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expanded network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초

시간전개형 네트워크 접근법을 이용한 기존 열차시각표를 고려한 추가적 철도화물 최대수송량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me-Expanded Network Approach for Finding Maximal Capacity of Extra Freight on Railway Network)

  • 안재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706-3714
    • /
    • 2011
  • 본 연구는 주어진 시간 내에 현재의 열차운행계획을 바꾸지 않고 추가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량과 수송 일정을 찾고자 하는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시간전개형 네트워크로 주어진 문제를 표현한 후, 전처리 절차를 통해 불필요한 호들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정적네트워크에 반복적인 최대유통문제를 적용하여 기존 열차운행계획을 고려한 화물의 최대량과 수송일정을 제시하는 절차를 예시와 함께 제시하였다.

대규모 시간전개형 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 최대유량 해법 (Efficient Maximal Flow Algorithms in a Large Time-Expanded Network)

  • 이달상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9권37호
    • /
    • pp.211-220
    • /
    • 1996
  • We consider the problem of scheduling a maximal amount of additional, low priority transport through a large multiperiod network, given that we may not interfere with an existing schedule for high priority transport. The problem is transformed into the Time-Expanded network(TENET) without traverse time using TENET Generator (TENETGEN). We describe two specialized heuristic algorithms that guarantee the optimal solutions and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m by comparing quite favorably with Dinic.

  • PDF

시간 전개형 네트워크를 이용한 선로의 최대흐름 스케쥴링 (A maximal-Flow Scheduling Using time Expanded Network in a track)

  • 이달상;김만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7-75
    • /
    • 1990
  • This paper treats the problem to schedule for trains with how transit priority so as to maximizing the number that can be sent during given time period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xed schedule for train with high transit priority in a track. We transform the this problem into Time Expanded Network without traverse time through application of Ford and Fulkerson Model and construct the Enumeration Algorithm for solutions using TENET Generator (TENETGEN). Finally, we compare our algorithm with Dinic's Maximal-Flow Algorithm and examine the avaliability of our procedures in personal computer.

  • PDF

사회관계망에서 매개 중심도 추정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 (An Efficient Algorithm for Betweenness Centrality Estimation in Social Networks)

  • 신수진;김용환;김찬명;한연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1호
    • /
    • pp.37-44
    • /
    • 2015
  • 사회관계망 분석에 있어서 매개 중심도(Betweenness Centrality)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한 척도로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매개 중심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간 복잡도가 높기 때문에 대규모의 온라인 사회관계망 서비스에서 각 노드의 매개 중심도를 산출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그래서 본 연구팀에서는 과거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마다 자신의 지역 정보를 활용하여 확장 자아 네트워크(Expanded Ego Network)를 정의하고 그 네트워크에서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Expanded Ego Betweenness)를 산출하여 기존의 매개 중심도를 대체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정보 기반의 확장 자아 네트워크의 특징을 분석하여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를 빠르게 산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사회관계망의 특성을 대표하는 Barab$\acute{a}$si-Albert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한 가상 네트워크와 실제 사회관계망을 대표하는 페이스북 친구 관계 네트워크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의 중요도 순위가 기존 매개 중심도의 중요도 순위와 거의 일치함을 보인다. 또한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확장 자아 네트워크에서의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를 더 빠르게 산출함을 보인다.

사회관계망에서 중요 노드 식별을 위한 지역정보 기반 매개 중심도 (Local Information-based Betweenness Centrality to Identify Important Nodes in Social Networks)

  • 손진곤;김용환;한연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5호
    • /
    • pp.209-216
    • /
    • 2013
  • 전통적인 사회관계망 분석에 있어서 각 노드의 매개 중심도는 메시지 전달 측면에서의 각 노드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는 척도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매개 중심도를 산출하기 위한 계산 복잡도가 높기 때문에 노드의 수와 간선의 수가 매우 많은 대규모 사회관계망에서는 각 노드의 매개 중심도를 산출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들마다 자신의 지역정보, 즉 이웃노드들이 지닌 각각의 이웃노드 정보를 활용하여 구성가능한 확장 자아 네트워크(Expanded Ego Network)를 새롭게 정의하고 이러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Expanded Ego Betweenness Centrality)를 정의한다. 일반적인 사회관계망의 특성인 척도 없는 네트워크(Scale-free Network)를 생성할 수 있는 Barab$\acute{a}$si-Albert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의 각 노드별 순위는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산출한 매개 중심도의 각 노드별 순위와 거의 일치함을 보인다.

