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ler number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6초

Changes of anthocyanidin, growth characteristics and brown rice yield of red colored rices at two region of eastern coast in Gyeongbuk province

  • Kim, Sang Kuk;Shin, Jong Hee;Kim, Se Jo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30-330
    • /
    • 2017
  • The tallest culm length was observed in Geonganghongmi cultivar grown in coast area, and culm length was always taller in coast area than that of inland area among these three red rice cultivars. However, number of tiller per rice plant was not affected by different cultural area.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was much more increased in inland area. Regional difference in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was only observed in Jeongjinju cultivar. Among these red rice cultivars, the highest brown rice yield was Jeongjinju rice cultivar having 702kg in inland area and 692kg in coast area, respectively. The $L^*$ values, which expresses the brightness, were in the range of 36.3 ~ 36.7, 36.7 ~ 37.0, and 38.7 ~ 39.6 in Jeogjinju, Hongjinju, Geonganghongmi rice cultivars, respectively. The $a^*$ values, which expresses the redness positively and greenness negatively were in the range of 12.3 ~ 12.8, 12.2 ~ 12.3, and 12.1 ~ 11.9 in Jeogjinju, Hongjinju, Geonganghongmi rice cultivar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b values, which expresses the yellowness positively and blueness negatively were in the range of 13.8 ~ 14.0, 13.6 ~ 13.5, and 14.9 ~ 14.7 in Jeogjinju, Hongjinju, Geonganghongmi rice cultivars, respectively. Anthocyanidin content ranged 524 to $610{\mu}g/g$ dry weight basis. Cyanidin content was 11.4 to 14.0 times higher than that of delphinidin under coast and inland area. Among these rice cultivars, anthocyanidin content was always higher in rice cultivar grown at coast area. Highest head brown rice rate was only observed in Geonganghongmi to 95.2 at coast area and 95.4 inland area, respectively. Protein content was always higher in coast area than that of inland area. The lowest protein content was measured in Jeogjinju and amylose content was relatively increased in inland area compared to that of coast area. Consequently, in considered with brown rice yield and pigment content, Hongjinju rice cultivar was recommended in optimal pigment rice cultivar in eastern coas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 PDF

CO2농도와 온도 상승이 한국멸종위기식물 독미나리의 생장에 주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CO2 and Temperate on the Growth of Endangered Species, Cicuta virosa L. in Korea)

  • 박재훈;홍용식;김해란;정중규;정헌모;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18
    • /
    • 2014
  • 증가된 이산화탄소 농도와 온도상승에 따른 멸종위기 수생식물 독미나리의 생태학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대조구, 온도상승구, 그리고 $CO_2$+온도상승구에서 생육시킨 결과를 비교하였다. 독미나리의 지상부 길이는 대조구, 온도상승구 그리고 $CO_2$+온도상승구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분얼 수는 대조구, 온도상승구, $CO_2$+온도상승구 순으로 증가했다. 복산형화서의 수는 대조구와 온도상승구에서 같았고, $CO_2$+온도상승구에서 감소했다. 소산형화서의 수는 대조구와 온도상승구, $CO_2$+온도상승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종자형성률은 온도상승구와 $CO_2$+온도상승구가 대조구보다 감소했고, 온도상승구와 $CO_2$+온도상승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으로 보면, $CO_2$농도와 온도상승은 길이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분얼 수는 증가시키고 종자생산은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독미나리는 지구 온난화 조건이 되면 종자생산보다 분얼을 늘려 무성번식 경향이 증가될 것이며, 이러한 개체군 생장을 연구하는 것은 멸종위기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율무에 대한 질소시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Yield of Job's Tears)

  • 강치훈;육완방;김두환;윤장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40-346
    • /
    • 2000
  • 본 실험은 질소 시비 수준 0, 80, 160, $240kg\;ha^{-1}$에 따른 율무 1호 품종의 생육 특성, 조곡 수량, 질소축적 및 수확 후 토양의 화학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질소시비 수준이 증가될수록 출수, 개화기는 단축되었으나 개화기부터 수확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증가되어 파종에서 수확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0-5 일 증가되었다. 질소시비 수준이 증가할수록 간장, 주분얼경의 수, 착립부위고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5). 주간절수, 주간직경, 착립부위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간의 소수지경수, 주간의 착립절간은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 $80kg\;ha^{-1}$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P<0.05) 조명나방 피해는 질소 $240kg\;ha^{-1}$ 처리구에서 30%로 높아 수량감소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수량구성요소는 질소시비량과 비례하여 양호해지는 경향이었으나 주당립수는 질소시비량 $160kg\;ha^{-1}$ 구에서 가장 많아 조곡 수량이 $3,410kg\;ha^{-1}$로 최고 질소 시비수준인 $240kg\;ha^{-1}$구에 비해 $140kg\;ha^{-1}$ 많았다. 질소사용효율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실험후 토양중 총 질소함량은 실험전에 비해 질소 0, $80kg\;ha^{-1}$ 구에서는 낮았으며 질소 160, $240kg\;ha^{-1}$ 구에서는 높았다.

