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tratable acid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33초

요구르트 제조에서 자색 고구마 효소 분해물의 탈지분유 대체 효과 (Substitution Effect of Enzymatically Hydrolyzed Purple Sweet Potato Powder on Skim Milk in Yogurt Preparation)

  • 김동청;원선임;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311-316
    • /
    • 2015
  • 요구르트 제조시 사용하는 탈지분유의 일부를 자색고구마 효소 분해물로 대체(고형분 기준 10, 30, 50%)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한 후 탈지분유만을 사용한 대조구와 발효특성(pH, 적정산도, 환원당 함량, 젖산균의 생육), 생리활성(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 및 관능특성을 비교하였다. pH는 모든 실험구에서 발효 9시간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 발효 15시간에 pH 3.9 부근까지 다소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적정산도는 pH와 유사하게 모든 실험구에서 발효 9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발효 15시간 후 대조구는 0.93%, 자색고구마 분해물 첨가 요구르트는 0.80-0.89%로 자색고구마 분해물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산의 생성은 감소하였다. 발효과정에서 자색고구마 분해물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 함량이 높게 유지되었다. 발효 12시간에 대조군의 젖산균 생균수는 8.89 log CFU/g, 자색고구마 효소분해물 첨가 요구르트는 8.02-8.65 log CFU/g로 탈지분유 대체 정도가 높아질수록 젖산균 생균수도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탈지분유의 30%를 대체하여 제조한 요구르트가 가장 우수하였다. 발효 12시간에 탈지분유 30%를 자색고구마 효소분해물로 대체한 요구르트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구보다 40% 높았으며, DPPH radical 소거활성도 동일하게 증가하였다.

자일로스와 자일리톨 첨가가 김치의 유기산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Xylose and Xylitol on the Organic Acid Fermentation of Kimchi)

  • 김동경;김상용;이정걸;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89-895
    • /
    • 2000
  •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 발효시 pH, 적정산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과 젖산 및 유기산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김치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당 이용도와 자일로스와 자일리톨를 첨가한 배지에서의 젖산균수를 측정하였다. 김치 미생물의 당 이용도를 보면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 6종류 중 자일로스의 경우는 5균주가, 자일리톨의 경우에는 6균주 모두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때 발효성 당이 아닌 자일로스와 당알코올인 자일리톨의 첨가가 김치의 숙성을 억제시켜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pH는 시료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자일리톨 첨가구의 경우가 다른 시료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적정산도의 경우는 자일로스와 자일리톨 첨가구의 경우가 다른 실험구보다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산 생성속도를 억제시켜 가식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유기산의 측정 결과를 보면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한 실험구의 경우 설탕을 첨가한 실험구보다 젖산과 다른 유기산의 생성이 느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당류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는 거의 비슷하거나 다소 생성이 저해되었다. 따라서 김치 제조 시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하면 발효 미생물 등의 성장을 억제하여 김치의 저장기간 동안 숙성을 억제함으로써 유통기간을 연장시켜 김치의 가식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 PDF

Leuconostoc mesenteroides 310-12 균주를 이용한 전통 쌀 발효 음료의 제조 (Utiliza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310-12 Strain in the Fermentation of a Traditional Korean Rice-based Beverage)

  • 김동청;최진웅;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1호
    • /
    • pp.21-25
    • /
    • 2011
  • 쌀과 유산균을 이용한 곡류 발효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김치로부터 현미 당화물에서산 생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L.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L. mesenteroides 310-12로 명명하였다. L. mesenteroides 310-12균주를 효소 처리한 현미 당화물 현탁액에 접종한 후 pH, 적정산도, 생균수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동시에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현미 분말 현탁액을 대조군으로 비교하였다. 당화물의 pH는 배양 9시간 이후 pH 3.63으로 급격히 감소한 후 배양 15시간에 pH 3.57로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의 pH는 배양 3시간 후 pH 4.40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적정산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배양 15시간에 0.40%에 도달하였으며, 유기산 함량은 젖산 0.077%, 초산 0.065%로 분석되었다. 생균수는 배양 12시간에 7.9 log CFU/g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 생균수의 증가는 매우 미미하였다. L. mesenteroides 310-12 균주로 발효시킨 현미 당화물에 몇 가지 식품 첨가물을 혼합하여 발효 음료를 제조한 후 $4^{\circ}C$에서 보관하면서 pH, 적정산도 및 생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제조한 음료를 32일간 저장하였을 경우 pH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적정산도는 점차 증가하여 저장 20일에 0.684%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생균수는 저장 25일에 7 log CFU/g까지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Acid- and Bile-tolerant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from Korean Faeces

