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lers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27초

수도 출수기의 분벽별 적엽 및 적수처리가 종실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foliation and Panicle Removal at Heading Stage on Grain Weight in Rice Plant)

  • 김광호;이용주;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0-27
    • /
    • 1982
  • 출수기 이후 벼의 동화산물이 분벽자간에 이동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1979년에는 일본형 품종 아끼바레만을 그리고 1980년에는 아끼바레와 통일계 품관인 밀양 2003의 두 품종을 공시, 출수기에 분벽자단위로 적엽 또는 적수처리의 정도를 달리하므로써 동일주내의 Source와 Sink의 크기를 조절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일주내에서 적엽한 분벽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적엽한 분벽자의 등숙율은 점차로 감소되었으나 완전적엽한 주의 등숙율보다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 2. 동일주내에서 적엽일적수의 비율을 달리한 처리구간에는 등숙율의 차이가 없었으나 완전적엽한 주의 등숙율보다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 3. 동일주내에서 적엽한 분벽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적엽한 분벽자의 수당립중은 점차로 감소되었으나 완전적엽한 주의 수당립중보다는 많았다. 4. 동일주내에서 적엽일적수의 비율을 달리한 처리구간에는 수당립중의 차이가 없었으나 완전적엽구의 수당립중보다는 많은 값을 보였다. 5. 동일주내에서 적엽한 분벽자의 수를 달리하거나 적엽일적수한 분벽자의 비율을 달리한 결과 출수기 이후에도 동화산물이 분벽자간에 이동되는 것이 확인됐고 이와 같은 현상을 Source와 Sink의 관계로 해석할 수 있었다.

  • PDF

맥류의 분벽별 생육상 및 생산능력의 변이에 관한 연구 (Growing Process of Tillers in Wheat and Barley and Its Contribution to Grain Production)

  • 남윤일;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121
    • /
    • 1983
  • 점파 조건하에서 맥류 분벽의 발생과 유무효화, 분벽 벽자간 유수의 분화 발육, 질소 함유율의 변이 및 생산능력에 관하여 조사하였든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간과 1차의 1, 2, 003 분벽은 분벽 최성기까지 거의 100% 발생하였으나 004 분벽은 60-88%정도 발생하였고, 2차 분벽은 발생 비율도 낮고 품종간 차도 컸다. 2. 단위면적당 수수를 구성하는 유효분벽의 비는 소맥에서는 주간이 100%, 1차의 1, 002는 90-95% 003 분벽은 70-85%이었고 004 및 1P분벽은 8-49%였으며, 대맥도 주간 및 1차의 1,002 분벽은 소맥과 비슷한 정도였으나 고위 분벽의 유효화는 소맥에 비하여 낮았다. 3. 분벽별 엽의 출현은 소맥에서는 주간 7엽위부근까지는 동신엽 이론대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엽위에서는 엽의 출현에 조만이 인정되었고 엽수도 이론치보다 벽자에서는 1엽 정도 더 출현되었다. 그러나 대맥에서는 이론치와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4. 유수의 분화, 발육은 품종에 따라 또 분벽 차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차이는 대맥보다 소맥이 더욱컸다. 5. 출수 및 개화기는 주간이 가장 빠르고 분벽들은 주간에 비하여 벽자에 따라 1-6일 정도 지연되었는데, 개화기는 출수기에 비하여 분벽간에 더 큰 차이가 있는 경향이었다. 6. 소맥 엽신의 질소 함유량은 생육초기에 높고, 생육이 진전되면서 감소하였으며, 벽자간에는 고위 분벽의 엽신일수록 높았다. 7. 단위면적당 전종실중에 기여하는 각 분벽의 비율은 소맥에서는 주간과 1차의 1, 002 분벽간에는 큰 차이없이 각각 약 20-26%를 점유하였으나, 대맥은 주간의 기여도가 가장커서 전종실중에 대하여 약 ⅓, 다음은 1, 2, 003 분벽의 순으로, 수량 구성의 주체는 주간과 1차의 1, 2, 3호 분벽이었다.

