 포함하는 소포 (electron dense-core vesicle)와 전자밀도가 낮은 소포 (electron lucent vesicle)들로만 형성된 연접체 등 두 종류를 소지한 반면, 서해낙지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소포(electron dense vesicle)와 전자밀도가 낮은 소포들이 혼합된 형과 전자밀도가 낮은 소포들로만 이루어진 연접체 등 두 종류를 소지하고 있어 두 종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한국 동해에 출현하는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Common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 Sea, Korea)

  • 박현솔;진수연;김소라;김중진;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1052-1057
    • /
    • 2021
  • The diet composition of common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was studied using 1,084 specimens collected through trawl and jigging from June 2018 to June 2020 in the East Sea of Korea. The mantle length (ML) of the collected individuals ranged from 13.6 to 31.1 cm. Todarodes pacificus is a carnivore. In the study area, T. pacificus was observed feeding mainly on fish and cephalopods, in addition to small quantities of crustaceans. The calculated trophic level value for T. pacificus was 4.10. Small individuals (ML, <18.0 cm) mainly fed on cephalopods, while intermediate (ML, 18.0-23.0 cm) and large (ML, ≥23.0 cm) individuals fed mainly on fish and occasionally on cephalopods. Overall, as the body size of T. pacificus increased, the mean weight of the consumed prey increased (one-way ANOVA, P<0.05).

한국 남해산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아니사키스 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of Todarodes pacificus (Mollusca: Cephalopoda) with Anisakid Larvae in the South Sea, Korea)

  • 전계식;김세화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7-202
    • /
    • 1995
  • 1994년 7월과 8월에 구입한 남해산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272개체 로부터 45개체의 아니사키스 유충이 채집되어 7.72%의 유충 감염을 보였다. 형태 및 크기를 바탕으로 유충의 종류 및 내장, 근육 등 어체 부위별 감염상황을 조사 한 결과 유충의 길이는 7.0~22.8 mm 이었으며 Anisakis type I 23개체(51.0%: 회수율), Anisakis type II 3개체(6.7%), Contracaecum A 9개체(20.0%), Contracaecum D 4개체(9.0%) 및 불명 6개체(13.3%)로 분류되었다. 아니사키스 유충은 남해산 T. pacificus의 근육과 내장에 주로 기생하고 있었다.

  • PDF

주문진 어시장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아니사키스 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of Todarodes pacificus (Mollusca: Cephalopoda) with Anisakid Larvae in the Markets from Jumungin)

  • 전계식;김세화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권1호
    • /
    • pp.55-57
    • /
    • 1996
  • 1995년 11, 12월에 동해안 주문진 어시장에서 구입한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248개체중 34개체로부터 116개체의 아니사키스 유충이 채집되어 13.7% 의 유충 감염율을 나타내었다. 형태 및 크기를 바탕으로 유충의 종류 및 근육, 내장, 망 등 어체 부위별 감염상황을 조사한 결과 유충의 길이는 13.5-29.5 mm 이었으며 Anisakis type I이 68개체 (58.6%:회수율), Contracaecum type A 5개 체 (4.3%), Anisakis type II 17개체 (14.6%), Contracaecum type D 8개체 (7.0%) 및 불명 18개체 (15.5%)로 분류되었다.

한국 연근해산 두족류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시엽 (Optic lobe)내 Serotonin 및 Somatostatin의 분포에 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Immuno-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the Localization of Serotonin and Somatostatin in the Optic Lobes of Cephalopods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Inhabiting the Korean Waters)

  • 장남섭;한종민;김상원;이광주;황선종;이정찬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47-255
    • /
    • 2002
  • 두족류 Octopus minor와 Todarodes pacificus의 시엽내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neuron의 특성 및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serotonin 및 somatostatin의 항체를 사용한 면역염색과 면역금표지법을 시행하였다. 면역염색 결과 항-somatostatin은 살오징어인 경우 항-serotonin 면역반응과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서해낙지에서는 외과립세포층의 큰 세포에서만 반응을 보였다. 항-serotonin을 이용한 면역금표지법은 살오징어인 경우 내과립세포층과 수질부의 신경세포에서는 세포질 $0.5{\mu}m^2$당 30개 정도의 금입자가 관찰되어 강한 반응을 보인 반면, 서해낙지에서는 17개 정도의 비교적 약한 반응을 보였다. 항-somatostatin에서는 살오징어의 외과립 및 내과립세포층 그리고 수질부의 반응된 세포의 세포질 $0.5{\mu}m^2$당 30개 정도의 금입자가 관찰되어 강한 반응을 보인 반면, 서해낙지의 외과립세포층의 세포에서는 3개 정도의 금입자만이 관찰되어 역시 약한 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이 시엽의 각 부위별 면역염색과 면역금표지법을 시행한 결과 2종류의 항체에 각각 양성반응을 보인 신경세포들이 두 종에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했는데 특히 면역염색과 면역금표지법에 관한 반응외 정도를 비교하면 서해낙지에 비해 살오징어에서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다.

