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interval

검색결과 3,682건 처리시간 0.029초

아두이노를 활용한 중력 가속도 측정과 관련된 튜토리얼 및 교육적 활용 방안 (Development of Tutorial for Measuring Gravity Acceleration Using Arduino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

  • 김형욱;문성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9-77
    • /
    • 2022
  • MBL을 통한 물리 실험은 학생들이 실험 결과를 바로 확인하고 쉽게 실험을 수행할 수 있어 예전부터 많은 학교에서 활용해 왔다. 하지만, 장치의 원리를 모르고 실험을 수행하거나, 단순히 도출된 데이터에만 집중하는 것이 MBL 실험의 문제점으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MBL 실험에서 많이 사용되는 피켓펜스의 방법으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고 실제 중력 가속도 값과의 비교를 통해 오차율을 계산했으며, 본 튜토리얼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논의를 해보았다. 실험 결과, 실험으로 구한 중력 가속도 값과 실제 중력 가속도 값의 오차율은 1% 내외로 비교적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값의 표본평균이 95% 신뢰구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실험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또한, MBL이 가진 구조적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점, 물리와 수학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점, STEAM 교육에서 정보 교과와의 융합이 가능한 점 그리고 장비 구비비용이 저렴한 점을 통해 측정실험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자료를 토대로 아두이노를 활용한 물리 실험이 과학영재 교육에서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기대하는 바이다.

구리 함유 폐에칭액의 시멘테이션 반응 시 구리 회수에 미치는 초음파 에너지의 영향 (Effect on Copper Recovery by Ultrasonic Energy during Cementation Reaction from Copper-contained Waste Etching Solution)

  • 김보람;장대환;김대원;채병만;이상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1권4호
    • /
    • pp.34-3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약 3.5% 구리 함유 폐에칭액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기 위한 철 샘플에 따른 시멘테이션 반응 시 초음파 에너지 인가에 의한 반응 속도와 구리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단순 교반 공정에 비해 시멘테이션 반응이 효과적으로 일어나 같은 시간 대비 높은 구리 회수율을 나타냈다. 단순 교반과 초음파에너지를 가하였을 때를 비교해보면, 25분 반응에 따라 철 샘플 형태가 plate를 사용하였을 때, 약 9.5%가 56.6%로 향상되었으며, chip은 약 14.0%에서 46.1%, powder는 약 41.9%에서 77.2%로 증가하였다. 이는 시멘테이션 반응으로 생성되어 철 표면을 덮고 있던 구리가 탈착되며 연속반응이 유도되었고, 구리 회수율은 약 2배에서 6배까지 증가하였으며, 회수된 구리의 입자 크기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 인구 집단에서 전암성 병변 유무에 따른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의 위암 예방 효과 연구: 메타분석 (Effect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on the Prevention of Gastric Cancer in the General Population with or without Precancerous Lesions: A Meta-analysis)

  • 강수진;신철민;강승주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 /
    • 제8권2호
    • /
    • pp.81-90
    • /
    • 2020
  • 배경 및 목적: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제균 치료는 위암 발병률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만성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및 이형성증이 있는 일반 집단에서도 위암의 발생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우리는 포괄적인 메타분석을 통해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19년 12월까지 H. pylori 제균 치료가 위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논문들을 PubMed, KoreaMed, EMBASE 및 Cochrane Library에서 검색하였다. 전암성 병변(만성 위축성 위염/장상피화생/이형성증), 지역(아시아/비아시아) 및 추적관찰기간에 따라 하위 집단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Review Manager 5.3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총 6편의 전향적 무작위 연구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전체 집단에서 H. pylori 제균 치료는 위암 발생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위험비[RR]=0.56; 95% 신뢰구간[CI]: 0.41-0.77, p<0.01). 또한, 하위 집단 분석을 보면, H. pylori 제균 치료는 아시아 지역과 10년 이상의 추적관찰을 시행한 집단에서 위암 발생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RR=0.54, 95% CI: 0.39-0.75, p<0.01 및 RR=0.51; 95% CI: 0.35-0.73, p<0.01). 그러나, 전암성 병변 유무에 따른 하위 집단 분석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전암성 병변이 있는 군, RR=0.86, 95% CI: 0.47-1.59, p=0.63; 전암성 병변이 없는 군, RR=0.42, 95% CI: 0.02-7.69, p=0.56). 결론: H. pylori 제균 치료는 일반 집단,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위암 발생 위험을 낮춘다. 제균 치료의 위암 예방 효과는 10년 이상 장기간 추적관찰 하였을 때 유의하다. 한편, 전암성 병변이 있는 일반 집단에서 위암 예방을 위해 H. pylori 제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은 아직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권고하기 어렵다. 따라서 앞으로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통제집단합성법을 활용한 차 없는 거리 정책의 도시 활력 증진 효과 분석 (The Effect of Car-Free Pedestrian Street Policy on Urban Vibrancy Using Synthetic Control Method)