  • PDF

Orchargrass의 식생 구조 III. 개체밀도의 감소원인 (Vegetational Structure of Orchardgrass Sward III. Decreasing causes of plant density)

  • 이주삼;강치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0-25
    • /
    • 198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know the decreasing causes of plant density and its relations with pasture productivity by the times of established pastur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yield components of dead plant can be used to estimate the changes of pasture productivity by the times of established pasture. 2 . The number of dead plants(PD) showed a quadraticalrelation with mean dry weight of dead plant $W/pl.)$ by the times of established pasture. 3.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number of tillers per dead plant to mean number of tillers of adjacent plants (RNT) and relative ratio of number of tillers per dead plant to number of tillers of plants in the 1st cutting (RNDT) showed highly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in 1 and 3 years old pasture. 4. Less than 100 of RNT were 79.5 %, 71.4 % and 100 % of dead plants in 1, 3 and 5, and 7 years old pasture, respectively. 5. Not exceeding values of RNDT to MRRNT were 89.7 %, 71.4 % and 100 % of dead plants in 1, 3 and 5, and 7 years old pasture. 6 . The values of 79.5 %, 57.2 % and 100 % of dead plants in 1, 3 and 5, and 7 years old pasture were not exceeding to MRRNT and less than 100 of RNT. 7. From the results described above, it was discussed that the relative number of tillers per dead plant(RNT) should be described not absolute deaeasing causes of plant density in 1 and 3 yars old pasture. But, the total number of dead plants in 5 and 7 years old pasture were absolutely influenced by RNT and MRRNT.

  • PDF

수도의 수수와 분얼에 미치는 석회, 가리의 효과 (The Effect of Lime and potassium on the Number of panicles and Tillers)

  • 오왕근;이상범;박찬호;김성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49-54
    • /
    • 1972
  • 다수확을 하는 벼의 모습을 알고 그 벼를 만드는데 미치는 소석회와 가리의 영향을 밝히고자 3개의 폿드시험과 1개의 포장시험결과를 가지고 수도의 수수와 분수수와의 관계를 조사하는 동시, 소석회와 가리비료가 분얼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생육초기(영양생장기)의 분얼수는 수수와 상관관계가 미약하거나 부상관을 가지며 유수형성기에 임박해서부터의 분얼수는 수수와 밀접한 정상관관계를 갖는다. 2. 가리는 분얼을 증가하는 효과가 있고 소석회는 분얼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 두가지 성분의 서로 상반된 작용은 실용적인 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것이므로 분얼생리 및 토양화학적인 면에서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3. 소석회의 분얼억제효과의 일부는 소석회가 주는 반응상승 때문인 것으로도 여겨진다.

  • PDF

재식밀도 및 파종기 이동에 따른 기장(Panicum miliaceum L.)의 분얼발생 양상 및 생육 특성 (Effect of Planting Density and Seeding Date on the Tiller Aspec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 윤성탁;한태규;정인호;김영중;유제빈;양경;예민희;한광섭;백승우;김순일;이명철;김건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11-518
    • /
    • 2016
  • 본 연구는 재식밀도 및 파종기 이동이 기장의 분얼발생 및 생육·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계화 수확을 위한 분얼억제 및 생육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재식밀도에 따른 기장의 총 분얼경수와 1차·2차 유효경비율은 조간 60 ㎝보다 80 ㎝에서 높았으며 주간거리가 20 ㎝로 늘어날수록 증가하여 재식밀도가 낮아질수록총 분얼경수와 유효경비율이 증가하였다. 파종기 이동에 따른 기장의 1차 유효경비율은 5월 23일(2차) 파종기에서 91.7%로 가장 높았으며 6월 13일(3차, 89.8%), 5월 2일(1차, 85.6%), 7월 4일(4차, 85.2%) 순이었다. 2차 유효경비율은 5월 2일(1차, 53.7%), 5월 23일(2차, 40.7%), 6월 13일(3차, 22.2%), 7월 4일(4차, 0%) 순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재식밀도에 따른 기장의 출수소요일과 성숙소요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밀식할수록 간장이 증가하였으며 분얼경수, 경직경, 수장, 수당립수, 천립중 모두 감소하였다. 파종기 이동에 따른 기장의 생육 및 수량 특성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출수소요일, 성숙소요일, 간장, 경직경, 수장, 수당립수 및 수량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6월 13일(3차) 파종기부터 습해로 인한 생육부진으로 특성들의 감소폭이 컸다.

