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stamp Messag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5초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적응적 요청 메시지를 이용한 갱신 트랜잭션 스케줄링 기법 (An Update Transaction Scheduling Method Using an Adaptive Request Message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 박준;채덕진;황부현;김중배;정승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2호
    • /
    • pp.339-350
    • /
    • 2004
  • 많은 수의 클라이언트를 갖는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방송 기술은 낮은 대역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 제안한 대부분의 동시성 제어 기법들은 이동 클라이어언트에서 발생하는 거래를 질의 거래로 제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캐슁과 방송기술을 이용하고 이동 클라이언트에서 갱신 거래를 허락하는 UTSM-ARM(An Update Transaction scheduling Method Using an Adaptive Request Message)을 제안한다. UTSM-ARM은 이동 클라이언트의 캐쉬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데이터의 동적인 갱신 패턴 비율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클라이언트에서 접근하는 캐쉬 데이터와 이동 트랜잭션에 대한 타임스템프는 이동 트랜잭션의 직렬가능한 수행을 보장한다. 그 결과 UTSM-ARM은 방송환경의 비대칭적인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 트랜잭션의 수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Resource Discovery with Data Dissemination over Unstructured Mobile P2P Networks

  • Bok, Kyoung-Soo;Kwak, Dong-Won;Yoo, Jae-S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3호
    • /
    • pp.815-834
    • /
    • 2012
  • Recently, along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mobile devices, mobile P2P services in mobile wireless networks have gained a lot of atten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source discovery scheme with data dissemination over mobile P2P networks. In the proposed scheme, each peer manages a local information table, a resource index table, and a routing table in a local database to enhance the accuracy and cost of resource discovery. The local information table stores the status of a mobile peer, and the resource index table stores the resource information of the neighbor peers via the ranking function. The routing table is used to communicate with the neighbor peers. We use a timestamp messag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source index table will be changed before the resource information is exchanged. Our ranking function considers the interest and mobility of the mobile peer and prioritizes the re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neighbor peers. It is shown via various experiments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the existing scheme.

차량 밀집환경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V2V 메시지 인증기법 (Secure and Efficient V2V Message Authentication Scheme in Dense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s)

  • 정석재;유영준;백정하;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1-52
    • /
    • 2010
  • 지능형 차량 네트워크(VANET)환경에서 메시지 인증은 필수적인 보안요소이다. 메시지 인증이 안전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결성, 가용성 및 프라이버시 보호기능을 갖추어야 하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효율성을 갖추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RAISE 스킴은 일반적으로 효율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차량이 많이 밀집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메시지 인증을 하기 위해서 제안되었다. 하지만 RAISE 에서도 통신하는 차량이 많아질수록 전송되는 메시지의 크기가 차량 수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어 오버헤드가 발생하므로 이를 줄일 필요성이 존재하고, 특정 공격에 취약한 약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량 밀집환경에서 RSU(Road Side Unit)가 Bloom Filter를 통해 주변 차량들의 메시지를 적은 통신량으로 한번에 처리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재생공격을 막는 타임스탬프의 사용을 통해 기존의 기법보다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스킴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스킴에 핸드오버 가능을 지원하여 차량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불필요한 키교환을 하지 않도록 인증과정을 간소화시킨다. 그리고 오류가 일어날 확률을 시뮬레이션하고 통신량 계산 등의 분석을 통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검증한다.