  • 하정원;하재현;이수기
    • 지역연구
    • /
    • 제38권2호
    • /
    • pp.59-72
    • /
    • 2022
  • 기후 변화와 보행자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서울시는 차 없는 거리 정책을 적용하여 왔다. 특히 지자체와 민간은 도시 활력 증진과 소비자 유인이라는 공통의 이해관계에 따라 합의를 통해 차 없는 거리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차 없는 거리 정책에 대하여 정책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COVID-19 이후 기간에서 차 없는 거리 정책을 살펴본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차 없는 거리가 도입된 상업 거리인 종로 52길에 대하여 통제집단합성법을 활용하여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종로 52길에서의 차 없는 거리 정책은 유입 인구 증대를 통해 도시 활력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 결과에 따라 정책이 효과를 보이기까지 3개월가량이 소요된 점을 고려할 때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선 적정한 시간 간격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그러나 정책 시행으로부터 1년이 경과하기 전에 종로 52길에서 생활인구 밀도 증가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COVID-19 시기에는 합성통제지역보다 생활인구 밀도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 없는 거리 정책에 대해 보다 장기적인 관점의 인구 유입 전략과 감염병 확산 하에서 유연한 대응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GPR 기반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두께 검측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Thickness Measurement Method From Concrete Slab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 이태민;강민주;최민서;정선응;최하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9-47
    • /
    • 2022
  • 국내의 공동주택 보급률 증가에 따라 층간소음으로 인한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바닥 충격음 차단 구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해당 구조에 대한 성능 인증이 이뤄지고 있지만 소음 차단 성능이 현장에서는 재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해당 구조가 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일정 두께 이상의 마감 모르타르 타설이 필요하며, 해당 구조의 시공 적정성 판정을 위하여 GPR을 이용한 두께 측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두께 측정 알고리즘은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대유전율을 설정할 수 있어 정확한 두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네 종류의 바닥 충격음 차단 인증 구조에서 GPR 두께 측정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GPR 데이터와 천공 측정 데이터 간 평균 오차는 1.95mm로 나타났다. 또한 마감재 유무가 측정값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3가지 종류의 마감재를 배치하고 실험을 진행으며, 평균 오차는 1.70mm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장비의 샘플링 오차, 개발 알고리즘 변수, 천공 오차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GPR 계측 및 제안 알고리즘은 매우 높은 정확도로 슬래브 마감 모르타르의 두께 측정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isk factors for cancer-specific survival in elderly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curative gastrectomy

