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n7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26초

플라스틱 러빙처리된 TN셀의 전기광학 특성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n the rubbing-aligned plastic Twisted Nematic cell)

  • 남기형;황정연;김종환;서대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제6회 학술대회 논문집 일렉트렛트 및 응용기술연구회
    • /
    • pp.18-22
    • /
    • 2004
  • We have investigated the generation of pretilt angle for a nematic liquid crystal (NLC) alignment with rubbing alignment method on polyimide surfaces using thin plastic substrates. It was found that monodomain alignment of NLC is obtained with rubbing alignment method on polyimide surfaces using thin plastic substrates. The NLC pretilt angles generated are about $3^{\circ}$ by the rubbing alignment method on thin plastic substrates, However, the pretilt angle are at about $1.7^{\circ}$ lower on the glass substrate than on thin plastic substrate. Also, EO characteristics of the TN-LCD with a rubbed PI surface based on polymer are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TN-LCD with a rubbed PI surface based on glass. However, the transmittances of the TN-LCD with a rubbed PI surface based on polymer is less than that with a rubbed PI surface based on glass.

  • PDF

한국 남서해안 도암만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특성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from Doam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조형찬;조영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0권4호
    • /
    • pp.159-168
    • /
    • 2015
  • 한국 남서해 연안의 도암만에서 44개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총유기탄소(TOC), 총질소(TN) 및 중금속(Al, Fe, Mn, Cr, Cu, Ni, Pb, Zn)을 분석하였으며, 11개 시료에 대해서는 화학적 존재형태별 분석을 병행하였다. TOC(0.32~3.10%), TN(0.03~0.26%)은 주변 해역의 평균 수준이었고, C/N 비(7.9~11.9)에 근거할 때 육상기원 유기물의 영향이 반영된 일부 지역이 구분되었다. 중금속 함량은 대부분의 정점에서 해양퇴적물 주의기준(TEL) 이하였고, 화학적 존재형태별 함량은 광물격자부분에서 Cr, Cu, Ni 등이, 비광물격자부분에서 Mn, Pb가 총량의 절반을 상회하였다. 연구지역의 중금속 배경농도를 누적빈도곡선과 선형회귀분석에 의해 추정한 결과 Cu=11.8, Ni=23.1, Pb=26.8, Zn=76.6, Cr=56.7, Mn=585 mg/kg으로 계산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농축지수($I_{geo}$)에 근거해 국지적인 Mn 농축의 징후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농축지수와 존재형태비를 고려할 때 Zn, Pb도 환경변화에 따른 용출 가능성이 추정되었다.

HSPF 유역모형을 이용한 주암댐 유역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효과 분석 (Analysis of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sources pollution facility in Juam dam watershed using HSPF model)

  • 이혜숙;최광순;정선아;김동섭;이승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8-498
    • /
    • 2016
  • 광역상수원으로 활용되는 주암댐 저수지 및 동복댐 저수지가 위치하고 있는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모형을 적용하여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따른 수지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암댐 유역은 보성강 수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체 유역면적은 약 $1,010km^2$으로 담양군, 보성군, 장흥군, 화순군 및 순천시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비점오염원 설치지점을 고려하기 위하여 소유역별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이 가능하고 BMPs 효과분석 모의가 가능한 HSPF 유역모델을 적용하여 2011~2012년을 대상으로 유량, BOD, TN, TP 재현성을 검증하였다. 29개 소유역별 비점오염원 부하량 평가를 통해 중점관리지역을 선정하였으며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설치 시나리오 4개를 적용하여 수질개선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BOD, TN, TP 모두 주암호 유역 상류에 위치하는 보성강댐 소유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점오염원 부하량이 유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TN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누적유출고와 배수면적을 고려하여 비점오염 저감시설로 저류지를 선정하였으며 누적유출고 5 mm/d와 전체유역면적을 고려한 시나리오 1, 누적유출고 5mm/d와 산림을 제외한 유역면적을 고려한 시나리오 2, 누적유출고 24.5 mm/d와 전체유역면적을 고려한 시나리오 3, 누적유출고 24.5 mm/d와 산림을 제외한 유역면적을 고려한 시나리오 4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BOD의 경우, 2011년 조건에서 시나리오 1은 각 소유역별 평균 13.1%, 시나리오 2는 3.7%, 시나리오 3은 15.8%, 시나리오 4는 4.4%의 비점오염원 부하량 저감효과가 나타났으며 2012년 조건에서는 각 시나리오별로 평균 13.1%, 3.6%, 15.7%, 4.3%의 저감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N의 경우, 2011년 조건에서 시나리오별로 평균 10.9%, 3.0%, 13.0%, 3.6%, 2012년 조건에서도 유사한 범위로 비점오염원 부하량 저감효과가 분석되었다. TP의 경우, 2011년 조건에서 시나리오별로 평균 13.7%, 3.8%, 16.5%, 4.6%, 2012년 조건에서는 13.7%, 3.8%, 16.4%, 4.6%로 분석되었다. 주암댐 유역의 중점 관리지역을 선정하여 누적유출고 24.5mm/d와 전체유역면적을 고려한 저류지를 설치할 경우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BOD 15.8%, TN 13.3%, TP 16.5%의 저감효과로 분석되었다.