  • PDF

친환경 광역단지 내 젤라틴·키틴분해미생물을 이용한 유기 벼 생산 (Organic Rice (Oryza sativa L.) Production in Eco-friendly Complex using Gelatin·Chitin Microorganisms)

  • 최승희;차광홍;서동준;박흥규;권오도;안규남;이재학;김길용;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29-647
    • /
    • 2018
  • 1. 유기재배구의 토양조건은 배수가 약간 불량한 미사질 양토인 전북통 보통답으로 유효규산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 논토양의 화학적 성분과 평균 함량이 유사하였다. 2. 관행재배구와 유기재배구 간에 생육은 초장, 분얼수, 이삭수, 이삭길이 모두 관행재배구에서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삭당 입수와 등숙율은 유기재배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3. 병해충 발생정도는 물바구미, 잎집무늬마름병, 혹명나방, 도열병이 유기재배구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이삭누룩병은 관행재배구에서 조금 더 많이 발생하였다. 4. 주요 관리대상 병해충인 잎집무늬마름병(y=-0.2848x+199.57, $R^2=0.704^*$), 혹명나방 발생(y=-0.1361x+92.535, $R^2=0.8049^*$)과 쌀 수량과의 관계에서 유의성이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5. 백미 품질은 유기재배구에서 파쇄미의 증가로 완전립 비율이 낮았지만, 단백질함량이 관행재배구에 비해 낮아 전반적인 품질 및 윤기치가 높아졌다. 6. 쌀 재배 순수익은 관행재배구에서 36만원/10a, 유기재배구에서 61만원/10a로 유기재배구의 순수익이 68% 높게 나타났다.

장수지역에서 국내육성 호밀품종의 채종재배기술 개발 (Devolpment of Optimal Seed Production Methods Using Domestic Rye Cultivar in Jangsu Province)

  • 송주희;한옥규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1호
    • /
    • pp.43-53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호밀 종자의 자급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북 장수지역에 적합한 종자 채종기술을 개발하고자 2013~2015년까지 3개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다. 품종은 국내 육성종인 곡우호밀을 사용하였다. 시험구는 파종량 4수준(3, 5, 7, 9 kg/10a), 질소시비량 4수준(0, 3, 6, 9 kg/10a)으로 처리별 단요인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으며, 생육특성과 종실생산성을 평가하였다. 장수지역에서 호밀 종자의 파종량을 10a당 3 kg으로부터 9 kg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m2당 이삭수·도복이 증가하였으며, 유효경수·임실률·리터중·1000립중 및 종실수량은 감소하였다. 질소 시비량은 10a 당 3 kg으로부터 9 kg으로 증가시킴으로써 m2당 이삭수, 간장, 1수립수, 도복 및 종실수량은 증가하였으며, 1립중 및 리터중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호밀의 종실수량, 파종용 종자 비용과 질소 과잉 시비에 따른 환경오염, 도복 등을 고려할 때 장수지역에서 호밀 종자생산을 위해 적합한 파종량은 10a당 5 kg, 질소 시비량은 10a당 6 kg로 추천되었다.

벼 수확전 파종 보리의 생육과 수량성 (Growth and Yield of Barley Broadcasted before Rice Harvest)

  • 주정일;김칠현;문창식;김창영;조장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28-436
    • /
    • 1995
  • 벼 수확과 맥류파종간에 노동력 및 농기계에 대한 경합을 분산하면서 무경운에 의한 파종작업의 조방화로 성력효과를 기하고자 벼 수확전 입모중에 맥류 종자를 전면 산파하고 벼 수확시 볏짚으로 맥류종자를 피복되게 하는 파종법을 트렉터부착 줄뿌림 파종기에 대한 휴입세조파 방법과 비교하였다. 파종방법간 비교시험은 올보리를 공시하여 1990~1994년 4사맥작기간 동안 대전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입모중 파종기 시험으로 벼 수확전 1일, 5일, 10일, 15일에 파종한 후 파종기 차이에 따른 생육 및 수량반응을 1992~1994년까지 2작기 동안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입모중 보리 산파는 세조파에 비하여 월동전후 초장이 길고 분얼수가 많았으나 월동후 고엽율은 평균 17.4% 높았다. 2. 지상부 생육은 세숙파에 비하여 입모중 파종에서 저조하였고, 출수기와 성숙기는 두 파종방법간 비슷하였다. 3. 수량은 입모중 파종에서 평균 364 kg / 10a로 세조파 파종에 비하여 평균 20.6% 감소하였고 이는 주로 m$^2$ 당 이삭수 및 1수입수의 감소에 기인하였다. 4. 벼 수확전 파종일에 따른 보리의 생육 및 수량성은 유의성이 없었다. 5. 입모중 파종이 세조파 파종에 비하여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의 연차간 변의가 높았다.