  • Liu, Xiao;Xue, Zhigang;Yu, Jianchun;Ma, Zhiqiang;Kang, Weiming;Ye, Xin;Li, Ziji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5호
    • /
    • pp.604-615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ancer-specific survival (CS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elderly gastric cancer (EGC) patients. SUBJECTS/METHODS: EGC patients (≥ 70 yrs) who underwent curative gastrectomy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7 at our hospital were included.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data were collecte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was used to extract the best cutoff point for body mass index (BMI). A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CSS. RESULTS: In total, 290 EGC patients were included, with a median age of 74.7 yr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31 (1-77) mon. The postoperative 1-yr, 3-yr and 5-yr CSS rates were 93.7%, 75.9% and 65.1%, respectively.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risk factors for CSS, including age (hazard ratio [HR] = 1.0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15), intensive care unit (ICU) admission (HR = 1.73; 95% CI, 1.08-2.79), nutritional risk screening (NRS 2002) score ≥ 5 (HR = 2.33; 95% CI, 1.49-3.75), and preoperative prognostic nutrition index score < 45 (HR = 2.06; 95% CI, 1.27-3.33). The ROC curve showed that the best BMI cutoff value was 20.6 kg/m2.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a BMI ≤ 20.6 kg/m2 (HR = 2.30; 95% CI, 1.36-3.87), ICU admission (HR = 1.97; 95% CI, 1.17-3.30) and TNM stage (stage II: HR = 5.56; 95% CI, 1.59-19.43; stage III: HR = 16.20; 95% CI, 4.99-52.59)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SS. CONCLUSIONS: Low BMI (≤ 20.6 kg/m2), ICU admission and advanced pathological TNM stages (II and III) a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SS in EGC patients after curative gastrectomy. Nutrition support, better perioperative management and early diagnosis would be helpful for better survival.

가우시안 프로세스 회귀를 통한 열 성장 계수 기반의 어류 성장 예측 모델 (TGC-based Fish Growth Estimation Model using Gaussian Process Regression Approach)

  • 성주형;조성윤;정다은;김종원;박정환;권기원;고영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61-69
    • /
    • 2023
  • 최근 수산 자원의 고갈에 따른 육상 양식장에서의 '기르는 어업'에 의한 생산성 향상에 대한 기대가 크게 고조되고 있다. 육상 양식장의 경우, 해상 환경과 달리 환경 및 양성 요소에 대한 제어와 관리가 용이하며, 출하 계획에 따른 생산량 조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반면, 자연 환경에서와 달리 어류 성장을 위한 인위적인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운영에 따른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계획된 목표 출하량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양식장을 운영함으로써 이윤 극대화를 추구할 수 있다. 이러한 효율적인 양식장 운영 및 어류 양성을 위해서는 대상 어종에 따른 정확한 성장 예측 모델이 반드시 요구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성장 예측 모델은 양식장 수집 데이터를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 기반의 수치 해석적인 결과들이 주를 이룬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통계적 관점에 의한 성장 예측 모델이 가질 수 있는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 및 낮은 정확도에 대한 정량적 수치를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확률적 관점에서의 성장 예측 모델을 제시한다. 확률적 접근을 위하여 양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수온을 기반으로 한 가우시안 프로세스 회귀 방식을 도입하여 모델링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특정 시점에서의 성장 예측값에 대한 평균치와 해당 값에 대한 신뢰구간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양식장 운영을 위한 참고 수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의도적 음독 후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음주 여부와 관련된 임상 양상 (Clinical features related to alcohol co-ingestion of deliberate self-poisoning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department)

  • 김규원;이운정;김대희;이준영;김상윤;정시경;홍성엽;우선희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8-65
    • /
    • 2022
  • Purpose: Alcohol is one of the most commonly co-ingested agents in deliberate self-poisoning (DSP) cases presenting at the emergency department (ED). The increased impulsivity, aggressiveness, and disinhibition caused by alcohol ingestion may have different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in cases of DSP.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lcohol co-ingestion affects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of DSP patients in the ED. Methods: This wa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We investigated DSP cases who visited our ED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6.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with (ALC+) or without (ALC-) alcohol co-ingestion. The clinical features of DSP were compared by considering the co-ingestion of alcohol, and the factors related to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AMA) of DSP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689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with 272 (39.5%) in the ALC+ group. Majority of the ALC+ group patients were middle-aged males (45-54 years old) and arrived at the ED at night. The rate of discharge AMA from 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C+ group (130; 47.8%) compared to the ALC- group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tained in the poisoning severity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p=0.223).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alcohol co-ingestion (odds ratio [OR]=1.42;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98), alert mental status (OR=1.65; 95% CI, 1.17-2.32), past psychiatric history (OR=0.04; 95% CI, 0.01-0.28), age >65 years (OR=0.42; 95% CI, 0.23-0.78), and time from event to ED arrival >6 hrs (OR=0.57; 95% CI, 0.37-0.88)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of discharge AMA (p=0.043, p=0.004, p=0.001, p=0.006, and p=0.010, respectively). Conclusion: Our results determined a high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ingestion and the outcome of discharge AMA in DSP patients. Emergency physicians should, therefore, be aware that DSP patients who have co-ingested alcohol may be uncooperative and at high risk of discharge AMA.