  • PDF

Isolation of Citrobacter sp. Mutants Defective in Decolorization of Brilliant Green by Transposon Mutagenesis

  • Jang, Moon-Sun;Lee, Young-Mi;Park, Yong-Lark;Cho, Young-Su;Lee, Young-C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139-142
    • /
    • 2004
  • To identify genes involved in the decolorization of brilliant green, we isolated random mutants generated by transposon insertion in brilliant green-decolorizing bacterium, Citrobacter sp. The resulting mutant bank yielded 19 mutants with a complete defect in terms of the brilliant green color removing ability. Southern hybridization with a Tn5 fragment as a probe showed a single hybridized band in 7 mutants and these mutants appeared to have insertions at different sites of the chromosome. Tn5-inserted genes were isolated and the DNA sequence flanking Tn5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se with a sequence database, putative protein products encoded by bg gen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bg 3 as a LysR-type regulatory protein; bg 11 as a MalG protein in the maltose transport system; bg 14 as an oxidoreductase; and bg 17 as an ABC transporter. The sequences deduced from the three bg genes, bg 2, bg 7 and bg 16, showed no significant similarity to any protein with a known function, suggesting that these three bg genes may encode unidentified proteins responsible for the decolorization of brilliant green.

E. coli에서 근류균 섬유소 분해효소 유전자의 발현 및 생화학적 특성조사 (Express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MCase Gene of Rhizobium fredii Usda193 in Escherichia coli)

  • 윤호종;박용우;임선택;강규영;윤한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5-281
    • /
    • 1995
  • From the plasmid pYA300 carring a CMCase of Rhizobium fredii USDA193 plasmid was subcloned into pBluescript II KS(+)/pBluescript II SK(+) vectors and designated pYA500 and pYA600, respectively. Escherchia coli cells transformed with pYA500 porduced the CMCase more than with pYA600. The orientation of the cloned fragment in pBluescript vector had the effect on gene expression in E. coli background. When the 1.7 kb CMCase gene fragment of R. fredii USDA193 was hybridized to EcoRI-digested total DNA from R. meliloti and R. fredii USDA 191 the unique bands hybridized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some genetic diversity exists in the EcoRI restriction enzyme site for CMCase gene in Rhizobium strains. The optimum pH of enzyme activity was 7 and the optimum temperature of that was nearly 37$\circ$C. The cellulase-minus derivatives of pYA500 were constructed by Tn5 insertional mutation. Among 6000 transconjugants, two mutant plasmids (designated pYA500::Tn5a and pYA500::Tn5b) were detected from the cellulase- negative transconjugants. The product of CMCase gene was analyzed by one dimensional SDS- PAGE of the cell extracts. About 45 kDa protein was considered to be a product of CMCase gene.

  • PDF

화진포호의 수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Water Environment Variations in Lake Hwajinpo)