모바일 P2P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콘텐츠 검색을 위한 데이터 배포 기법 (Data Dissemination Method for Efficient Contents Search in Mobile P2P Networks)

  • 복경수;조미림;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7-46
    • /
    • 2012
  • 모바일 P2P 네트워크를 위해 제안된 데이터 배포 기법들은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콘텐츠 검색 성능은 매우 뛰어나지만 프로파일과 일치하지 않는 콘텐츠 검색의 경우 질의 처리를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프로파일과 일치하지 않는 콘텐츠 검색 성능 향상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P2P 환경에서 효율적인 콘텐츠 검색을 위한 새로운 데이터 배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타임스탬프 메시지를 사용함으로써 이전 통신 경험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데이터 배포를 수행한다. 또한, 제한된 메모리에 배포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랭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랭킹 기법은 프로파일 일치여부 뿐만 아니라 주변의 배포 범위, 데이터를 배포해준 피어와의 연결성을 고려함으로서 차후의 질의 배포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개방형 스마트 폰 환경에 적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위한 안전한 AKA(Authentication Key Agreement) 모듈 설계 (A Design of Safe AKA Module for Adapted Mobile Payment System on Openness SMART Phone Environment)

  • 정은희;이병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687-1697
    • /
    • 2010
  • 스마트 폰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USIM 기반의 AKA 인증 절차가 필수적인 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스마트 폰 환경에 적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위한 결제 프로토콜과 AKA 모듈을 설계하였다. 결제 프로토콜은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간에 상호인증을 하도록 설계하여 신뢰성을 향상시켰고, 3GPP-AKA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AKA 모듈은 사전 등록을 통해 공유 비밀키(SSK)를 생성함으로써 IMSI 노출을 방지하고, 타임스탬프를 이용해 SQN(SeQuence Number) 동기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SN과 인증기관 사이의 인증벡터 대신에 공유비밀키를 사용하도록 하여, 기존의 SN과 인증기관 사이의 대역폭이 $(688{\times}N){\times}R$ bit에서 각각 $320{\times}R$ bit, $368{\times}R$ bit로 감소시켰으며, MS와 SN간에는 일회용 공유비밀키인 OT-SSK를 사용해 메시지 암호화키인 CK와 IK를 생성하도록 하여 접속할 때마다 새로운 OT-SSK를 생성함으로써 데이터 재전송 공격을 방지하였다.

Peer-to-Peer 환경에서 중복된 데이터의 갱신 전파 기법 (Update Propagation of Replicated Data in a Peer-to-Peer Environment)

  • 최민영;조행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4B호
    • /
    • pp.311-322
    • /
    • 2006
  • P2P(Peer-to-Peer) 시스템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공유하는데 유용하며,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중앙 집중형, 구조적 분산형, 그리고 비구조적 분산형으로 분류된다. 이 중 Gnutella와 같은 비구조적 분산형 P2P 시스템은 확장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장점을 갖지만, 참여하는 노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비용도 증가한다는 문제를 가진다. 데이터 중복을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경우 중복된 데이터들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노드가 데이터를 갱신할 때 중복된 사본을 저장하고 있는 다른 노드에 전파하기 위한 새로운 갱신 전파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타임스탬프와 push/pull 개념을 조합하여 메시지의 전송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해수운동의 특성을 활용한 수중 무선 네트워크 시각 동기화 (Time Synchronization with Oceanic Movement Pattern in Underwater Wireless Networks)

  • 김성렬;박성진;유영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5호
    • /
    • pp.486-496
    • /
    • 2013
  • 많은 기존 연구들에서 수중 환경에 적합한 시각 동기화를 제안하고 있으나 동기화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높은 채널접근지연이나 노드 간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 또한 양방향 메시지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기존 연구에서는 많은 수의 송수신 및 불필요한 오버히어링이 발생하여 네트워크 수명과 처리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중환경의 특성을 반영한 향상된 시각 동기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방법에서는 해수운동과 센서노드가 배치되는 환경의 특성을 활용한 메시지 전송 시점 조절 기법을 소개한다. 또한 채널접근지연이 제거된 타임스탬프를 사용하여 동기화의 정확도를 높인다. 더불어 전원공급 및 교체가 어려운 수중환경에 더욱 적합한 시각 동기화를 위해 제안 방법은 기존 방법보다 적은 수의 송수신으로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 방법이 비교대상인 TSHL(Time Synchronization for High Latency)과 MU-Sync에 비해 각각 2.5ms, 0.56ms의 시각 동기화 오차를 줄이는 동시에 68.4%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하였음을 보인다.