  • PDF

동해안 지역에서 벼 요철골 담수직파시 적정 파종량 (Optimum Seeding Rate of Water Seeded Rice on Corrugated Paddy Surface in East Coastal Area)

  • 이점식;박성태;이기영;신상욱;김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22-527
    • /
    • 1997
  • 담수직파와 건답직파의 절충형 직파양식인 벼 요철골 담수직파방법에서 적정 파종량을 구명하고자 영남농업시험장 영덕출장소에서 1994년과 1995년 2년가 파종량 3, 4, 5, 6, 7kg/10a으로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2$당 입모수는 97~161개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입모수가 많았으나 파종량 3kg /10a에서도 요철골 담수직파재배시 안전 입모수 확보는 가능하였다. 2. 도복관연형질중 분얼결당 생중, 간벽두께 중심고비율 등은 파종량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파종량이 많을수록 좌절중이 떨어져 도복지수가 컸고, 포장도복은 파종량 5kg /10a이상에서 1~3정도 발생하였다. 3. 출수기는 10a당 파종량 5~7kg이 3~4kg보다 1일이 빨랐다. 4. 수량 구성요소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수수는 많았으나 등숙비율은 떨어졌고 수당 입수 및 천립중은 파종량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5. 건물중은 파종량 증가에 따라 증가했으나 수확지수는 떨어졌고, 2개년 평균 쌀 수량은 518~552kg /10a당 파종량 5kg /10a에서 가장 높았다. 6. 2차 회귀곡선식으로 추정한 최고수량을 나타낸 파종량은 4.3~4.8kg /10a이었고 이때 $m^2$당 입모수는 126~135개였다.

  • PDF

벼의 자동화 육묘에서 파종량이 묘생육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Amount on Seedling Growth and Grain Yield of Automatic Seedling Raising facility)

  • 손재근;남문식;권용삼;김경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48-452
    • /
    • 2002
  • 벼 자동화 육묘시설에서 파종기별 적정 파종량을 선정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에 따른 묘특성은 상자당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초장은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묘충실도는 감소하였다. 2. 이앙기별 파종량에 따른 본답 생육 특성은 파종기에 관계없이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이앙 초기에는 초장은 커지고 분얼수는 증가하였으나 이앙 40-50일 이후부터는 파종량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파종량에 따른 수량성은 5월 25일 이앙구에서는 파종량 간에 유의성이 없이 200g 파종구에서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2모작인 6월 20일 이앙의 경우는 200-250g 파종까지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200-250g 파종구와 300g 파종구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추파용 호밀에 대한 액상분뇨 시비 연구 I. 생육특성 및 사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oes on the Slurry-Application of Winter Rye (Secale cereale L. ) I. Agronomic charateristics ,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winter rye)

  • 신동은;김동암;신재순;서성;김원호;김정갑;육완방;정재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5-242
    • /
    • 1998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gronomic characteristics, nutritive value and yield (DM, CP) of Winter Rye as affected by different slurry application on the basis of N contents respectively and was arranged 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seven treatments (chemical fertilizer 160kg Nha, cattle sluny 160 . 320 480kg Nha, swine slurry 160 . 320 480kg Nha) and conducted at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in Suweon 6om Sep. 1996. to Apr. 1997.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was influenced by slurry application, was orderly ranked cattle sluny 480kg N1 ha > chemical fertilizer 160kg Nha > swine slurry 480kg Nha. Tiller number was increased with cattle slurry application, especilly, the effect of cattle slurry 480kg Nha was obvious but plot of swine slurry tended not to be regular. Crude protein content of rye increased as slurry application level was increased (p< 0.05),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DF and NDF content of rye. RFV(Re1ative Feed Value) of rye as affected by slurry application was classified as Grade 2 in all treatments at harvest, according to the forage quality standard assigned by AFGC. Dry matter yield was shown fiom 4,006 kgha to 8,037 kgha as affected by cattle slurry application, in the case of swine slurry application was shown ffom 4,594 kgha to 6,230 kgha (p< 0.05).

  • PDF

교잡종 찰옥수수에 대한 연구 -II. 새로 육성된 찰옥수수 교잡종 "대덕찰"에 대한 농업적 특성 (Study on Waxy Corn Hybrid -II.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New Waxy Hybrids "Daedekchals")

  • 이희봉;김효기;김동욱;김준표;정재영;최현구;강윤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2호
    • /
    • pp.1-4
    • /
    • 2002
  • 1. 새로 육성된 4개의 대덕찰 찰옥수수 교잡종에 대한 간장은 대조구인 찰옥 1호보다 큰 반면에 개화기는 약 4~7일 늦었으며, 모든 공시 교잡종의 주당 분얼수는 한 개이하의 무효분얼로 나타났다. 2. 새로 육성된 대덕찰옥수수의 이삭길이와 직경은 대조구인 찰옥 1호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대덕찰옥수수 1호와 2호의 과피두께는 대조구보다 얇았고, 당도 역시 높게 나타나 우수 교잡종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