  • 허우명;최상규;곽성진;발데브;이은주
    • 생태와환경
    • /
    • 제44권1호
    • /
    • pp.9-21
    • /
    • 2011
  • 화진포호에서 장기간의 수환경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염분, 용존산소, 총인 및 총질소등 이 화학적 조사를 하였으며, 동식물플랑크톤은 2007년과 2008년에 조사하였다. 화진포호에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조사된 수질자료를 보면 수온, 염분, 투명도, COD 및 DO는 각각 $2.8{\sim}29.4^{\circ}C$, 0.23~41.8‰, $0.2{\sim}2.8\;m$, $0.2{\sim}20.2\;mg\;L^{-1}$$0.1{\sim}17.4\;mg\;L^{-1}$의 범위로 평균은 각각 $18.0^{\circ}C$, 15.7‰, 0.7 m, $5.7\;mg\;L^{-1}$$8.0\;mg\;L^{-1}$이었다. Chl.${\alpha}$$0.3{\sim}242.5\;{\mu}g\;L^{-1}$으로 평균 $32.8\;{\mu}g\;L^{-1}$이었다. TP와TN는 각각 $0.024{\sim}0.869\;mg\;L^{-1}$(평균 0.091) 및 $0.240{\sim}5.310\;mg\;L^{-1}$(평균 1.235)의 범위를 보였다. TN/TP 비는 평균 16.4이었다. COD, TP, TN 및 Chl.${\alpha}$의 연변화를 보면 COD는 2000년에 $4.83m\;mg\;L^{-1}$이었으나 2008년에는 $1.80\;mg\;L^{-1}$로 매년 $0.34\;mg\;L^{-1}$ 감소를 보였다. TP는 2000년에 $0.07\;mg\;L^{-1}$이였으나 2008년에는 $0.05\;mg\;L^{-1}$로 차츰 감소하였다. TN은 2000년에 $1.54\;mg\;L^{-1}$이었으니 2008년에는 $0.77\;mg\;L^{-1}$로 매년 $0.09\;mg\;L^{-1}$ 감소하였다. Chl.${\alpha}$은 2000년에 $46.30\;{\mu}g\;L^{-1}$이었으나 2008년에는 $5.78\;{\mu}g\;L^{-1}$로 매년 $4.50\;{\mu}g\;L^{-1}$씩 감소하였다. 화진포호의 Orgnic-N, $NO_3$-N, $NH_3$-N 및 $NO_2$-N의 평균 존재 형태별 구성 비율은 각각 78.9, 7.0, 12.4 및 0.8%로 대부분 유기질소 형태이었다. 부영양화도 지수는 남호와 북호에서 2000년에 각각 67과 63에서 2008년에는 63과 59로 감소하였다. 화진포 남호와 북호에서 2007년과 2008년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56속 69종이었다. 식물 플랑크톤의 현존량은 남호가 북호가 각각 18~21,961 및 $153{\sim}10,070\;cells\;mL^{-1}$의 범위로 남호에서 더 많았으며, 남 북호 모두 2007년 7윌에 최소를 보였다. 우점종은 남호의 경우 2007년 5월에 Asterococcus superbus, 9월에 Lyngbya sp., 11월에 Trachelomonas spp.이었으며, 2008년 7월에는 Anabaena spiroides로 시기에 따라 크게 다른 양상을 보였다. 남호와 북호의 종 다양성 지수는 0.87~1.98 (평균 1.41) 및 0.42~1.47 (평균1.07)로 남 북호 모두 2008년 5월에 높았다. 화진포호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총 31속 35종이었다. 남호의 우점종은 2007년 5, 7월과 2008년 5, 11월에는 요각류의 유생이었으나, 2007년 9월에는 미동정원생동물, 2008년 8월에는 Brachionus plicatilis이었다. 북호의 우점종은 2007년 7월과 11월에는 지각류인 Asplanchna sp.이었으나 그 이외의 시기에는 요각류의 유생이었다. 동물플랑크톤의 밀도는 남호에서 $80{\times}10^3{\sim}3,902{\times}10^3ind.\;L^{-1}$, 북호에서 $88{\times}10^3{\sim}2,106{\times}10^3\;ind.\;L^{-1}$로 남호에서 더 높았다. 종 다양성지수는 남호와 북호가 각각 0.53~0.147 (평균 0.83) 및 0.66~1.46 (평균 1.09)의 범위로 남 북호 모두 2008년 7월에 높았다.

PC12 세포와 A123.7 세포에서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검색 (Screening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PC12 Cells and A123.7 Cells)

  • 백승연;양병환;채영규
    • 생물정신의학
    • /
    • 제6권1호
    • /
    • pp.67-73
    • /
    • 1999
  • The cAMP-dependent protein kinase(PKA) is an intracellular enzyme with serine-threonine kinase activity that plays a key role in cell growth,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in eukaryot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KA signal transduction pathway regulating cell life cycle and identify its role, we focused on the characterization of up-/down-regulated genes by PKA using the differential display polymerase chain reaction. Seven differentially expressed sequence tags(DEST) have been obtained. Among these DESTs, 2 DESTs were homologous to the sequence of genes from BLAST search result. KC1-5 DEST that was up-regulated in A123.7 cells was highly corresponded to mouse apoptosis-related gene(MA-3) or mouse mRNA for topoisomerase inhibitor suppressed(TIS). MA-3 was induced in various types of apoptosis, specially in NGF-deprived apoptotic PC12 cells. TIS was down-regulated in the RVC lymphoma cells incubated with topoisomerase inhibitor that induces DNA strand breakages. PG1-1 DEST that was highly expressed in PC12 cells was corresponded to transposon Tn10 3'-end. Tnansposon Tn10 was up-regulated in differentiated myeloblastic ML-1 cells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his study illuminates that MA-3/TIS was down-regulated by PKA activity, and transposon Tn10 was up-regulated by it.

