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n recovery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18초

유리생산공정 폐주석산화물에서 건식제련에 의한 주석회수기술 (Recovery of Tin from Tin Oxide Resulted from Glass Manufacturing Process by Pyrometallurgy)

  • 이상로;김상열;이만승;박만복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2호
    • /
    • pp.23-28
    • /
    • 2015
  • 현재 국내에서 소비되는 주석의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판 유리, LCD 패널 유리 기판 생산시 발생하는 주석 용탕에 함유된 주석산화물을 건식법으로 회수하는 공정을 조사하였다. 환원반응온도를 변화시키며 주석의 회수율을 조사한 결과 $1350^{\circ}C$에서 최대 회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주석 산화물의 1차 제련과 슬래그의 2차 제련을 통해 88%의 회수율을 얻었다. 건식공정으로 회수된 조주석을 전해정련처리하여 99.9%의 순도를 지닌 주석 금속을 제조하였다.

바렐도금용 폐Steel Ball로부터 산화주석 및 금속주석 회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covery of Tin Oxide and Metallurgical Tin from the Waste Steel Ball for Barrel Plating)

  • 김대원;장성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05-510
    • /
    • 2012
  • A study of the recovery of tin and nickel from steel ball scraps for barrel plating was carried out through a physical treatment, a leaching treatment, hydrogen reduction and an electrolysis experiment. The recovery of the iron component was over 95% by the physical treatment. We obtained tin oxide in the form of metastannic acid ($SnO_2{\cdot}xH_2O$) with impurities of less than 5% from the leaching treatment. We also recovered the high-purity metallurgical tin at a rate that exceeded 99.9% by the electrolysis of crude tin obtained from the hydrogen reduction of metastannic acid.

주석도금폐액으로부터 이온교환 및 사이클론 전해채취를 이용한 고순도 주석의 회수 (Recovery of High Purity Tin from Waste Solution of the Tin Plating by Ion-exchange and Cyclone-electrowinning)

  • 강용호;신기웅;안재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4호
    • /
    • pp.42-48
    • /
    • 2016
  • 주석도금폐액으로부터 고순도 주석 금속을 회수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주석도금폐액을 Iminodiacetic 관능기를 가진 이온교환수지(Lewatit TP 207)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유기물 및 Fe, Zn, Na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였고, 2차적으로 Ethylhexyl-phosphate의 관능기를 가진 이온교환수지(Lewatit VPOC 1026)를 사용하여 잔류하고 있는 불순물들을 모두 제거하여 고순도의 주석용액으로 회수하였다. 회수된 주석용액으로부터 고순도 금속주석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사이클론식 전해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전해채취 결과 약 99.98% 순도의 주석을 회수할 수 있었다.

건식 환원 공정을 이용한 고순도 주석 회수 (Recovery of High Purity Sn by Multi-step Reduction of Sn-Containing Industrial Wastes)

  • 이상로;이만승;김현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3호
    • /
    • pp.11-15
    • /
    • 2015
  • 주석을 함유한 폐기물에서 고순도 주석을 회수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주석오니의 환원 제련 및 전해정련에 대해 연구하였다. 2단계의 건식제련을 통해 주석오니에 함유된 주석산화물을 환원시켜 92.7%의 주석을 회수하였다. 또한 건식공정으로 회수한 조주석을 전해정련시켜 순도를 99.87%까지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폐자원으로부터 주석을 회수하여 국내 주석 소비량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는 상용화기술의 토대가 될 수 있다.

바렐도금용(鍍金用) Steel Ball 스크랩에서 주석(Sn) 및 니켈(Ni) 회수(回收)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covery of Sn and Ni from the Steel Ball Scraps for Barrel Plating)

  • 김대원;장성태;최순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4호
    • /
    • pp.46-51
    • /
    • 2011
  • 바렐도금에 사용되는 더미볼 스크랩에 함유되어 있는 주석 (Sn)을 회수하기 위하여 물리적 전처리, 침출 및 회수실험을 행하였다. 물리적 전처리를 통하여 철 성분의 회수율은 95% 이상 달성하였으며 또한, 후속 습식 공정에서 주석/니켈 분말에서 질산침출 조건에서 주석 성분의 회수율은 95%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옥살레이트 침전법에 의한 폐솔더 박리액에서 주석 및 구리의 회수 (Recovery of Tin and Copper from Waste Solder Stripper by Oxalate Precipitation)