다얼성 옥수수 연구 III. 분얼발생의 습성 및 형태 (The Maize with Multiple Ears and Tillers (MET) III. Developmental Habit and Morphology of the Tillers)

  • Choe, Bong-Bo;Lee, Hee-Bong;Lee, Won-Koo;Kang, Kwon-Kyoo;Jong, Seung-K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29
    • /
    • 1989
  • 분얼하는 옥수수에서 분얼의 발생시기 발생부위, 개체당분얼수, 분얼각, 근계, 크기등에 대해 조사 보고된 바가 없기에 이들 특성을 알기 위해 국내 재래종에서 순계분리한 자식계통 및 교잡종을 중심으로 1987년과 2988년에 포장조사한 것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일차분 시기는 충남의 유성에서 5월 11일경 파종시 주경의 제일본엽이 지하에 출현후 18일 내지 20일이었고, 제일차분얼은 일차분얼이 있은 후 4~5일 후였다. 자식계통들 사이와 교잡종들 사이에는 분얼의 발생시기에 큰 차이가 없었고 교잡종 자식계통보다 2일 정도 빨랐다. 2. 분얼들의 발생부위는 거의 모든 시험계통들이 주경의 지하절에서 였다.(예외 : Tlr 계통) 3. 개체당 분얼수는 재식밀도에 관계없이 계통 및 교잡종에 따라 달랐다. IK나 IRI같은 자식계토은 개체당 분얼수가 2~3개로 정해졌으나 왜성과 같은 계통은 5내지 10개가 되기도 하였다. (IK$\times$IRI)F$_1$은 3~4개였다. 4. 주경과 분얼이 가지는 분얼각도 유전적 특성으로 대략 3개로 구분할 수 있었다. 1군은 분얼각이 없거나 매우 적은 것, 2군은 분얼각이 45$^{\circ}$정도 되는 것, 3군은 분얼각이 45$^{\circ}$이하되는 것들이다. 5. 분얼의 크기(길이, 직경)는 유효경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데 대부분 재래종 계통이나 이들로 만들어진 교잡종은 60cm$\times$30cm의 재식밀도하에서 유효경 비율이 90% 이상되었다. 6. 분얼의 크기(길이, 직경)는 유효 경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데 대부분 재래종 계통이나 이들로 만들어진 교잡종은 60cm$\times$30cm의 재식밀도하에서 유효경 비율이 90% 이상되었다.^{\circ}C$처리기간중에는 근의 부위에 관계없이 Rf치가 낮은 쪽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높은 쪽에서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인삼근에 있어서 신아의 휴면타파 및 맹아는 ABA와는 별로 관계가 없고 온도숙건에 지배되어 나타나는 GA의 생합성 능력과 그 생합성에 의한 활성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0.2045, 0.1208, 0.2248로 추정되었다. 산란율과 난중과의 관계는 0.6233, -0.2259, 0.2973, 500일영 체중과는 0.2417, 0.0774, - 0.4787로 추정되었다. 산란지수와 난중과의 관계는 0.6171, -0.2706, 0.4579,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 0.3082, -0.0792, -0.3368로 추정하였다. 난중과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는 0.2742, 0.2205, 0.1354로 추정되었다.)에서 47.4%의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고 다음 성계(150일영이상)에서 35.3% 및 유추(30 일영미만)에서 17.3%의 순이었다. 이중 세균성 및 기생충성 질병은 육성계에서의 검색률이 가장 높았으나, 바이러스성 질병은 육성계 및 성계에서 거의 같은 비율로 높았으며 곰팡이성 질병은 유추에서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다.17) 사료비절감은 생산비의 60∼7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공동구인 자가배합을 하여 자기실정에 맞는 경영체질로 운영하고 있었다. (18) 인건비가 생산비의 15∼20%의 비율이며 또한 사람 구득난이라 가족노동을 최대한 활용, 관리를 하고 있으며 생력화를 위해 기계화, 자동화되어 가고 있었다. 애정과 정성심있는 관리로 닭을 스트레스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해 가족관이, 기계자동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19) 시설기구와 육성상각비를 줄이기 위해 관리자의 변동이 없고, 종신직장으로서 긍지와