딥러닝 기반 고속철도교량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예측 (Running Safety and Ride Comfort Prediction for a Highspeed Railway Bridge Using Deep Learning)

  • 김민수;최상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375-380
    • /
    • 2022
  • 고속철도 교량은 열차 하중에 의한 공진으로 인한 동적응답 증폭의 위험이 존재하므로 설계기준에 따른 동적해석을 통한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검토를 반드시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산정 절차는 열차의 종류별로 임계속도를 포함하여 설계속도의 110km/h까지 10km/h 간격으로 동적해석을 일일이 수행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된다. 이 연구에서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별도의 동적해석 없이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예측 시스템 개발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철도교량의 열차별, 속도별 동적해석 결과를 학습한 후 학습 완료된 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예측 시스템이며, 열차속도, 교량 특성 등의 입력파라미터에 따른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산정 결과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경간 직선 단순보 교량을 대상으로 한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예측을 수행하였고,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산정을 위한 상판 연직변위 및 상판 연직가속도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 Nationwide Analysis Evaluating the Safety of Using Acellular Dermal Matrix with Tissue Expander-Based Breast Reconstruction

  • Jessica Luo;Whitney D. Moss;Giovanna R. Pires;Irfan A. Rhemtulla;Megan Rosales;Gregory J. Stoddard;Jayant P. Agarwal;Alvin C. Kwo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6호
    • /
    • pp.716-723
    • /
    • 2022
  • Background In March 2021,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safety communication cautioned against the use of acellular dermal matrix (ADM) products in breast reconstruction and reiterated that the FDA does not approve ADM use in breast surgery.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safety of ADM use in breast reconstruction. Methods Women who underwent ADM and non-ADM assisted tissue expander (TE)-based breast reconstruction were identified using the National Surgical Quality Improvement Program database (2012-2019). Trends of ADM use over time, and 30-day outcomes of surgical site infection (SSI), dehiscence, and unplanned reoperation were assessed. Results Of the 49,049 TE-based breast reconstructive cases, 42.4% were ADM assisted and 57.6% non-ADM assisted. From 2012 to 2019, the use of ADM increased from 26.1 to 55.6% (relative risk [RR] =1.10; p < 0.01). Higher rates of SSI (3.9 vs. 3.4%; p = 0.003) and reoperation (7.4 vs. 6.0%; p < 0.001) were seen in the ADM cohor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en in dehiscence rates (0.7 vs. 0.7%; p = 0.73). The most common reoperation within 30 days for the ADM group (17.6%) was removal of TE without insertion of implant (current procedural terminology: 11,971). ADM-assisted breast reco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elative risk of SSI by 10% (RR = 1.10, confidence interval [CI]: 1.01-1.21; p = 0.03) and reoperation by 15% (RR = 1.15, CI: 1.08-1.23; p < 0.001). Conclusions ADM-assisted breast reconstruction more than doubled from 2012 to 2019. There are statistically higher complication rates of SSI (0.5%) and reoperation (1.4%) with ADM use in TE-based breast reconstruction, suggesting that reconstruction without ADM is safe when comparing immediate postoperative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