  • 류승형;안재우;안효진;김태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3호
    • /
    • pp.37-43
    • /
    • 2014
  • 폐솔더 박리액으로부터 옥살산 침전법을 이용하여 주석 및 구리의 분리 침전을 통해 각각 금속염으로 회수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옥살산의 첨가에 따라 주석의 침전 제거율이 증가하였으며 당량비(옥살산/주석)의 1.0-1.5배를 첨가할 경우 주석이 99.5%의 이상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에 구리는 2.0% 정도 침전되었고 철, 납등은 침전되지 않아 주석만 선택적으로 침전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반응온도 증가에 따라 주석의 침전율은 증가하여 $60^{\circ}C$ 부근에서 최대값을 보이다가 온도가 더 증가하면 오히려 감소 경향을 보였다.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SnO_2$의 산화물을 얻을 수 있었다. 주석이 제거된 폐솔더 박리액에 옥살산을 첨가하여 구리를 납, 철 등의 금속이 선택적으로 약 91% 이상 침전되어 회수가 가능하였다.

염산용액에서 사이클론형 전해방식에 의한 주석의 전해채취 (Electrowinning of Tin from Acidic Chloride Effluents by Cyclone type Electrolytic Cell)

  • 조연철;강명식;소홍일;이주은;안재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3호
    • /
    • pp.61-68
    • /
    • 2017
  • 염산 용액에서 주석을 금속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사이클론 전해채취 방식을 사용하였다. 주석의 전해채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유속, 전류밀도, 전해액 중 주석 농도, 염산 농도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유속이 증가하고, 주석과 염산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주석의 회수율과 전류효율이 증가하였고, 전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회수율은 증가하였으나 전류효율은 감소하였다. 유속 18 L/min., $3A/dm^2$, 2.5 g/L Sn, 5 wt.% HCl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주석을 회수할 수 있다.

폐주석산화물로부터 환원공정 및 전해정련을 통한 치과용 고순도 주석 회수 (Recovery of Tin with High Purity for Dental Materials from Waste Tin oxide by Reduction and Electro Refining)

  • 정현철;김상열;이민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7권6호
    • /
    • pp.38-43
    • /
    • 2018
  • 유리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요업로 전극봉인 폐주석 산화물로부터 가스환원공정과 전해정련을 통하여 고순도 주석을 회수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메탄가스 환원공정을 통해 99% 순도의 조주석을 회수하고, 불순물을 미량 제어하였다. 주석의 전해정련시 전류밀도가 $60A/dm^2$이고 전해액의 황산농도가 0.75 mol일 때 99.979%의 고순도 주석이 96.8% 회수되었다. 그리고 전극봉에 포함된 Pb, Sb 등의 독성 불순물 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주석도금폐액으로부터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주석 회수 (Recovery of Tin from Waste Tin Plating Solution by Ion Exchange Resin)

  • 신기웅;강용호;안재우;현승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3호
    • /
    • pp.51-58
    • /
    • 2015
  • 주석도금폐액으로부터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주석 회수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3종류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기초 실험한 결과 tertiary 기능기를 가진 이온교환수지(Lewatit TP 272)는 주석을 흡착하지 못하였고, iminodiacetic기능기를 가진 이온교환수지(Lewatit TP 207)는 주석의 흡착율은 높으나, 회수된 주석용액 내 불순물 함량이 높았다. Ethylhexyl-phosphate의 기능기를 가진 이온교환수지(Lewatit VP OC1026)를 사용한 경우, 주석의 흡착율이 iminodiacetic기능기를 가진 이온교환수지 보다 낮았으나 pH 조절에 따라 회수된 주석용액 내 불순물의 제거가 가능하였다. 또한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된 유기물의 경우는 수세를 통해 제거를 함으로써 고순도 주석용액으로 회수가 가능하였다.

선택적 용해에 의한 동합금 부산물에서의 Sn 회수 및 열처리에 의한 SnO2 합성 (Recovery of Sn from Copper Alloy Dross by a Selective Dissolution and Its Heat-treatment for the Synthesis of SnO2)

  • 류정호;공만식;이정일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73-177
    • /
    • 2013
  • Separation and recovery of valuable metals such as zinc, nickel or tin from copper alloy dross has recently attracted from the viewpoint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ource recycling. In this report, preliminary study on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of tin from copper alloy dross using selective dissolution method was performed. The tin in the copper alloy dross did not dissolve in the nitric acid solution which could allow the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of the tin from the copper alloy dross. Precipitation of tin as $H_2SnO_3$ (metastannic acid) occurred in the solution and transformed to tin dioxide ($SnO_2$) after drying process. The dried sample was heat-treated at low temperature and its phase characteristics, surface morph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