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ssue-specific promoter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4초

내재적 유전자에 의한 어류난자에서의 hEGE 단백질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 (Development of Transgenic Fish for the Production of Human EGF Protein)

  • 황창남;송기철;이재현;윤종만;김기동;이상호;박홍양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7-286
    • /
    • 2001
  • 기존의 미세주입 및 정자 electroporation에 의한 보다 효율적인 유전자 도입방법을 개선하여 간단하고 고효율성의 유전자 변환기술을 위한 유전자 도입장치의 시제품 개발로 다수의 난자를 전기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는 상업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도입된 유전자는 모든 초기배에서 발현됨을 보여 주었다. 특히 난황내의 합포체세포(syncytium)에서의 transient성의 강한 발현은 전기자극에 의해 많은 수의 난자에 유전자를 도입하고 100% 발현되는 체계를 이용하여 transient 시기에서 인간 유용단백질 생산의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어류유전자 발현의 작동되는가를 검색하기 위해 신경세로조직특이 tubulin promoter 를 이용한 결과 gfp의 발현이 뇌주변과 척추를 중심으로 체내 전반의 신경세포내에 발현이 강하게 나타남을 보여 주었다. 한편 reporter 유전자 이외에 간세포로부터 전체 RNA를 분리시켜 vitellogenin의 분해산물인 phosvitin cDNA의 길이와 promoter지역인 1.6 kb에 대한 primer쌍들을 선정한 상태에서 PCR에 의해 각각 cDNA와 gDNA로부터 cloning 중에 있으며 human factor Ⅶ과 epidermal growth factor, vitellogenin의 3종의 target 단백 질유전자를 구축 및 검정 화인 중에 있다.

  • PDF

소성장호르몬 유전자의 조직 특이성 발현에 미치는 바이러스 engancer의 영향 (Effect of Viral Enhancers on the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Bovine Growth Hormone Gene)

  • 박계윤;김수미;노정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5-91
    • /
    • 1989
  • 조직특이적 및 일반적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SV40와 murine cytomegalovirus (MCMV) enhancer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chloramphenicol acetyl transferase (CAT) 유전자의 아래쪽에 이들 enhancer들을 삽입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들을 제조하였다. 원숭이세포(CV1PO)와 HeLa 세포에 이들 플라스미드들을 이입시킨 후, CAT 유전자가 발현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Enhancer가 없는 플라스미드에 비해 SV40와 MCMV enhancer는 CAT의 발현을 각각 20배와 150배로 가중시켰다. CAT 유전자의 앞에 있는 SV40 프로모터를 2.2kbp의 소성장호르몬(bGH) 유전자의 조절부위로 치환한 경우는 enhancer가 있어도 전혀 CAT 의 말현이 검출되지 않았다. 조절부위을 230 bp 로 짧게 하여 치환한 경우는, SV 40 enhancer 가 있을 때, CAT의 말현이 매우 증가하였다. 이와는 내조적으로 더 강한 MCMV enhancer는 bGH 특이적인 발현을 별로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 PDF

Mouse Cre-LoxP system: general principles to determine tissue-specific roles of target genes

  • Kim, Hyeonhui;Kim, Minki;Im, Sun-Kyoung;Fang, Sungsoon
    • Laboraroty Animal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147-159
    • /
    • 2018
  •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models are commonly preferred for studying the human disease due to genetic and pathophysiological similarities between mice and humans. In particular, Cre-loxP system is widely used as an integral experimental tool for generating the conditional. This system has enabled researchers to investigate genes of interest in a tissue/cell (spatial control) and/or time (temporal control) specific manner. A various tissue-specific Cre-driver mouse lines have been generated to date, and new Cre lines are still being developed. This review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Cre-loxP system and a few commonly used promoters for expression of tissue-specific Cre recombinase. Also, we finally introduce some available links to the Web sites that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Cre mouse lines including their characterization.

The Suicide Gene Diphtheria Toxin A Based Therapy in Cancer Treatment

  • Nguyen.T.Q., Anh;Jeong, Dong-Kee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3호
    • /
    • pp.155-168
    • /
    • 2012
  • Therapeutic cancer is a long lasting and turbulent history accompany with the milestones in surgical interven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the past decade, however, metastatic cancer still obstinately exists challenging the professional scientist. Beside the major forms of cancer treatment, Diphtheria toxin (DT) which is produced by a pathogenic strain of bacterium Corynebacterium diphtheria to shield themselves against the other dangerous organism, have been researched as a potential candidate to overcome the drawback such as non-specific, non-effect to drug resistant cancer cell and side effects when using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the context of suicide gene therapy, the DT expression under controlling of tissue-specific promoter will be targeted in cancer cell but defect in normal cell. The molecular mechanism, characteristic of DT-bases therapy and prominent achievements of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for the past decade are summarized and discussed in this review.