  • PDF

경운기의 반사등 유무와 교통사고와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Light and Traffic Accidents Involving Power-Tillers)

  • 이경은;이흔지;곽원건;지명구;송현석;홍선영;강미진;주석;이관;정해관;임현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2호
    • /
    • pp.61-70
    • /
    • 2003
  • 농업 기계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기계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많은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중 경운기는 빈번한 교통사고로 그 피해가 막대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경운기 교통사고의 실태를 조사하고 경운기 뒷면에 부착된 반사등 유무에 따라 교통사고의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운기 교통사고는 경주시 현곡면의 경우 최근 5년간, 포항시 기계면은 최근 2년간에 발생한 사고를 대상으로 하였다. 면사무소와 경찰서를 방문하여 경운기 관련 교통사고를 조사하였고, 경미한 사고의 경우 직접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경운기에 의한 교통사고는 반사등이 효력을 나타내는 시간대인 새벽이나 밤 등 어두운 시간대에 일어난 자동차 대 경운기의 추돌 사고로 정의하였다. 정의에 따라 9건의 경운기 교통사고를 조사하였으며, 경운기 운전자의 나이, 성별, 운전 경력 등에 따라 미사고군 36건을 선정하여 총 45건을 대상으로 환자-대조군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고군과 미사고군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에는 운전자의 일반적 특성, 반사등의 예방효과와 경운기 안전에 대한 인식도 등의 항목을 포함하였으며, 사고군에 대해서는 사고 당시의 계절, 시간, 장소, 반사등 부착유무 등의사고 상황을추가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에서 정의한 경운기 교통사고는 총 9건이었다. 미사고군 36건을 포함한 전체 44대의 경운기 중 현재 반사등 부착 경운기는 32대(72.7%)이었다. 현재 반사등의 상태에 대해 양호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사고군 6명(75.0%), 미사고군 12명(50.0%)으로 응답자 32명 중 18명(56.3%)이었다. 야간운행 시 반사등의 예방효과에 관한 인지도 조사에서는 사고군 7명(87.5%), 미사고군 19명(52.8%)으로 응답자 44명 중 26명(59.1%)이 인지하고 있었다. 경운기 반사등 부착운동에 대한 인지도는 사고군 8명(100.0%), 미사고군 30명(83.3%)으로 전체 44명 중에서 38명(86.4%)이 인지하고 있었다. 경운기 안전수칙에 관한 인지도 조사에서는 사고군 6명(75.0%), 미사고군 26명(72.2%)으로 전체 44명 중 32명(72.7%)이 인지하고 있었다. 반사등 부착 유무에 따른 사고율은 반사등 부착군 7.7%, 반사등 미부착군 36.8%로 반사등 미부착군에서 유의하게 사고율이 높았다. 반사등 부착 경운기에 대한 반사등 미부착 경운기의 교차비는 7.00(95% CI: 1.26-38.99)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경운기 사고는 반사등 부착에 의해서 크게 감소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동안 인식 부족으로 많은 경운기 사고가 정확한 원인 조사가 이루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보다 광범위한 조사를 바탕으로 경운기 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경운기 사고에 대한 의료인의 관심이 필요하며 사고 예방을 위해서 정부의 현명한 대책이 중요하다.

