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ㆍ창원 하수종말 처리장의 해양방류 처리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연구(I)

A Study on Initial and Near-Field Dilution at the Ocean Outfall of Masan-Changwo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 발행 : 1999.08.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초로 수중확산관을 통해 하ㆍ폐수 1차 처리수를 해양방류하고 있는 마산ㆍ창원 하수종말처리장의 해양방류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률을 현장관측과 CORMIX 모형계산을 통해 비교 검토하였다. 수심 15m 내외의 방류수역에서 수온약층이 수심 4m~6m에서 형성된 1998년 하계에 관측된 염분도로부터 희석률을 구하였으며, 또한 해수밀도의 수직 분포와 해류자료를 입력하여 모형으로부터 하 폐수 플륨의 이동확산 양상과 초기희석률을 계산하였다. 방류지점의 관측된 염분도 분포로부터 구한 희석률은 32~48이며, 모형에 의해 계산된 초기ㆍ근역 희석률은 29~43으로 두 결과 모두 매우 낮은 하계 소조시의 희석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조류가 약한 소조기의 정체 시에는 방류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로 인해 해양방류수역의 수질오염이 더욱 가중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we have obtained the initial and near-field dilution rates of wastewaters discharged from the ocean outfall of Masan-Changwo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from both of field measurements and CORMIX model simulations. In the summer of 1998,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profiles was measured at 16 stations in the vicinity of the Masan outfall and the dilution rates were analyzed by salinity deficit method. The transport of the wastefields and their initial dilution rates were calculated by CORMIX model using field data as model input. Both of observed and predicted results are shown In very low dilutions with the range of 32~48 from the field data analysis and 29~43 from the model prediction,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the water quality in the Masan outfall area can be worsening due to the low dilution rates of diswastewaters, especially, when the ambient currents are very weak in a neap tide and ambient water density is highly stratified in summer.

키워드