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e energy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4초

남부하수처리장 유출수의 해중방류 영향평가 (Environmental Assessment of Ocean Outfall for Effluent from Nambu Sewage Treatment Plant in Suyoung Bay)

  • 박해식;박청길;이석모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41-49
    • /
    • 2000
  • 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생활하수, 산업폐수를 처리할 때 주로 BOD 또는 COD를 저하시키는데 주안점을 두어왔으나 제거되지 않은 질소와 인의 유입으로 인하여 해역은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류증식의 제한인자인 질소와 인의 처리가 필요하다. 고차처리를 적용할 경우보다 건설비용과 유지관리비가 적게 소요되는 해중방류(Ocean Outfall)을 적용하였을 때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남부하수처리장 2차처리수를 해중 방류했을 때 수영만 전역에 미치는 영향을 far-field 모델인 생태-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 과거 남부하수처리수가 해수면에 유입되던 용호만의 수질은 많은 개선을 보였으나 방류관 주변에서 무기질소와 인의 농도가 해역환경기준 III등급으로 적조나 부영양화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출된 풍화유와 분산유의 조간대 침투 및 생태계 영향 - 용존상 물질의 침투량 변화 - (Penetration of Weathered Oil and Dispersed Oil and its Ecological Effects on Tidal Flat - as Infiltration of Dissolved Matter -)

  • 정정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4-13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조간대에서 유출된 기름의 표착 및 침투과정을 파악하고, 침투된 기름의 해수 침투차단 여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모의 조간대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착된 기름의 침투깊이는 분산유가 가장 낮았으며, 풍화유 그리고 원유의 순서로 깊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기름의 침투는 표착된 기름의 양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출된 기름의 침투는 첫번째 조석에서 거의 대부분 결정되며 그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침투된 기름은 토양 표층으로부터 2 cm 부분이 가장 농도가 높음을 알았다. 기름의 침투량의 증가와 더불어 해수의 침투량이 감소하였으며, 분산유보다는 원유나 풍화유가 보다 많은 양의 해수를 차단하였다. 따라서 해수의 침투량의 차단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연안 조간대에서 표착유의 저서생물에 대한 피해는 풍화유나 원유가 분산유보다 클것으로 사료된다.

  • PDF

MLSS와 미세조류가 광합성 산소기반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LSS and Micro-algae on Nitrification based Photosynthetic Oxygen)

  • 이지원;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08-514
    • /
    • 2017
  • 부영양화로 인한 녹 적조류가 과잉 번식하여 다양한 환경문제를 야기해왔으나, 최근 조류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 디젤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하수처리장의 산소공급을 위한 송풍에너지 절약을 위해 미세조류의 광합성 작용으로 발생하는 산소를 하수처리장에 적용시키는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광합성 산소를 질산화에 필요한 산소로 활용하고자 실험실 규모의 조류-질산화 반응조를 운영하였으며, 운전구간은 크게 3구간으로 운전하였다. MLSS(Mixed Liquer Suspended Solid) 농도에 변화를 준 구간에서 24~38 %, Micro-algae 농도에 변화를 준 구간에서는 38~50%, 그리고 HRT(Hydraulic Retention Time)에 변화를 준 구간에서 61~80%의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이 나타났다. 연구결과 MLSS 가 감소함에 따라, Algae Biomass가 증가함에 따라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MLSS에 의한 영향보다 Algae biomass 에 의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에서 유출된 C중유의 토양 침투 거동 (Penetration Behavior of Spilled Fuel Oil C into Coastal Sandy Beach)

  • 정정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7-44
    • /
    • 2003
  • 해상에서 유출된 기름의 조간대 토양 침투에 관한 정보는 유출된 기름의 생태계 피해와 생태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처리대책의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단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질지형의 조간대 모형을 이용하여 파도와 조석에 의한 유출된 기름의 토양 침투 거동을 파악하고, 침투에 미치는 주된 영향인자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수와 유출된 C중유의 연안 해변 토양 침투는 전혀 다른 거동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수는 파도와 조석의 물리적 작용에 의해서 토양 중으로 침투를 하였으나, 유출된 C중유는 파도에 의해서는 침투되지 않고 조석작용에 의해서만 토양 중으로 침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평방미터당 1 L의 유출유가 표착하였을 경우 약 80%이상의 유분이 토양 표층 2 cm의 부분에 집중되는 침투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유출된 기름의 토양침투에는 온도의 변화에 의존하는 기름의 점도가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FDC 해수유동모형의 계산시간 효율화 (On reducing the computing time of EFDC hydrodynamic model)

  • 정태성;최종화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1-129
    • /
    • 2011
  • EFDC 모형에서 해수유동과 퇴적물 이동을 모의하고자 하는 경우에 필요한 해수유동과 퇴적물 이동 모듈외의 수질 모델 등의 요소가 해수유동 모의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해수유동과 퇴적물 이동의 계산에 불필요한 수질요소관련 프로그램과 조건문 들을 모델에서 제거하는 방법으로 모형을 간략화하고 계산시간을 비교하였다. 수정된 EFDC 모형(EFDC-E)을 사용하여 목포해역에서 조류에 대하여 모의하고,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과 모의결과를 EFDC 모형을 이용한 모의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2차원 모형과 3차원 모형을 동시에 적용하여 2차원 모의결과와 3차원 모의결과의 차이점에 대한 분석과 각 모형의 목포해역 조류 비대칭에 대한 재현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간략화과정을 통해서 개선된 EFDC-E 모형은 EFDC 모형보다 2차원과 3차원 조류모의에서 약 3배 빠르게 계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차원 모의결과는 수심평균유속을 계산하여 상층에서 관측한 조류를 정확하게 재현하지 못하였으나, 3차원 모형을 적용한 결과는 2차원 모의보다 유속크기가 관측치와 보다 잘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다.

