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Curve Regression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3초

Parameter Estimation and Prediction for NHPP Software Reliability Model and Time Series Regression in Software Failure Data

  • Song, Kwang-Yoon;Chang, In-Hong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67-73
    • /
    • 2014
  • We consider the mean value function for NHPP software reliability model and time series regression model in software failure data. We estimate parameters for the proposed models from two data sets. The values of SSE and MSE is presented from two data sets. We compare the predicted number of faults with the actual two data sets using the mean value function and regression curve.

곡선 회귀모형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미래 고장 시간 예측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Software Future Forecasting Failure Time Using Curve Regression Analysis)

  • 김희철;신현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5-121
    • /
    • 2012
  • 소프트웨어 고장 시간은 테스팅 시간과 관계없이 일정하거나. 단조증가 혹은 단조 감소 추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신뢰모형들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척도로 자료에 대한 추세 검정이 개발되어 있다. 추세 분석에는 산술평균 검정과 라플라스 추세 검정 등이 있다. 추세분석들은 전체적인 자료의 개요의 정보만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장시간을 측정하다가 시간 절단이 될 경우에 미래의 고장 시간 예측에 관하여 연구 하였다. 곡선회귀모형에 이용되는 S곡선모형과 성장모형, 로지스틱을 이용하여 미래고장 시간을 예측하여 비교 하였다. 제안된 예측방법에서는 고장시간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들에 대한 예측 값을 결정계수 와 평균제곱오차를 이용하여 비교 하고 효율적 모형을 선택 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고효율 차체용 780MPa급 강판의 저항 점 용접 강도 예측 모델 개발 (Strength Estimation Model of Resistance Spot Welding in 780MPa Steel Sheet Using Simulation for High Efficiency Car Bodies)

  • 손창석;박영환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0-77
    • /
    • 2015
  • Nowadays, car manufacturers applied many high strength steels such AHSS or UHSS to car bodies for weight lightening. Therefore, a variety of applied steel sheet to car bodies increased and the needs of simulation to evaluate weldability also increased in order to reduce the cost and time. In this study, resistance spot welding simulations for DP 780 Steel with 1.0 and 1.4 mm thickness were conducted with respect to lobe curve. 2 regression models to estimate tensile shear strength were suggested and they were second order polynomial regression model and optimized second order regression model. The performance of these models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coefficient of determinant and average error rate.

Development of an index that decreases birth weight, promotes postnatal growth and yet minimizes selection intensity in beef cattle

  • Kenji Togashi;Toshio Watanabe;Atsushi Ogino;Masakazu Shinomiya;Masashi Kinukawa;Kazuhito Kurogi;Shohei Toda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5호
    • /
    • pp.839-851
    • /
    • 2024
  • Objective: The main goal of our current study was to improve the growth curve of meat animals by decreasing the birth weight while achieving a finishing weight that is the same as that before selection but at younger age. Methods: Random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to derive various selection indices to achieve desired gains in body weight at target time points throughout the fattening process. We considered absolute and proportional gains at specific ages (in weeks) and for various stages (i.e., early, middle, late) during the fattening process. Results: The point gain index was particularly easy to use because breeders can assign a specific age (in weeks) as a time point and model either the actual weight gain desired or a scaled percentage gain in body weight. Conclusion: The point gain index we developed can achieve the desired weight gain at any given postnatal week of the growing process and is an easy-to-use and practical option for improving the growth curve.

몇가지 채소류의 펀치특성 (Punch Properties of Some Vegetables)

  • 민용규;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3-278
    • /
    • 1997
  • 몇가지 채소류(오이, 무우, 마늘, 생강 및 감자)의 펀치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식품물성 측정기로 일정하게 힘을 가하면서 힘-거리-시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분함량 및 세포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힘-거리 및 거리-시간 곡선 상에는 많은 변곡점 및 파괴점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시료의 구성세포가 가해진 힘에 대해 저항 또는 항복할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탐침속도가 느릴때 크고 분명하였다. 파괴점까지 힘-시간 및 거리-시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상관계수는 0.95이상이었다. 탐침이 시료를 관통하는 시간과 그때의 힘은 생강이 5.63초 및 4.88 N으로 컸고 오이가 4.15초 및 2.00 N으로 작았으며, 탐침속도가 빠를 수록 더 많은 파괴힘을 필요로 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세포가 클수록 수분함량이 많고 파괴거리가 커지며, 세포의 규칙성, 시료의 즙액, 조밀도와 힘-시간 간의 기울기는 작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비중이 클수록 파괴힘, 거리 및 시간은 작아졌으며, 거리-시간곡선의 기울기는 힘-시간곡선의 기울기와 반비례 관계가 있었다.