  • PDF

동력경운기 이용실태 조사분석(I) -농작업사고에 관하여- (A Survey on the Accidents of the Power Tillers in Korea)

  • 홍종호;이채식;박호석;박판규;김경수;한성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5권2호
    • /
    • pp.58-66
    • /
    • 1980
  •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wer tiller accidents. Eight provinces were covered for this study, and 278 power tiller owners were selected randomly by computer random generato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A. Frequency of accident. (1) Each power tiller had an accident 0.98 times a year and once every 361 hours of use. Higher frequency of accident was found during the miscellaneous operations including the preparation for farming operation, and there was one accident for every 92 hours of use. (2) The power tiller, which are more than six years old, met an accident 1.19 times a year , or one every 311 hours of use. This value was the highest one compared with any other group. (3) Kerosene engine power tillers met an accident 0.97 times a year, or one every 389 hours of use. It was one tie a year, or once every 329 hours of use for diesel engine power tillers. (4) Among diesel-engine power tillers, 10 horse-power group showed a higher frequency tillers. B. Cause of accident (1) The accidents of power tiller were mainly of sefety , which occurred due to the lack of attention during the operation and 47.4% of the total accidents. The next was of accidental, which represented 26.3% of the total accidents. (2) High percentage of safety accidents occurred during the preparation for farming operation including adjustment. Most of the accidental accidents occurred during the transportation. (3) Lower frequency of accident was found in the power tiller group which were operated by the 21-40 years old operator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power tiller which was operated by other age group. Power tillers which were operated by high school graduates experienced less accidents compared to other education levels. C. Damage by accident (1) Eighty seven pescents of the total accidents caused damage to the power tiller operator , and 13 % of the total accidents caused property damage only. (2) With regard to the damage to the power tiller operator, 73.8% of the total accidents caused light injury but 26.3% caused heavy injury. (3) Accidents which occurred during machine preparation , and farming operations caused minor injury to the operator, but the accidents during transportation caused heavy injury which cost more than 15 days for recovery. (4) Among the 39 accidents , which caused property damage 18 accidents were from the transportation . Among the total property damage accidents 53.8% were light one which cost only less than 1,000 won. (5) The property damage from each accident cost 1,017 won, on the average, with regard to the kinds of operation, the highest property damage occurred during transportation work, with the value of 2, 965won.

  • PDF

분얼형 옥수수의 식물학적 특성과 RAPD 분석에 의한 근연관계 (Relationship with botanical characteristics and RAPD analysis of maize inbred lines with tillers)

  • 김철민;이희봉;최현구;정재영;김기훈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1호
    • /
    • pp.8-17
    • /
    • 2001
  • 분얼형 옥수수 자식계통의 식물학적 특정, 유전적 거리를 조사하여 새로운 교잡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험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에 있어서 조사된 20계통 중 K15가 가장 빨랐고 K07이 가장 늦은 개화소요일수를 보였다. 2. 간장과 착수고는 비슷한 경향으로 보며 K04가 가장컸고, K15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상관 분석 결과 분얼수는 개화기 및 출사기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100립중은 개화기, 이삭높이와 고도의 부의 상관을 가지고 있다. 4. RAPD 분석 결과 17개의 BAND가 나타났고 이중 1개 만이 monomolpic band를 보였으며, primer 당 평균 4개의 loci를 보였다. 5. 유전적 거리와 식물학적 특성간에는 개화기, 분얼수, 엽장과 100립중에서 관련이 있었다.

  • PDF

재식밀도변화에 따른 주요 벼 품종의 수량구성요소 변화분석 (Change in Yield Characteristics by Transplanting Density in Major Cultivated Rice)

  • 황운하;이현석;양서영;이충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1호
    • /
    • pp.1-7
    • /
    • 2023
  • 벼 품종별 재식밀도 변경 시 생육특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식밀도 변경 시 간장, 수장의 변화는 없으며 각 포기 사이의 재식거리가 10 cm 넓어질수록 포기당 분얼수는 평균 4.4개, 이삭당 립수는 평균 7.5개 증가하였다. 2. 기존 80주 이앙 시 분얼수 및 립수가 많은 품종이 재식밀도가 감소되어도 분얼수 및 립수가 많은 경향이었다. 3. 재식밀도 감소 시 분얼수 및 립수 증가비율은 기존 80주 재배 시 품종의 분얼수 및 립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재식밀도 감소 시 이삭지경의 개수 및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이 때문에 이삭당 립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