  • Bae, H.C.;Nam, M.S.;Lee, J.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2호
    • /
    • pp.1798-180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having probiotic properties to be used as the health adjuncts with fermented milk products. Acid- and bile-tolerant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was isolated with lactobacilli MRS broth from faeces of 80 healthy persons (infants, children and adults). It was used as a probiotic strain in fermented milk products. The pH of fermented milk decreased from pH 6.7 to 5.0 and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from 0.3% to 1.0% by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isolation strain 20, 35, and 37), when incubated for 36 h at 37$^{\circ}C$. The number of viable cell counts of fermented milk was maximized at this incubation condition. The SDS-PAGE evidenced no significant change of casein but distinct changes of whey protein were observed by isola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for titratable acidity being incubated by 0.9-1.0% at 37$^{\circ}C$. All of the strains produced 83.43 to 131.96 mM of lactic acid and 5.39 to 26.85 mM of isobutyric acid in fermented products. The in vitro cultur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ability to reduce cholesterol levels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growth medium. The selec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reduced 23-38% of cholesterol content in lactobacilli MRS broth during bacterial growth for 24 h at 37$^{\circ}C$. All of the isola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had an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with 15-25 mm of inhibition zone to E. coli KCTC1039, S. enteritidis KCCM3313, S. typhimurium M-15, and S. typhimurium KCCM40253 when its pH had not been adjusted. Also, all of the isola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had partial inhibition zone to E. coli KCTC1039, E. coli KCTC0115 and S. enteritidis KCCM3313 when it had been adjusted to pH 5.7. The selected strains were determined to have resistances of twelve antibiotic. Strains 27 and 35 among the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to the antibiotic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ome of the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strain 27 and 35) are considered as effective probiotic strains with a potential for industrial applications, but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stablish their use as probiotics in vivo.

젖산균이 김치 발효 중 아플라톡신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on changes of aflatoxin level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천선화;김수지;이상일;정영배;김성현;조정은;서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58-767
    • /
    • 2015
  • 기후변화에 따라 오염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곰팡이독소 중 아플라톡신을 김치에 오염시켜 발효 및 저장 중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변화를 분석하고, 김치 제조 시 젖산균의 첨가가 아플라톡신의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김치의 pH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한 반면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도는 저장기간 동안 2.30~2.40%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젖산균을 첨가한 김치의 일반세균수 및 젖산균수는 다른 시료에 비해 젖산균을 접종한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김치의 저장 중 효모 및 곰팡이 수는 약 1~3 log CFU/g 수준이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대조구에서 저장 4주차까지 검출된 반면 다른 시료에서는 저장 2주 후 모두 불검출되었다. 아플라톡신이 오염된 김치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아플라톡신이 감소하는 경향성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저장 8주 동안 아플라톡신 오염수준의 평균 감소율은 AFs 오염구에서 7.1%, AFs+LP에서 21.5%, AFs+LM에서 24.1%로 나타나 젖산균을 첨가한 시료에서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아플라톡신 첨가에 따른 김치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변화는 일반 김치와 비교 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젖산균을 첨가한 김치의 경우 저장 중 일반세균 수 및 젖산균수가 높게 검출되고, 아플라톡신의 감소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김치에 Lactobacillus속이나 Leuconostoc속과 같은 젖산균 첨가 시 젖산균 증진 효과 및 아플라톡신에 노출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 bulgaricus 와 S. thermophilus 의 단독 및 혼합배양에 의한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 (Pysicochemical and Bacteriological Properties of Yogurt made by Single or Mixed Cultures of L. bulgaricus and S. thermophilus)

  • 이신호;구영조;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0-147
    • /
    • 1988
  • L. bulgaricus FRI025와 S. thermophilus CH1을 Starter로 단독및 혼합 배양하여 요구르트 제조중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를 비교 검토한결과 단독으로 배양하였을때 보다 혼합 배양하였을때 산생성, 유산균의 성장 등이 증진되었으며 L. bulgaricus FRI025와 S. thermophilus CH1을각각 1:1, 1:2로 혼합 배양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한 결과 1:1로 혼합 배양한 경우가 더 효과적 이었으며 적정 배양시간은 mild yogurt의 경우 8시간 acid yogurt의 경우 $9{\sim}10$시간으로 추정되었고 배양 9시간째 pH 4.08 산도 1.14% lactose이용율 24.74, 유산균수 $2.5{\times}10^{10}/ml$ 그리고 점도는 2100CP이었다. $4^{\circ}C$에서 7일간 저장후 요구르트의 품질 변화는 pH와 생균수는 감소하였고 산도와 점도는 증가하였다. 고형분 함량 14%인 환원 탈지유에 L. bulgaricus FRI025와 S. thermophilus CH1을 1:1로 혼합한 starter와 시판 호상 요구르트에 사용되는 starter를 사용하여 산도, 유산균 성장, 기호성에 관해 비교한 결과 분리 균주인 bulgaricus FRI025와 S. thermophilus CH1을 사용한 경우가 시판 호상요구르트 starter를 사용한 경우보다 산생성이나 유산균 성장이 양호 하였으며 기호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포도 '캠벨얼리' 품종의 전엽기 생장조절제 처리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Sprayed at Unfolded Leaf Stage on Fruit Quality in 'Campbell Early' Grape)