대화형 통신 순서열 패턴의 마이닝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 (An Efficient Algorithm for Min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Sequence Patterns)

  • 함덕민;송지환;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6권3호
    • /
    • pp.169-179
    • /
    • 2009
  • 통신 기록 데이타는 이메일이나 인스턴스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것과 같은 통신 이벤트들로 구성된다. 미국과 유럽연합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한 범죄의 조사와 발견을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에게 이런 데이타를 보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보관되는 통신 기록 데이타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치안당국이 이 데이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정보만을 효과적으로 추출해내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발신자, 수신자, 통신발생시각의 세 가지 정보만 포함하는 통신 이벤트가 주어질 때, 의미 있는 정보 중 하나인 대화형 통신 순서열 패턴과 이러한 패턴의 마이닝 문제를 정의하고 것을 해결하기 위해 Fast Discover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Sequence Patterns (FDICSP)라 불리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FDICSP는 길이가 짧은 대화형 통신 순서열을 조합하여 길이가 긴 대화형 통신 순서열을 생성 해나가는데, 대화형 통신 순서열의 특성에 초점을 맞춘 작업을 통해 효율적으로 대화형 통신 순서열 패턴을 찾는다.

Reversible Data Hiding in Permutation-based Encrypted Images with Strong Privacy

  • Shiu, Chih-Wei;Chen, Yu-Chi;Hong, Wie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2호
    • /
    • pp.1020-1042
    • /
    • 2019
  • Reversible data hiding in encrypted images (RDHEI) provides some real-time cloud applications; i.e. the cloud, acting as a data-hider, automatically embeds timestamp in the encrypted image uploaded by a content owner. Many existing methods of RDHEI only satisfy user privacy in which the data-hider does not know the original image, but leaks owner privacy in which the receiver can obtains the original image by decryption and extraction. In the literature, the method of Zhang et al. is the one providing weak content-owner privacy in which the content-owner and data-hider have to share a data-hiding key. In this paper, we take care of the stronger notion, called strong content-owner privacy, and achieve it by presenting a new reversible data hiding in encrypted images. In the proposed method, image decryption and message extraction are separately controlled by different types of keys, and thus such functionalities are decoupled to solve the privacy problem. At the technique level, the original image is segmented along a Hilbert filling curve. To keep image privacy, segments are transformed into an encrypted image by using random permutation. The encrypted image does not reveal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one. Data embedment can be realized by using pixel histogram-style hiding, since this property, can be preserved before or after encryption. The proposed method is a modular method to compile some specific reversible data hiding to those in encrypted image with content owner privacy. Finally,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image quality is 50.85dB when the averaged payload is 0.12bpp.

선형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시각소인 기반의 순차적 거리측정 기법 (Timestamps based sequential Localization for Linear Wireless Sensor Networks)

  • 박상준;강정호;김용철;김영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840-1848
    • /
    • 2017
  • 선형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순차적 1:1 매핑을 통해 토폴로지가 구성되므로 네트워크의 신뢰성이 우수하여 국경감시, 철도선로 감시 등의 국가 주요 기반 시설 감시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형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인 센서노드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들은 주로 GPS 활용 기법과 AOA 및 RSSI 활용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GPS나 AOA를 이용하는 것은 노드 크기 및 제작비용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용적인 센서 네트워크 구축이 쉽지 않고, RSSI 등은 전파환경과 장비의 특성에 따라 위치 식별도의 편차가 커지므로 오류 보정 알고리즘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노드들의 메시지 송신 및 수신에 대한 시각소인에 기반한 계층적 거리측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GPS, AOA, 그리고 RSSI 등을 활용하지 않고 노드간의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그들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노드간의 거리측정을 위해 수행되는 5개의 알고리즘은 300 MHz 이상의 수정 진동자인 경우에 최대 1m 이내의 오차 범위에서 거리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