동해산 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기생충 감염 예 (Infection Example of Parasites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 김영혜;강용주;박주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34-536
    • /
    • 1999
  •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was infected by parasites. The parasites may be infective to humans if common squid are eaten raw as 'sashimi' or 'sushi'. The species of the parasites in host, T. pacificus were Tentacularia sp., Orygmatobothrim sp. and Ponocaecum sp.. The prevalence, relative density and mean intensity of three parasites were $100.00\%$, 24.13 and 24.13 respectively.

  • PDF

동해와 서해의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회유 및 분포에 관한 고찰 (Review of Migr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East Sea and the Yellow Sea)

  • 김윤하;정해근;오승용;김현우;이충일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4-21
    • /
    • 2019
  • 본 리뷰는 한국의 중요한 수산자원인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동해와 서해 어획량 변동 원인을 살오징어 난/자치어 수송부터 회유경로 및 어장 분포에 관점으로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살오징어 어획량은 1980년 이후 기후체제전환에 따라 변화가 있어 왔으며 이는 동해와 서해의 어획량 변동 경향이 달랐다. PDO (Pacific Decadal Oscillation)는 동해로 유입되는 난류 수송량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데 PDO가 양의 위상이었던 1980s에는 서해에서는 어획량이 많았고 동해에서는 어획량이 적었다. 반면, PDO가 음의 위상이었던 1990s년대에는 동해 어획량이 많고 서해에서는 적었다. 이는 살오징어가 난류를 따라 북상하거나 난류를 거슬러 남하회유를 하는 생활사에 기인된다. 동해의 경우, 난류가 강(약)할 때, 난류경로가 한국의 동해 연안 쪽(동해 중부 해역 및 일본 연안 쪽)으로 치우치게 되는데 이는 PDO가 양의 위상이었던 1980년대에 어장이 울릉도 동편에 위치하였던 반면 PDO가 음의 위상이었던 1990년대에 어장이 동해 연안에 위치한 것과 관련있다. 서해 살오징어 어획량이 증가한 1980년대에는 동해로 유입되는 난류수 수송량이 감소한 반면 서해로 유입되는 난류수는 증가하였으며 이는 서해로 수송되는 유생의 양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한국 동해의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어장변화 및 풍도와 동물플랑크톤 분포와의 관계 (Change in the Fishing Groun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undance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and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East Sea)

  • 황강석;강수경;오택윤;최광호;이동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3-179
    • /
    • 2012
  •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s a dominant species in Korean waters, where it is captured preponderantly by the angling fishery. The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of $T.$ $pacificus$ extend from the southern East Sea to the northern East China Sea. Consequentl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is area during the spawning and nursery seasons might affect the abundance of $T.$ $pacificu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and the abundance of $T.$ $pacificus$ and variation in the squid angling fishing grounds in Korean water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luctuations in zooplankton and the catch per unit effort (CPUE; $kg{\cdot}day^{-1}{\cdot}person^{-1}$) of the angling fishery in the East Sea of Korea. The main fishing season is from July to December and the CPUE was closely related to the zooplankton biomass in April in the East Sea. Recently, the center of the squid jigging ground has moved drastically from the area around Ulleung Island to the northern East Sea. We postulate that the fishing grounds of the squid angling fishery will move farther north with climate change.

한국 연근해산 두족류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시엽내 Dopamine 및 $Calbindin-D_{28K}$의 분포에 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Immuno-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Dopamine and $Calbindin-D_{28K}$ in the Optic lobes of Cephalopods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inhabiting the Korean waters)

  • 한종민;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2호
    • /
    • pp.175-183
    • /
    • 2002
  • 한국 연근해산 살오징어와 서해낙지의 시엽에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neuron의 특성 및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rabbit anti-dopamine (TH)과 rabbit anti-calbindin-$D_{28K}$ 등의 항체를 이용한 면역염색과 면역금지법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항-dopamine을 사용한 면역염색 결과 살오징어에서는 외과립세포층 상단에 위치한 대형 무축삭세포와 수질부의 섬을 이루는 세포들 중 $2{\sim}3$개의 비교적 소량의 세포만이 양성반응을 보인 반면, 서해낙지에서는 외과립세포층 상단 및 중간 부위의 $2{\sim}3$개의 세포와 수질부섬을 이루는 5개 이상의 세포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항-calbindin-D28k인 경우는 살오징어의 외과립세포층 상단에 위치한 $2{\sim}3$개의 소형 무축삭세포와 내과립세포층 하단에 위치한 $1{\sim}2$개의 세포에서 양성반응을 보인 반면, 서해낙지인 경우는 외과립세포층에서 4개 정도의 세포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내과립세포층에서는 반응을 확인할 수 없었다. 면역금지법을 시행한 결과 살오징어에서는 항-dopamine과 항-calbindin에 면역반응을 보인 세포들의 세포질 $0.5{\mu}m^2$$17{\sim}26$개 정도의 비교적 많은 수의 금입자가 표지된 반면, 서해낙지에서는 세포질 $0.5{\mu}m^2$당 평균 10개 정도인 소량의 금입자만이 표지되어, 살오징어가 서해낙지에 비해 표지된 금입자가 거의 2배 정도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