소 착상 전 초기수정란에서 Oct-4 유전자 Promoter 영역의 DNA 메틸화 변화 (DNA Methylation Change of Oct-4 Gene Promoter Region during Bovine Preimplantation Early Embryos)

  • 고응규;김종무;김동훈;차병현;황성수;양병철;임기순;김명직;민관식;성환후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2권1호
    • /
    • pp.33-38
    • /
    • 2008
  • DNA 메틸화는 조직특이적인 유전자 조절에 관여하고, 정상적인 배 발달에 필수적이다. POU5F1은 octamer-binding transcription factor 4 (Oct-4)를 encode하며, 초기 분화에 중요한 전사인자이다. 본 실험에서 소의 Oct-4가 조직특이적이고 발달의존적인 epigenetic 표지 인지를 검토하고자, 착상 전 수정란에서 Oct-4 전사산물과 상류 promoter 영역의 CpGs의 메틸화를 조사하였다. Oct-4 전사산물은 정자 그리고 2-cell에서 8-cell 수정란까지 낮은 수준으로 존재하지만, 상실배와 배반포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 발달 과정의 상실배 단계에서 Oct-4의 de novo 발현이 시작됨을 의미한다. Oct-4 상류 promoter 영역에는 메틸화 가변 영역 (tissue-dependent differentially methylated region, T-DMR)이 존재한다. Oct-4 메틸화 가변 영역의 메틸화 상태는 정자, 성체 체조직과 난자에서 서로 다르고, 수정란으로부터 배반포 단계까지 변화하였는데, 이는 착상 전 초기 배 발달 과정에 active 메틸화와 탈메틸화가 일어남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 Oct-4 유전자 상류 promoter 영역은 DNA 메틸화의 타깃이고, 그 메틸화 상태는 소 수정란 발달 동안에 다양하게 변화한다.

포도 캠벨 품종으로부터 과육 특이발현 VVTL1-homolog 유전자의 분석 (Gene Analysis of A Fruit-specific Thaumatin-like Protein, VVTL1-homolog, from Campbell Cultivar of Grape)

  • 김인중;김석만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55-261
    • /
    • 2001
  • VVTL1은 포도 과육에서 특이적으로 다량 발현되는, PR5 계열의 thaumatin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는 단백질로서, 품종에 따라 염기서열의 차이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포도의 VVTL1에 대해서 몇몇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인 캠벨에서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캠벨 품종으로부터 VVTL1-homolog 유전자의 게놈 DNA를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VVTL1-homolog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PR5 유전자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인, intron이 없는 하나의 exon으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염기서열로부터 추론된 VVTL1-homolog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VVTL1을 비롯한 다른 품종의 포도에서 분리된 TLP와는 달리 염기성의 등전점을 가지고 있었다. Primer extension 분석을 통해 전사개시 부위를 결정하였고, promoter영역을 포함하는 5'upstream 지역에 전사에 중요한 TATA box (4개)와 CAAT box (1개)가 존재하였으나, 이들의 위치와 수는 다른 PR5 유전자의 promoter와는 다랐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VVTL1-homolog 유전자의 발현이 과육 성숙과정동안 abscisic acid와 스트레스 또는 자극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고 있음을 제시해준다. 포도 과육특이발현 promoter인 VVTL1-homolog 유전자의 promoter 분리는, 유전자의 도입에 의해 유용형질을 과육에 나타내는 포도품종을 개발하고자 할 때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unctional properties of an alternative, tissue-specific promoter for rice NADPH-dependent dihydroflavonol reductase