역물류 네트워크를 위한 확장된 복수 Weber 문제의 GRASP 해법 (A GRASP heuristics for Expanded multi-source Weber problem on Reverse Logistics Network)

  • 양병학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7-104
    • /
    • 2010
  • Expanded muti-source Weber problem (EWP), which introduced in this paper, is a reverse logistics network design problem to minimize the total transportation cost from customers thorough regional center to central center. Decision factor of EWP are the locations of regional centers and a central center. We introduce a GRASP heuristics for the EWP. In the suggested GRASP, an expanded iterative location allocation method (EILA) is introduced based on the Cooper's iterative location allocation method[3]. For the initial solution of GRASP, allocation first seed (AFSeed) and location first seed (LFSeed) are developed. The computational experiment for the objective value shows that the LFSeed is better than the AFSeed. Also the calculating time of the LFSeed is better than that of the AFSeed.

지체호를 사용하는 시간 전개형 네트워크의 개발 (Development of Time-Expanded Network using Hold-over Arcs)

  • 이달상;김만식;이영해
    • 산업공학
    • /
    • 제4권2호
    • /
    • pp.25-34
    • /
    • 1991
  • The problem of scheduling the passage things with low transit priority to maximize the amonnt that can be sent during given time period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xed schedule for passage things with high transit priority in a track, is treated in this paper. The problem is transformed into the Time Expanded Network without traverse time through the Ford and Fulkerson Model and the Enumeration Algorithm is developed for solutions using TENET GENerator(TENETGEN). Finally,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ared with Dinic's maximal-flow algorithm and examined for the availability of the procedures on the personal computer.

  • PDF

개선된 스케일 스페이스 필터링과 함수연결연상 신경망을 이용한 화학공정 감시 (Monitoring of Chemical Processes Using Modified Scale Space Filtering and Functional-Link-Associative Neural Network)

  • 최중환;김윤식;장태석;윤인섭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1113-1119
    • /
    • 2000
  • To operate a process plant safely and economically, process monitoring is very important. Process monitoring is the task to identify the state of the system from sensor data. Process monitoring includes data acquisition, regulatory control, data reconciliation, fault detection, etc.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ata recon-ciliation using scale-space filtering and fault detection using functional-link associative neural networks. Scale-space filtering is a multi-resolution signal analysis method. Scale-space filtering can extract highest frequency factors(noise) effectively. But scale-space filtering has too large calculation costs and end effect problems. This research reduces the calculation cost of scale-space filtering by applying the minimum limit to the gaussian kernel. And the end-effect that occurs at the end of the signal of the scale-space filtering is overcome by using extrapolation related with the clustering change detection method. Nonlinea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s using neural network have been reviewed and the separately expanded functional-link associative neural network is proposed for chemical process monitoring. The separately expanded functional-link associative neural network has better learning capabilities, generalization abilities and short learning time than the exiting-neural networks. Separately expanded functional-link associative neural network can express a statistical model similar to real process by expanding the input data separately. Combining the proposed methods-modified scale-space filtering and fault detection method using the separately expanded functional-link associative neural network-a process monitoring system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proven by its application a boiler water supply unit.

  • PDF

2개의 은닉층을 가진 신경망에 의한 확대 I-PD제어계의 구성 (Construction of the expanded I-PD control system by Neural network with two hidden layers)

  • 강동원;김대성;하홍곤;고태언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99년도 학술대회논문집-국제 전기방전 및 플라즈마 심포지엄 Proceedings of 1999 KIIEE Annual Conference-International Symposium of Electrical Discharge and Plasma
    • /
    • pp.256-261
    • /
    • 1999
  • Many control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control performance of discrete-time domain control system. In the position control system using a DC servo motor as control system, the response-characteristic of system is controlled by the I-PD controller. In the I-PD longer if gains of I-PD controller are unsuitable. In this paper, therefore, a expanded I-PD control system is constructed by inserting a pre-compensator at out terminal of I-PD controller. It is implemented by neural network with two hidden layers. From the result of computer simulation in the proposed control algorithm, its usefulness is verified.

  • PDF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네트워크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 (Real-time Network Augmented Reality development utilizing the Bluetooth Networking)

  • 정현일;정형원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5-22
    • /
    • 2018
  • 현재 많은 증강현실 콘텐츠가 존재하지만 두 개 이상의 단말기가 실시간으로 통신하며 동시에 이용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는 거의 상용화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증강현실 콘텐츠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려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네트워크 증강현실 개발과 콘텐츠의 종류를 한층 더 넓힐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