  • PDF

담체가 첨가된 AO$_2$공법을 이용한 수산물 가공폐수의 처리 (Treatment of Seafood Wastewater Using AO$_2$ System with PU-AC Media)

  • 이순;박상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66-672
    • /
    • 2008
  • 수산물 가공폐수를 AO$_2$공법에 적용하여 유기물, 질소, 인의 동시제거 가능성을 평가 하였다. 처리도 실험은 도시하수처리장에서 가져온 활성슬러지를 담체에 2주 이상 부착시킨 후 반응조 부피 25%로 충진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유입수 농도는 실험기간 동안 COD : 198 - 1,240 mg/L, TN : 75 - 577.4 mg/L, TP : 2.2 - 53.5 mg/L였다. 운전기간동안 평균 제거효율은 COD : 86.5%(65.7 mg/L), TN : 81.4%(53.1 mg/L), TP : 80.6%(4.07 mg/L)로 나타났다. Anaerobic조와 Aerobic조로 구성된 시스템에 유기물 및 영양염류 부하율이 증가되어도 비교적 안정된 형태의 운전이 가능하였다. 사용된 PU-AC 메디아는 높은 MLSS량을 보유하여 AO$_2$ 시스템 내에서 생물학적 처리율을 높일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농업용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한 오염물질 침강지 조성 기법 (Practical Research on the Advanced Detention Pond for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

  • 배요섭;남귀숙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79-86
    • /
    • 2008
  • 전형적인 농촌유역을 가지는 충남 아산시 마산저수지는 상류 유역으로부터 다량의 점,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어 과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농업용 저수지이다. 주요 유입하천인 황산천과 초사천의 수질('05년~'06년)은 TN과 TP 등 영양염류와 유기물의 농도가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마산저수지의 수질은 COD가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해 저수지 유입부에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조립식의 오염물질 침강장치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침강시설의 평균 정화효율은 부유물질(SS) 55.7%, 총질소(TN) 61.0%, 총인(TP) 55.9%로 장정렬등(2004)이 제시한 부댐형 침강지의 정화효율에 비해 안정적으로 높은 효율을 보였을 뿐 만 아니라 저비용으로 높은 수질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경제적인 시설로서 저수지 수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계절적 몬순에 의한 댐 인공호 및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영양상태지수(TSI), 경험적 수질 모델 및 어류 트로픽 구조 (Influence of Seasonal Monsoon on Trophic State Index (TSI), Empirical Water Quality Model, and Fish Trophic Structures in Dam and Agricultural Reservoirs)

  • 윤영진;한정호;안광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321-1332
    • /
    • 2014
  • The ke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rophic state and empirical water quality models along with analysis of fish trophic guilds in relation to water chemistry (N, P). Trophic state index (TSI), based on total phosphorus (TP) and chlorophyll-a (CHL), ranged between oligotrophic and hypereutrophic state, by the criteria of Nurnberg(1996), and was lower than the trophic state of total nitrogen (TN). Trophic relations of Secchi depth (SD), TN, TP, and CHL were compared using an empirical models of premonsoon (Pr), monsoon (Mo), and postmonsoon (Po). The mode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variation in water transparency of Secchi depth (SD) was largely accounted (p < 0.001, range of $R^2$ : 0.76-0.80) by TP during the seasons of Mo and Po and that the variation of CHL was accounted (p < 0.001, $R^2=0.70$) up to 70% by TP during the Po season. The eutrophication tendency, based on the $TSI_{TP}$ vs. $TSI_{N:P}$ were predictable ($R^2$ ranged 0.85-0.90, p < 0.001), slope and y intercept indicated low seasonal variability. In the mean time, $TSI_{N:P}$ vs. $TSI_{CHL}$ had a monsoon seasonality in relation to values of $TSI_{N:P}$ during the monsoon season due to a dilution of reservoir waters by strong monsoon rainfall. Trophic compositions of reservoir fish reflected ambient contents of TN, TP, and CHL in the reservoir waters. Thus, the proportions of omnivore fish increased with greater trophic conditions of TP, TN and CHL and the proportions of insectivore fish decreased with greater trophic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