  • Kim, Joonki;Lee, Hye-Jung;Tyagi, Wricha;Kovach, Michael;Sweeney, Megan;McCouch, Susan;Cho, Yong-Gu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63-163
    • /
    • 2017
  • A deletion analysis of the Oryza sativa dihydroflavonol reductase (DFR) promoter defined a 25 bp region (-386 to -362) sufficient to confer pericarp-specific expression of ${\beta}$ -glucuronidase(GUS) reporter gene in transgenic rice. Site-specific mutagenesis of these conserved sequences and subsequent expression analysis in calli which transiently expressed the mutated promoter::GUS gene showed that both bHLH (-386 to -381) and Myb (-368 to -362) binding sites in the DEL3 (-440 to 70) promoter were necessary for complete expression of the GUS gene including the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DFR::GUS gene. The GUS gene was expressed well in the mutated Myb (-368 to -362) binding site, but not as strong as in normal condition, implying that the Myb is also necessary to express GUS gene fully. Also, we found the non-epistatic relation between Rc and DFR. There were no changes of expression patterns GUS under the Rc and rc genotypes. Thus, DFR expression might be independent of the presence of functional Rc gene and suggested that Rc and Rd (DFR) share the same pathway controlling the regulation of flavonoid synthesis but not a direct positive transcriptional regulator of DFR gene.

  • PDF

염소의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 프로모터의 음성 조절 인자 규명 (Identification of the Negative Regulatory Element on the Caprine $\beta$ Lactoglobulin Promoter)

  • 김재만;유명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33-441
    • /
    • 1995
  • 염소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 프로모터의 유선 조직 특이성은, 비 발현 세포에서 -470 에서 -205 부위에 의해서 매개되는 억제 조절에 의해서 보증된다. 이 음성 조절 기작과 억제 조절을 매개하는 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류 염기 서열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상류 염기 서열은 어느 방향으로 위치하든 연결된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 프로모터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규명된 염소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의 잠정적 음성 조절 인자는 다른 유전자의 프로모터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활성을 보였는데, herpes simplex 바이러스의 thimidine kinase 프로모터는 상류 염기서열의 방향에 따라 억제 또는 활성화되었으며, SV40 프로모터는 억제되기보다는 오히려 활성화되었다. 염소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의 억제 조절 인자를 포함하는 조절 부위는 비 유선 세포인 HeLa 및 CV-1 세포에서 추출된 핵 추출물에 의해서 이동성이 강력하게 지연되는 반면, 유선세포인 HC11 세포의 핵 추출물에 의해서는 약하게 지연되었다. 이와 같은 활성 억제와 인자 결합간의 연관성은 foot-printing 분석에서 관찰된 결합 부위가 염소의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의 조직특이적 억제에 작용할 음성 조절 인자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T $\alpha$ 1 $\alpha$ -tubulin promoter directs neuron-specific expression of green fluorescent protein in loach embryo

  • Joon Kim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1998년도 제4차 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59-60
    • /
    • 1998
  • A DNA construct containing rat T $\alpha$ 1 $\alpha$ -tuulin gene 5'-flanking sequence and GFP reporer gene was microinjected into 1-cell loach embryos. Neuron-specific FGP expression was observed in developing loach embryos and early stage fr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rat T $\alpha$ 1 $\alpha$ -tubulin gene promoter may be sufficient to specify gene expression to neurons in loach embryos. Thus, the use of GFP reporter controlled by T $\alpha$ 1 $\alpha$ -tubulin gene promoter may facilitate visualization of the dynamic processes of neural tissue development.

  • PDF

Identification of the Regulatory Region Responsible for Vascular Tissue-Specific Expression in the Rice Hd3a Promoter

  • Pasriga, Richa;Cho, Lae-Hyeon;Yoon, Jinmi;An, Gynhe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4호
    • /
    • pp.342-350
    • /
    • 2018
  • Flowering time is determined by florigens. These genes include, Heading date 3a (Hd3a) and Rice FT 1 (RFT1) in rice, which ar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vascular tissues of leaves at the floral transition stage. To study the cis-regulatory elements present in the promoter region of Hd3a, we generated transgenic plants carrying the 1.75-kb promoter fragment of Hd3a that was fused to the ${\beta}$-glucuronidase (GUS) reporter gene. Plants expressing this construct conferred a vascular cell-specific expression pattern for the reporter gene. However, GUS was expressed in leaves at all developmental stages, including the early seedling stage when Hd3a was not detected. Furthermore, the reporter was expressed in roots at all stages. This suggests that the 1.75-kb region lackings cis-elements that regulate leaf-specific expression at the appropriate developmental stages. Deletion analyses of the promoter region indicated that regulatory elements determining vascular cell-specific expression are present in the 200-bp region between -245 bp and -45 bp from the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By transforming the Hd3a-GUS construct to rice cultivar 'Taichung 65' which is defective in Ehd1, we observed that Ehd1 is the major regulatory element that controls Hd3a promoter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