  • PDF

부산시 교통사고예측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Model in Pusan)

  • 이일병;임현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03-122
    • /
    • 1992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model using traffic accident data in pusan from 1963 to 1991 and then to make short-term forecasts('93~'94) of traffic accidents in pusan. In this research, several forecasting models are developed. They include a multiple regression model, a time-series ARIMA model, a Logistic curve model, and a Gompertz curve model. Among them, the model which shows the most significance in forecasting accuracy is selected as the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mode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1. The existing model such as Smeed model which was developed for foreign countries shows only 47.8% explanation for traffic accident deaths in Korea. 2. A nonliner regression model ($R^2$=0.9432) and a Logistic curve model are appeared to be th gest forecasting models for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nd a Logistic curve model shows th most significance in predicting the accident deaths and injuries. 3. The forecasting figures of the traffic accidents in pusan are as followings: . In 1993, 31, 180 accidents are predicted to happen, and 430 persons are predicted to be deaths and 29, 680 persons are predicated to be injuries. . In 1994, 33, 710 accidents are predicted to happen, and 431.persons are predicted to be deat! and 30, 510 persons are predicted to be injuried. Therefor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traffic accidents are certainly required.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New Product Demand Curve Estimation Using Online Auction Data

  • Shim Seon-Young;Lee Byung-Tae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1권3호
    • /
    • pp.125-136
    • /
    • 2005
  • As the importance of time-based competition is increasing, information systems for supporting the immediate decision making is strongly required. Especially high -tech product firms are under extreme pressure of rapid response to the demand side due to relatively short life cycle of the product. Therefore, the objective of our research is proposing a framework of estimating demand curve based on e-auction data, which is extremely easy to access and well reflect the limited demand curve in that channel. Firstly, we identify the advantages of using e-auction data for full demand curve estimation and then verify it using Agent-Eased-Modeling and Tobin's censored regression model.

R&D 투자와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 CO2 사례 분석 (R&D and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CO2 Case)

  • 강희찬;황상연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5권1호
    • /
    • pp.89-112
    • /
    • 2016
  • 본 논문은 환경쿠즈네츠곡선가설에 기반을 두고, 경제개발 수준과 기술혁신수준이 다른 전세계 88개 국가에 대한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술혁신이 이산화탄소배출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술혁신이 온실가스배출량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과와 소득수준을 변화시켜 온실가스배출량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를 종합해본 결과, 비록 미세하지만 기술혁신은 결과적으로 온실가스배출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패널데이터 모형은 각 '시점 내'에서 변수 간 효과를 분석하는 정태적 모형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채용한 Panel VAR(Panel Vector Auto Regression)모형에서는 기술혁신수준이 시차를 두고 온실가스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 기술혁신(R&D 투자)과 같은 외생적 충격(Shock)이 일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3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곡선을 이용한 단시간 노출에 대한 AEGL의 적용 (Apply AEGL for Short Time Exposure Using Regression Curve)

  • 이현진;정태준;이향직;정창모;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7-82
    • /
    • 2017
  • 노후화 된 공정설비와 공장의 규모 확대 등 유해화학물질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누출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장외영향평가에서 누출에 대한 끝점 농도는 ERPG 2로 나타내며, 안전보건공단의 가이드에서 시간에 따라 7분 미만에서 10분의 AEGL 2, 7분 이상 25분 미만일 때는 30분의 AEGL 2값을 사용한다. 기준이 되는 끝점 농도가 시간에 따라 모호하게 사용되고 있어, 사고 발생 시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생각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회귀곡선을 통해 1~10분 사이의 AEGL 값을 도출하고, 동 시간의 Probit function의 0% Lethality 데이터와 비교하였으며, AEGL 결과 값을 사용하여 보다 명확한 시간에 따른 독성누출 평가에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A Forecasting Model for the Flood Peak Stage and Flood Travel Time by Hydraulic Flood Routing

  • Yoon, Yong-Nam;Park, Moo-Jong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4권
    • /
    • pp.11-19
    • /
    • 1993
  • The peak flood discharge at a downstream station and the flood travel time between a pair of dams due to a specific flood release from the upper reservoir are computed using a hydraulic river channel routing method. The study covered the whole large reservoir system in the Han River, Korea. The computed flood discharges and the travel times between dams were correlated with the duration and the magnitude of flood release rate at the upstream reservoir, and hence a multiple regression model is proposed for each river reach between a pair of dams. The peak flood discharge at a downstream location can be converted to the peak flood stage by a rating curve. Hence, the proposed regression model could be used to forecast the peak flood stage at a downstream location and the flood travel time between dams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flood travel time, release rate and duration from the upper d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