  • 천종필;김병기;배태민;오경영;김진국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9-15
    • /
    • 2012
  • 본 연구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을 활용하여 '캠벨얼리' 포도의 품질향상 증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엽 3~5엽기에 화방에 대한 지베렐린($GA_3$) $5mg{\cdot}L^{-1}$ 엽면처리는 '캠벨얼리' 포도의 과경, 과방중, 가용성당함량, 과피의 착색을 증진시켰다. 전엽 3~4엽기의 화방에 대한 $GA_3$ $5mg{\cdot}L^{-1}$과 ABA $20\;mg{\cdot}L^{-1}$ 혼용처리는 과립 비대와 과축 신장을 저해하지 않았으며 포도 과피의 안토시아닌 축적에 효과적이었다. '캠벨얼리' 포도의 전엽 3~4엽기에 화방에 대한 thidiazuron $2.5mg{\cdot}L^{-1}$$GA_3$ $5mg{\cdot}L^{-1}$ 혼용처리는 가용성고형물 함량 증진과 산함량 감소를 촉진하여 과실 품질이 증대되었다.

한국전통간장의 맛과 향에 관여하는 주요 향미인자의 분석(I) - 일반특성 및 당류와 유기산 분석 -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s in the Flavor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I) -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Sugars and Organic Acids Contents -)

  • 박현경;손경희;박옥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3-61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sugars and organic acids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to find out possibility of high quality soy sauce production in a short period through high concentration soy sauce making. In this study, we prepared three different types of soy sauce, low concentration soy sauce (Chungjang), high concentration soy sauce and Kyupjang, high quality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pH of soy sauce were $4.46{\sim}4.90$ and did not show difference among three samples. Titratable acidity, buffering power and total free acid content were the highest value in Kyupjang. Kyupjang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salt and pure extract. As the ripening period increased, the salt content increased in Chungjang samples, but decreased in Kyupjang. Reducing sugar contents of Kyupjang, high concentration soy sauce and low concentration soy sauce were 1.13%, 0.76% and 0.53%, respectively. Free sugar in soy sauce were analyzed maltose, glucose, galactose and fructose. Total free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high concentration soy sauce, however, contents of glucose and fructose were higher in Kyupjang than in Chungjang samples. Galactose was the main free sugar in Chungjang, but glucose was in Kyupjang. Among identified volatile organic acid, acetic acid was present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and volatile organic acid content was highest in the high concentration soy sauce at 150 days. 20 nonvolatile organic acids were detected in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Succinic acid, lactic acid and 2,5-pyridine dicarboxylic acid were the main nonvolatile organic acid in soy sauce.

  • PDF

스피루리나가 유산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irulina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손찬욱;신유미;심현정;김미연;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68-976
    • /
    • 2007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irulina powder on the growth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n reconstituted skim milk. The spirulina powder supplemented to S. thermophilus and L acidophilus slightly stimulated lactic acid production. In addition, the growth and acid production of L. bulgaricus were enhanced by the addition of spirulina powder. When the spirulina powder was added to reconstituted skim milk at the level of 1%, the mixed cultures of S. thermophilus and L. bulgaricus showed higher numbers of viable cells and higher acid production than the other cultures. The effects of the addition amounts of spirulina powder (1%, 2% and 3%) to the reconstituted skim milk on the growth properties of the mixed cultures of S. thermophilus and L. bulgaricus were evaluated. The pH of the skim milk with added spirulina powd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but the amount of spirulina did not have a significant affect. Th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with the incubation time until 12 hr.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the skim milk with added spirulina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pirulina. Thus, the spirulina was effective for the increasing lactic acid bacteria in yoghurt.

Microb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raditional Steeping Process of Waxy Rice for Yukwa (a Korean Oil-Puffed Snack) Production

  • Chun, Hyang-Sook;Lee, Myung-Ki;Kim, Hyun-Jung;Chang, Hyun-J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13-120
    • /
    • 2004
  • Selected microb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eepi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yukwa, a traditional Korean oil-puffed snack made of waxy rice, were investigated during steeping of waxy rice in water for 15 days. The lengthy steeping process was largely predominated by lactic acid bacteria (LAB), particularly, Lactobacillus and Leuconostoc. The predominat type of bacterium isolated was the Y26 strain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The titratable acidity of the steeping medium increased from 0.01 to 1.13%, in parallel with the decrease in pH ranging from 6.3 to 4.2 as the steeping period increased from 0 to 15 days. A high amount of lactic acid and to a much lesser extent, butyr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succinic acid were detected during the steeping process. The amount of reducing sugars in the steeping medium increased from 0.61 to 10.43 mg/mL, whereas sucrose decreased from 0.46 mg% to an undetectable level. Starch degradation products including glucose, maltose and oligosaccharides ranging G3-G7 were not initially noticed, but their content increased during the steeping process until completion. However, no oligosaccharides larger than G8 were detected in the steeping medium. The activities of $\alpha$-amylase, $\beta$-amylase and protease in the steeping medium of waxy rice tended to rise increase with time during the steeping process. From these results, the lengthy steeping process in yukwa production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pontaneous fermentation, dominated by lactic acid bacteria, which is a necessary process for inducing biochemical modification of waxy r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