제주 연해 수중 주변소음 계류 측정과 환경 변화에 따른 분석 (Moored measurement of the ambient noise and analysis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sea of Jeju Island)

  • 정인용;민수홍;팽동국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90-399
    • /
    • 2020
  • 본 연구는 풍력, 파력발전기가 설치되는 제주 동부와 서부 수심 20 m 연해에서 4개월동안 수중 청음기를 중층(10 m)에 계류하여 주변소음을 측정하였다. 측정 소음레벨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정보는 측정 지점 근처 기상대와 관측소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100 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조석의 영향으로 간조와 만조, 조금과 사리일 때 약 5 dB ~ 20 dB가량 변화를 보였다. 파랑과 바람의 영향은 1 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25 dB이내로 큰 변화를 보였으며 파랑은 저주파 대역에 영향을 주었고 바람은 1 kHz 이상의 고주파 대역까지도 영향을 주었다. 10 k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강우와 생물 소음이 있고 웬즈 곡선 최대값에 비해 약 10 dB 높게 측정되었다.

마산만의 Tributyltin 거동 및 물질수지 산정 (Estimation of Transport and Mass balance of Tributyltin in Masan Bay)

  • 김동명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8-56
    • /
    • 2002
  • 마산만에 대하여 stella 프로그램을 이용한 Tributyltin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민감도 분석 및 물질수지를 산정하여 수질관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수층과 유기 입자내 Tributyltin의 경우는 침강속도와 분배계수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물플랑크톤 체내의 Tributyltin의 경우는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농축계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의 Tributyltin에 대한 모델 적용 시에는 이들 계수에 대한 정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상해역의 Tributyltin 현존량은 수층의 Tributyltin량이 3.29×10⁴g, 플랑크톤 체내의 Tributyltin량이 1.16×10²g, 입자상 유기물내의 Tributyltin량이 3.17×10³g로 나타났다 상간의 전환경로는 입자상 유기물로 분배되는 경로가 1.64×10³g/day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저질로의 침전으로 1.52×10³/g/4ay이었으며 외해로의 유출이 1.32×10³g/4ay로 나타났다.

  • PDF

마산ㆍ창원 하수종말 처리장의 해양방류 처리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연구(I) (A Study on Initial and Near-Field Dilution at the Ocean Outfall of Masan-Changwo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 강시환;유승협;오병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0-6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초로 수중확산관을 통해 하ㆍ폐수 1차 처리수를 해양방류하고 있는 마산ㆍ창원 하수종말처리장의 해양방류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률을 현장관측과 CORMIX 모형계산을 통해 비교 검토하였다. 수심 15m 내외의 방류수역에서 수온약층이 수심 4m~6m에서 형성된 1998년 하계에 관측된 염분도로부터 희석률을 구하였으며, 또한 해수밀도의 수직 분포와 해류자료를 입력하여 모형으로부터 하 폐수 플륨의 이동확산 양상과 초기희석률을 계산하였다. 방류지점의 관측된 염분도 분포로부터 구한 희석률은 32~48이며, 모형에 의해 계산된 초기ㆍ근역 희석률은 29~43으로 두 결과 모두 매우 낮은 하계 소조시의 희석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조류가 약한 소조기의 정체 시에는 방류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로 인해 해양방류수역의 수질오염이 더욱 가중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어선의 선저폐수 및 폐윤활유 발생량 추정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oily bilge water and waste lubricating oil produced from fishing vessels)

  • 정해종;권기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0-37
    • /
    • 2002
  • 최근 연안의 해양오염 증가로 인하여 매년 발생되는 적조현상 등이 연안 생태계에 영향을 많이 끼치는 문제점으로 되고 있다. 해양오염 요인 중에 어선에서 발생되는 선저폐수나 폐윤활유의 무단 배출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효율적인 관리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저폐수처리장치를 어항별로 설치하여 소형 어선에서 발생되는 선저폐수와 폐윤활유를 육상으로 이송ㆍ처리하여 해양으로의 무단 배출을 막아야 한다. 그에 대한 선결연구과제로 어선에서 발생되는 선저폐수와 폐윤활유 발생량 추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톤급별 어선에서 발생되는 선저폐수와 폐윤활유 현황 조사 및 고찰과 선저폐수와 폐윤활유 발생량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 도출을 통한 발생량 모델링과 이를 이용한 샘플어장에 대한 선저폐수와 폐윤활유 발생량 추정을 포함하고 있다.

  • PDF

동해 중부 연안에서 연어(Oncorhynchus keta)가 왕피천으로 이동하는 시기와 연안 환경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igratory Timing of Salmon (Oncorhynchus keta) into the Wangpi River and Coastal Environment of the Mid-eastern Coastal Water of Korea)

  • 김범식;정용우;정해근;이충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067-1079
    • /
    • 2021
  • The coastal water is a space where salmon (Oncorhynchus keta), critical energy-conveying mediator, stay to adapt to different environments while traveling between ocean and river ecosystems for spawning and growth. The mid-eastern coast of Korea (MECW) is the southern limit of salmon distributed in the North Pacific Ocean.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and migration characteristics of salmon in the MECW is important for the prediction of changes in the amount and distribution of salmon related to changes in the future marine environment.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lmon migratory timing ascending the Wangpi river and change in vertical seawater temperature and tidal elevation. Overall results highlight that (1) Salmon began to ascend the river when the sea surface water temperature (SST) decreased below 20℃; (2) The number of salmon ascending the river increas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decreased, but decreas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was higher than 5℃; (3) The number of salmon ascending the river peaked, when the SST was 18℃-19℃ and sea levels rose at high tide.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sight into predicting changes in the ecosystem energy circulation through climate change at its southern distribution li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